|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괴물 및 개체 | 시설 및 방 | 아이템 | }}} | |||
업적 | 점프수트 | 세계관 | 기밀 문서 |
1. 개요
게임 트레일러 |
You are expendable. You are not expected to return.
This game is a comedy.
Headphones & graphics level 8 or above recommended.
This game is currently in alpha. Expect bugs and the sorts.
Inspired by LSPLASH's "Doors", David Szymansk's "Iron Lung", Arsi Patala, aka "Hakita"s "ULTRAKILL" and Joonas Rikkonen's "SCP: Containment Breach".
당신은 소모품입니다. 당신은 돌아올 것으로 예상되지 않습니다.
이 게임은 코미디입니다.
헤드폰 및 그래픽 레벨 8 이상 권장
이 게임은 현재 알파 상태입니다. 버그 등이 있음을 고려하십시오.
LSPLASH의 "Doors," 데이비드 시맨스키의 "Iron Lung," 아르시 파탈라, 또는 "하키타"의 "ULTRAKILL" 및 Joonas Rikkonen의 "SCP: Containment Breach"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This game is a comedy.
Headphones & graphics level 8 or above recommended.
This game is currently in alpha. Expect bugs and the sorts.
Inspired by LSPLASH's "Doors", David Szymansk's "Iron Lung", Arsi Patala, aka "Hakita"s "ULTRAKILL" and Joonas Rikkonen's "SCP: Containment Breach".
당신은 소모품입니다. 당신은 돌아올 것으로 예상되지 않습니다.
이 게임은 코미디입니다.
헤드폰 및 그래픽 레벨 8 이상 권장
이 게임은 현재 알파 상태입니다. 버그 등이 있음을 고려하십시오.
LSPLASH의 "Doors," 데이비드 시맨스키의 "Iron Lung," 아르시 파탈라, 또는 "하키타"의 "ULTRAKILL" 및 Joonas Rikkonen의 "SCP: Containment Breach"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nopad> | |
'''당신은 소모품입니다. ''' |
로블록스의 개발자 그룹인 Urbanshade: Hadal Division에서 제작한 1인칭 호러 게임이다. 전반적으로 DOORS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되며, 게임의 설명을 살펴보면 Iron Lung, SCP - Containment Breach, ULTRAKILL과 같은 게임에서도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4]
2. 목표
일련의 사건으로 인해 버려진 시설에 진입해 남겨진 중요 연구 자료들을 수집하고, '크리스탈'을 확보하여 탈출하는 것이 목표이다.3. 시스템
3.1. 조작법
<colcolor=#fff> PC | |
WASD, ↑↓ | 이동 |
Ctrl, Shift, C, Space | 앉기 |
E | 상호작용[5][6] |
왼쪽 마우스 | 장비한 아이템 사용 |
오른쪽 마우스 | 장비한 아이템 상호작용[7] |
숫자 | 해당되는 아이템 장비 |
G | 장비한 아이템 버리기 |
R | 배터리 사용하기 |
H | 춤추기[8] |
J | 설정창 열기 |
3.2. 메인 게임 모드
이 게임의 메인 컨텐츠 모드이다.- 일반 모드(Normal mode)
가장 기본적인 모드. 설정상 블랙사이트는 대규모 시설이지만, 게임상의 한계로 100개의 블랙사이트와 14개의 릿지, 총합 114개의 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든 방을 통과하면 엔딩을 보는 것으로 끝난다.
대부분의 챌린지 배지를 이 모드를 통해 클리어해야 한다.
플레이 가능 인원 수는 솔로, 2, 3, 4, 8, 50(게임 패스)명.
- 무한 모드(Endless mode)
무한 모드 규칙
* 세바스찬 상점 없음[15][16]
* 100개 방 단위 서치라이트[17]
* 100번 방 서치라이트 없음
* 300번 방 도달 시 앵글러의 이동 속도가 소량 증가함
* 300번 방부터 도어 스토퍼와 지뢰의 출현 빈도가 극도로 높아짐
* 400번 방 도달 시엔 도어 스토퍼 스폰률 정상화, 지뢰의 스폰률이 더 극도로 증가함[18]
* 400번 방 부터 모든 방의 전력이 꺼짐[19][20]
*특정 숫자의 방 진입(약 500개의 방 단위) 시 교육자가 서치라이트를 대체(현재 일시적으로 교육자가 비활성됨)
* 판데모니움 출현 리미터 해제[21]
* 하빈저 스폰 가능[22]
* 200번 방 도달 시 하빈저 스폰 불가
* 스폰률을 증가시키는 빨간색 해골 제단 존재[23]
* 세바스찬 상점 없음[15][16]
* 100개 방 단위 서치라이트[17]
* 100번 방 서치라이트 없음
* 300번 방 도달 시 앵글러의 이동 속도가 소량 증가함
* 300번 방부터 도어 스토퍼와 지뢰의 출현 빈도가 극도로 높아짐
* 400번 방 도달 시엔 도어 스토퍼 스폰률 정상화, 지뢰의 스폰률이 더 극도로 증가함[18]
* 400번 방 부터 모든 방의 전력이 꺼짐[19][20]
*
* 판데모니움 출현 리미터 해제[21]
* 하빈저 스폰 가능[22]
* 200번 방 도달 시 하빈저 스폰 불가
* 스폰률을 증가시키는 빨간색 해골 제단 존재[23]
끝이 없는 만큼 클리어 카운트가 아닌, 도달한 최대 방 수로 표기된다. 플레이 가능 인원 수는 솔로, 2, 3, 4, 8, 50(게임 패스)명.
3.3. 서브 게임 모드
이 게임의 서브 모드들이며, 모두 공통적으로 40개의 방으로 이루어져있다. 때문에 플레이 타임이 위 모드들과 달리 상당히 짧다.- 레이브야드(Raveyard)
40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곳에선 리서치 대신 쓰레기를 주워 돈을 얻는다.
보스전 개념은 딱히 없으며, 플레이 가능 인원 수는 8명.[25]
클리어 시 별도의 클리어 카운트가 올라간다. 표시 여부는 로비의 인벤토리 탭에서 설정할 수 있다.[26]
25/5/2 패치를 통해 번개가 내리쳐 주변이 밝아지는 효과가 추가되었고, 침수된 물 효과가 개선되었다.
- 헌티드(Hunted)[27]
The Hunt: Mega Edition에 선정되어 출시된 이벤트 맵.
40개의 방으로 되어있으며, 특이하게도 40번 방부터 시작해 0번 방까지 가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이 모드를 통해 숨겨진 맵인 The Vault에 입장할 수 있다.[28][29]
레이브야드와 마찬가지로 보스전 개념이 없으며 별도의 클리어 카운트가 올라간다.
플레이 가능 인원 수는 솔로 또는 듀오.[30]
3.4. 만우절 한정 게임 모드
만우절 기념으로 추가된 한정 모드들이다. 현재는 TNaTB 모드만 플레이 가능하다.- 교육자 모드
24년 만우절 이벤트 모드. 게임에 들어가 코드 브리처 하나를 구매한 후, 시작 방에 빨간 키카드 리더기로 잠긴 문을 열고 버튼을 누르면 교육자 모드가 활성화 된다.
현재는 플레이가 불가능하다.[31]
- Three Nights at the Blacksite[32]
프레디 시리즈를 패러디한 모드. 만우절 기간에는 로비에 접속 시 바로 앞에 무대가 있었고 그 위에 파란색 프레디가 함께 있었으며, 프레디 밑의 발판을 밟아 플레이 가능했었다. 만우절이 지난 지금은 레이브야드 쪽에 작게 발판과 프레디가 있어 그 곳에서 플레이 가능하다.
플레이 방식은 사실상 그냥 프레셔 버전 프레디이며, 등장 개체로는 앵글러와 그의 변종들[33], 판데모니움, 세바스찬, 크루키드, AI 화가[34]가 있다.
별도의 클리어 카운트는 존재하지 않으며, 싱글 플레이다.
4. 요소
4.1. 괴물 및 개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괴물 및 개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괴물 및 개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 시설 및 방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시설 및 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시설 및 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3. 아이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아이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아이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4. 업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업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업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5. 점프수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점프수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점프수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6. 세계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세계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세계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7. 기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기밀 문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기밀 문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게임패스
<rowcolor=#fff> 게임패스 | 이름 | 효과 | 가격 |
| Kroner Boost 25% 크로너 부스트 25% | 플레이 중 획득하는 크로너 양 +25% | |
| 50 Player Lobby 50 플레이어 로비 | 50명의 인원으로 게임 시작 가능 | |
| Post-Mortem Haunting 사후 유령화 | 사망 시 유령 모드로 전환 가능, 7가지 능력[35] [36] | |
6. 사운드트랙
재생목록 바로가기7. 여담
- 로비에서 1인플레이를 할 수 있는 잠수정의 끝쪽 서랍에서 시크의 눈을 확인할수 있다.
- 게임 내의 연출은 하프라이프 시리즈처럼 실시간 스크립트로 진행된다.
- 만일 처음 진행하는 계정으로 죽지 않고 클리어 하게 되면 다시 한 번 죽었을 때 세바스찬이 왜 다시 왔는지 의문을 품는다.
- 어떤 상의와 하의를 입던, 인게임과 로비 모두 자체적으로 있는 점프수트로 바뀐다
- 외국인들과 게임할 때, 특히 뱃지작 같이 진지한 게임에서는 SS, PSS, X 등의 용어를 알아둔다면 유용하다.[38]
게임 출시 전 트레일러 속 개발자의 메시지
|
- 가끔 여러 무작위 색 중 하나로 물들여진 서버를 만날 때도 있다. 음악도 다르다. 이것보다 더 낮은 확률로 아예 달에 네크로블록시콘 로고가 세겨져 있을 때도 있다.[43]
- 게임 소유권 판매에 대한 얘기가 돌았으나[44], 디스코드를 통해 Zerum은 Pressure의 소유권을 판매하지 않았고, 판매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 미국 시간 기준 [ruby(24년 12월 14일, ruby=한국 시간 24년 12월 15일)]에 업데이트 예정이였다가 하루 이틀 정도 연기된다고 밝혔다. 업데이트 당일에는 개발자 Zeal이 로블록스 오류로 인해 업데이트가 연기된다 했고[45] "아주 관대한 마음"으로 모든 게임 패스들을 1 로벅스 할인해주겠다고 했었다. 이 할인은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 게임 출시 트레일러가 상당히 병맛이다. 먼저 영상속 게임 플레이 분위기와 맞지않는 평화로운 브금으로 시작해서, 미국 만화영화마냥 플레이어를 구출한 뒤 잠시 동안 공중에 떠 있다 떨어지는 것을 그대로 보여주는 등 개그 포인트가 있다.
- 간혹 게임을 하다 보면 심해 바다 소리, 터렛이 작동하는 소리, 플레이어 외에 누군가가 문을 여는 소리 등의 배경음이 재생되는데, 낮은 확률로 누군가 빠른 속도로 쫒아오는 발걸음 소리, 엄청나게 큰 소리로 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재생되어 유저를 놀래키기도 한다. 물론 배경음이라 크게 놀라는거 외엔 문제가 없으나, 핑키같은 노드형 몬스터가 올때 재생된다면 소리가 일시적으로 묻힐 수 있으니 조심하자.
- The Hunt: Mega Edition에 선정되어 The Hunted 맵이 추가되었다. 초기에는 악랄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로블록스의 난이도 하향 요청을 받아서 최대 2명까지 플레이 가능하게 하였고, 이후 2일 후에 또 요청을 받고 대규모 너프[46]를 받았었으나, 이벤트 기간이 끝난 지금은 다시 기존 난이도로 롤백되었다.[47] 하지만, 유일하게 The Vault만이 롤백이 아닌, 난이도 버프를 먹었다.[48]
- 4월 2일 새벽 2시에 25년 만우절 기념[49]으로 "TNatB"[50] 이벤트 모드가 출시되었다. 트레일러 링크 모티브는 이름부터 누가봐도 빼박 프레디. 심지어 게임 아이콘은 그냥 프레디의 팔레트 스왑 버전에 세바스찬 처럼 눈을 3개로 바꾼 것이다(...)
- 추후 대규모 업데이트가 예정되어 있다. 너무 많은 나머지, 4개의 파트로 나눠서 업데이트 한다고.[51]
- 게임의 이름을 Pressure의 직역문인 "압력"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은데, 사실 이건 로블록스의 자동 번역 시스템으로 인해 생긴 직역문으로, 옆동네 게임인 DOORS를 "문들"로 부르지 않고, 도어즈라고 부르듯이 음차로 읽은 "프레셔"가 조금 더 자연스럽다.
[1] 본 게임의 모델러이자, 총 관리자인 zeal이 운영하는 그룹이다.[2] 대규모 업데이트 예정 때문인지 최근 업데이트 빈도가 매우 증가했다[3] 폭력 (가벼움/반복적), 공포 (반복적/가벼움)[4] 플레이어가 죄수인데다 소모품 취급이고 잠수함에 태운 것과 괴생물체를 격리시키는 것과 플레이어가 돌아오지 못할 것이라는 설정 등 많은 부분이 아이언 렁과 SCP - CB와 비슷하다.[5] 예시로 락커에 숨기, 키카드 문 열기, 서랍 열기, 아이템 줍기 등이 있다.[6] 왼쪽 마우스로도 가능하지만, E 키를 쓰면 화면을 움직이지 않고도 적절한 거리에서 화면에만 들어와도 상호작용을 할 수 있기에 훨씬 편리하다.[7] 예시로 Hand-Cranked Flashlight를 장비한 채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크랭크를 돌려 아이템을 충전한다.[8] 모바일에서 리서치를 먹은 뒤 리서치 표시가 있는 곳을 터치하면 춤이 춰진다.(PC도 된다)[9] 특히 모든 방의 전력이 꺼지는 400번 방부터는 생존 난이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10] 따로 전용 릿지 방이 존재하며, 유일하게 불이 켜진 완전한 릿지를 볼 수 있는 수단. 일반 모드와는 다르게 노드 트래킹에 의해 불빛이 깜빡일 수 있으며 파괴되기도 한다.[11] 그렇기에 일반 모드에서 나오는 모든 블랙사이트 방을 여기서도 볼 수 있으며, 희귀 괴물을 적어도 한번 쯤은 볼 수 있다.[12] 때문에 종종 크로너 벌이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엔 보통 난이도가 적당한 200~300번 방까지만 도달하고 사망하여 정산한다. 참고로 도달한 방 횟수의 크로너 정산 최대 제한은 423이다.[13] 예시로 인게임에서는 암흑 물질 웅덩이가 평균 40마리 정도만 나오지만 설정상 시설에 분포한 개체들은 6400마리 이상이니 대규모 시설임을 알 수 있다.[14] 대표적으로 A-60. 하빈저도 있긴 하나 하빈저는 따로 스폰률을 극도로 올릴 수 있다.[15] 리서치는 순수하게 크로너 정산으로만 쓰이지만, 낮은 확률로 도박방이 뜬다면, 여기서 리서치를 소모하여 운에 맞기거나 리서치 상점에서 아이템을 살 수 있다.[16] 상점이 없기에 배터리를 파밍이나 도박방으로만 얻을 수 있기에 시작부터 배터리를 충분히 구매하거나 얻지 못한다면 광원이 있어도 쓰기 힘들어진다. 때문에 시작 시 무한 동력 광원(젤리 손전등, 네크로블록시콘 등)을 구매하는 것을 추천한다.[17] 100개의 방 단위로 서치라이트 1차전이 등장한다. 보스전 진행은 다른게 없다. 다만 100번 방 이외에도 안나오는 경우가 종종 생길 수 있는데, 이는 일반 모드에서 먼저 발견된 버그이며 일반 모드와 코드 자체는 유사해서 같이 발생하는 버그로 추정된다.[18] 어느정도냐 하면 한 방에 평균 2개의 지뢰가 있을 정도다. 1개만 있거나 없는 방도 나오긴 하지만, 재수 없으면 4개까지도 있을 수 있으며, 지뢰가 없는 방의 수가 있는 방의 수보다 더 적다.[19] 401번 방의 문을 여는 순간 특유의 정전 소리가 나며, 모든 방의 비상등을 제외한 모든 전등의 전력이 모두 꺼진다. 즉, 노드 몬스터의 전조가 사라진다. 사실상 이 구간부터는 맵만 블렉사이트인 일반 모드의 릿지가 된다.애초에 이 순간부터 오는 모든 앵글러는 릿지 앵글러처럼 눈이 없다. 전력이 꺼지는 소리가 상당히 크니 참고할 것.[20] 참고로 이 구간부터는 가짜 방이 절대 생성되지 않는다.[21] 쉽게 말해, 일반 모드와 달리 한 번 출현해도 계속 뜰 수 있다는 것이다.[22] 무한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23] 시작 지점 잠수함 기준 오른쪽에 위치한 구역에서 컨테이너 뒤에 해골 제단이 있다. 상호작용 시 스폰률이 극도로 증가한다. 물론 이걸 사용해도 스폰 확률이 비교적 극도로 증가할 뿐 여전히 어느정도 낮은 확률로 인해 나오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위의 조건처럼 200번 방 부터는 일절 스폰되지 않는다.[24] 이 아이템 이외의 아이템은 쓰레기, 스펙트럼의 술을 제외하면 어떤것도 존재하지 않는다.[25] 업데이트로 인해 8인 미만 로비가 전부 삭제되었다.[26] 업데이트 이전엔 게임 클리어 카운트 밑에 작게 표시되었다.[27] 인게임 설정의 구역 명칭은 Under-Construction Section 이다.[28] 한 번 입장한 이후부터는 로비에서 바로 이동할 수도 있다.[29] The Vault는 별도의 게임 모드 라기보단, The Hunted에 포함된 일종의 히든 맵이므로 따로 서술하지 않는다.[30] 초기에는 솔로만 가능했으나 밸런스 패치를 먹은 이후 더 쉽게 깰 수 있도록 듀오를 만들었다고 한다.[31] 이 모드와 관련된 아이템은 현재도 얻을 수 있지만 배지는 당연히 한정 배지가 되었다.[32] 블랙사이트에서의 3일 밤[33] 핑키는 등장하지 않는다.[34] 직접적으로 나와서 플레이어를 죽이려 들진 않고, 컴퓨터에 팝업 창을 띄워 플레이를 방해한다.[35] 불 깜빡이기, 전등 부수기, 플레이어들의 광원 비활성화, 광원 게이지 충전, 이상한 잡음, 폴터가이스트 현상, 빛나는 구 등.[36] 이로운 효과의 기능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효과가 더 많은만큼 이 패스를 소지한 유저와 함께 플레이할 경우 죽을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37] 외국 커뮤니티에선 세바스찬 솔리스의 성우가 울트라킬의 가브리엘역을 했었다는 점이 밈이 되었다.[38] 안전 구역(safe spot), 판데모니움으로부터 안전한 구역 (pandemonium safe spot), 자신이 머무는 방의 입구가 닫힘 (X, 자매품으로 한 구역 뒤가 닫히는 x1이 있다.) 등[39] 비밀유지협약을 언급한걸로 봐선 개발하는 것(모델, 스크립트)에 대해 비밀을 유지해야하는것으로 보인다.[40] 게임 설명창에 아예 이 게임은 코미디라고 쓰여있다.[41] 공동 개발자의 이름[42] 프레셔 게임내에 있는 A-60, 교육자 문서의 마지막엔 문서를 권한이 없는 사람에게 보여줄 시 일가친척이 멸하고 강등된다고 써져있는데, 이것의 정 반대로 농담으로 적은 메시지이다.[43] 이 경우엔 로비 음악이 일반 로비 음악의 리믹스 버전으로 나오며, 이 모양의 달은 인게임 내에서 부활하면 갈 수 있는 "밴 랜드"의 달과 일치한다.[44] 트위터의 Pressure 공식 계정서 판매 공지가 올라왔다.[45] 약 1시간 정도[46] 메가 토큰 조각 획득 요구량 25개로 감소, 산소통 용량이 80초로 증가 등. 나머지 자세한 사항은 각 개체/BL1(넬로프레핀)(아이템) 문서 참조.[47] 클리어 크로너 보너스도 다시 받을 수 있다.[48] 메가 토큰 조각 요구량 50으로 증가[49] 만우절 자체는 4월 1일이지만, 시차로 인해 4월 2일에 만우절 이벤트가 업데이트 되었다.[50] Three Nights at the Blacksite의 약자로, '''블랙사이트에서의 3일 밤이다.[51] 원래는 5월 쯤 출시 예정이였으나, 여러 개발자가 아파져서 5월 출시가 취소되었다 했기에, 6월이나 그 이후에 업데이트 할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