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2:31:14

RISS

<colcolor=#fff><colbgcolor=#F76323>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파일:riss_BI_15.jpg
종류 포털 사이트
서비스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비스 언어 한국어
회원 가입 선택 [1]
개설 1998년
주관 교육부
운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고객센터 1599-3122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1. 개요2. 서비스 대상3. 제공 서비스
3.1. 자료 검색 및 원문 이용3.2. 해외전자정보서비스3.3. 외국학술지지원센터(FRIC)3.4. 상호대차3.5. 해외자료신청서비스(E-DDS)3.6. 활용도 분석3.7. 기타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F76323><tablebgcolor=#fff,#F76323><bgcolor=#ff9900>||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

RISS는 국가연구경쟁력 강화 및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국가차원의 학술연구정보 공유 플랫폼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운영하고 있다.
연구활동의 효율성 증진, 고등교육 경쟁력 향상, 국가연구 경쟁력 강화를 위해 1998년 개통했다.

전국 4년제 대학이 100% 참여하는 학술 정보 공동 활용체제를 기반으로 대학이 생산/보유/구독하는 모든 학술자원을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서비스를 제공[2]한다.

2. 서비스 대상

전국 대학(원)생, 기관 연구원, 교수자, 사서 등 학술연구 분야에 관심 있는 국민을 대상으로 전국 대학 생산 학위/학술논문 및 단행본 등 통합 검색/이용을 제공하고 있다.

3. 제공 서비스

3.1. 자료 검색 및 원문 이용

통합검색을 통해 국내 학위논문/학술논문/학술지/단행본 등 유형별 검색이 가능하다.

3.2. 해외전자정보서비스

교육부KERIS가 대학라이선스 사업을 통해 비용 전액 또는 일부를 지원하는 서비스로, 세계 주요 출판사의 전자 학술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소속 기관의 구독여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별 이용시간이 상이하다.

3.3. 외국학술지지원센터(FRIC)

교육부, KERIS와 10개의 대학이 공동으로 운영하며, 주제 분야별 외국 학술지를 전략적으로 구축하고 공동으로 활용(무료복사)할 수 있도록 제공중인 대국민 서비스이다.

외국학술지지원센터는 2006년에 처음으로 경북대학교에 ‘전기ㆍ전자ㆍ컴퓨터ㆍ정보통신공학’ 분야가 개설된 이래, 2009년에 강원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전북대학교가 지정되었으며 2011년 이화여자대학교, 충남대학교, 2013년 경상국립대학교가 추가로 지정되어 아래와 같이 현재 총 10개 지원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파일:FRIC 센터.png

3.4. 상호대차

이용자 소속 도서관에 원하는 자료가 없을 경우 다른 도서관의 소장 학술자료 및 단행본을 활용할 수 있는 공동활용 서비스이다. 상호대차 회원기관이 보유한 단행본 및 학술자료 복사 및 대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소속기관 이용자의 경우 소속 도서관 담당자의 승인 후 이용이 가능하다.

3.5. 해외자료신청서비스(E-DDS)

국내 미소장 해외 학술자료를 KERIS와 협정을 맺은 해외 제공사로부터 입수하여 신청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RISS 회원을 대상으로 제공되며, 자료 입수 비용 일부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부당으로 해외 학술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중국대학 및 유럽의 주요 국립도서관(프랑스, 스페인)과의 협약을 통한 해외자료 신청도 가능하다.

3.6. 활용도 분석

활용도 분석을 통해 RISS에서 서비스 하고 있는 자료에 대해서 이용자들의 활용 정도 분석결과와 자료현황 통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3.7. 기타

4. 관련 문서


[1] 비로그인 상태에서도 원문을 이용하는 등 기본적인 이용은 가능하나, 개인화 서비스를 비롯한 일부 서비스 및 일부 자료는 로그인이 필요하다.[2] 일부 서비스는 소속기관별 권한에 따라 제한 사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