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0 13:32:59

RMS 퀸 엘리자베스


파일:RMS_Queen_Elizabeth.jpg

1. 개요
1.1. 생애
2. 제원3. 침몰4. 후계선5. 기타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RMS Queen elizabeth
(1940 ~ 1972)

1. 개요

영국 존 브라운 앤드 컴퍼니[1]에서 건조하고 영국 큐나드 라인에서 운영했었던 대서양 정기 여객선. 모항은 리버풀이고 자매선으로 1934년에 건조된 RMS 퀸 메리가 있다.

20세기 세계 최대의 여객선이었지만, 불의의 사고로 인해 침몰하는 운명을 맞이했다.

1.1. 생애

1936년 12월 4일 스코틀랜드의 존 브라운 조선소에서 착공되었고 1938년 9월 27일에 진수, 1940년 3월 3일에 취역하고 1940년 4월 24일 처녀항해가 예정되어 있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RMS 퀸 메리와 같이 병력수송선으로 징발된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1년 후, 1946년에 자매선인 RMS 퀸 메리와 같이 정기 여객선이라는 본연의 임무로 복귀하였고 1950년대에 갑판에 수영장을 추가하고, 1965년에는 대대적으로 보수공사에 들어갔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 1960년대 후반 보잉 707, 보잉 747 등 본격적인 제트 여객기들이 등장하면서 대서양 정기 여객선의 자리를 밀어내자, 막대한 유지비와 적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결국 RMS 퀸 메리가 1967년에 퇴역, RMS 퀸 엘리자베스도 1년 뒤인 1968년 10월에 퇴역한다. 퇴역하고 난 뒤 2달 동안 뉴욕항에 정박해 있다가 1968년 12월 에버글레이즈항으로 옮겨진다.

2. 제원

3. 침몰

파일:rms queen elizabeth wreck.jpg

원래 퀸 엘리자베스는 RMS 퀸 메리처럼 미국 플로리다에서 해상 호텔로 활용될 계획이었으나 무산되었다. 이후 플로리다 에버글레이즈 항에 정박해 있다가, 1970년 홍콩 출신 해운 재벌 C.Y. 퉁(董浩雲)이 해상 대학 “Seawise University”로 활용할 목적으로 매입하였다. “Seawise”는 퉁의 이름 이니셜 “C.Y.“와 “Seawise(바다를 아는)“를 결합한 말장난이었다.

1971년 홍콩으로 예인된 선박은 Queen Elizabeth에서 Seawise University로 명칭을 바꾸었고, 선체는 흰색으로, 굴뚝은 노란색으로 도색되었다. 해상 교육 프로그램인 World Campus Afloat의 거점으로 1972년 4월 출항을 목표로 개조 중이었으나, 같은 해 1월 9일, 정박지에서 수리 도중 대규모 화재가 발생했다.
불길이 잡히지 않고 폭발음까지 들리며 선체가 붕괴
화염은 빠르게 확산되며 내부 폭발로 이어졌고, 결국 선박은 좌현으로 전복되어 람블러 채널(Rambler Channel) 바닥에 좌초되고 말았다.

이후 몇 년 동안 잔해는 해저에 방치되었고, 1974년부터 한국 해체업체들이 선체 일부를 절단 및 인양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78년 인양 작업 중 젤리그나이트 폭약이 폭발하여 잠수부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인양은 중단되었다.

기술적 한계와 비용 문제로 인해 선체 대부분은 인양되지 못한 채 해저에 매몰되었으며, 이후 홍콩 정부의 콰이칭 컨테이너 터미널 확장 및 람블러 해협 준설 공사 과정에서 추가 해체 없이 해저 진흙 속에 덮이는 방식으로 처리되었다. 현재 잔해는 콰이칭 9번 컨테이너 터미널과 스톤커터스 브리지의 청이섬 쪽 교각 인근 해저, 약 12m 아래 진흙층 속에 묻혀 있다.

RMS 퀸 엘리자베스의 명판 일부(Q와 E)와 닻은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주 토런스(Torrance)에 전시되어 있다. 이곳에서 약 10km만 더 이동하면, 자매선인 RMS 퀸 메리가 정박해 있는 롱비치(Long Beach)를 방문할 수 있다.

4. 후계선

자세한 것은 RMS 퀸 엘리자베스 2 문서 참조.

5. 기타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eeeee0>파일:Royal_Cypher_of_Queen_Elizabeth,_The_Queen_Mother.svg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cdcdc1,#cdcdc1>역임 지위<colbgcolor=#fff,#1f2023>영국 왕비 · 영국 왕대비 · 영연방 왕국 왕비(인도 제국 황후 ·캐나다 왕비 · 호주 왕비 · 뉴질랜드 왕비) · 요크 공작 부인
생애 생애
재위 시기 왕비 시절 (제2차 세계 대전)
왕대비 시절
가족 관계 배우자 조지 6세 · 장녀 엘리자베스 2세 · 차녀 마거릿 공주
대중매체 더 크라운 · 킹스 스피치(킹스 스피치 연극판)
기타 영국 · 윈저 왕조 · 대영제국 · RMS 퀸 엘리자베스 · 세 황제의 해 · 월리스 심프슨 ·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 Keep calm and carry on
}}}}}}}}} ||

[1]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참전의 직접적인 원인이였던 RMS 루시타니아비스마르크 추격전에서 격침당한 전함 HMS 후드를 건조했었던 회사.[2] 자매선 퀸메리 처럼 현재까지 침몰 하지 않거나 해체되지 않고 보존되어 있었으면 무려 선령이 [age(1938-09-27)]년 된 선박이 된다.[3] 이쪽도 메리 1세가 아닌, 엘리자베스 2세의 조모인 테크의 메리 공녀에서 온 명칭. 반면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이나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은 확실히 엘리자베스 1세의 이름에서 딴 명칭이 맞다.[4] 2차 대전 당시 잠수함들은 속도, 특히 수중 항주 속도가 매우 느린 편이기는 하다.[5] 외관상으로 가장 눈에 띄는 차이점은 RMS 퀸메리는 3개의 연돌을 가지고 있지만 엘리자베스는 연돌이 1개 줄어 2개의 연돌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