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12:57:11

Rift of the NecroDancer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리프트 오브 더 네크로댄서
Rift of the NecroDancer
파일:RiftoftheNecroDancer.jpg
개발 Brace Yourself Games, Tic Toc Games
유통 파일:세계 지도.svg 클레이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Microsoft Windows
ESD Steam
장르 리듬 게임
출시 PC
2025년 2월 6일
엔진
한국어 지원 지원
심의 등급
해외 등급
관련 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시스템 요구 사항4. 게임 정보
4.1. 게임 모드4.2. 난이도4.3. 등장하는 노트의 종류
4.3.1. 슬라임4.3.2. 해골4.3.3. 방패 해골4.3.4. 박쥐4.3.5. 웜4.3.6. 블레이드마스터4.3.7. 하피4.3.8. 아르마딜로4.3.9. 좀비4.3.10. 음식류4.3.11. 기믹 및 트랩
4.4. 보스전
5. 등장인물6. 평가7. 기타

[clearfix]

1. 개요

Brace Yourself Games에서 개발한 Crypt of the NecroDancer의 스핀오프이자 후속작. 전작의 여러 몬스터의 기믹을 건반형 리듬 게임으로 녹여냈다.

2. 발매 전 정보

최초 공개 트레일러
공식 출시 트레일러

3.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Windows)
구분 최소 사양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운영체제 Windows 10
프로세서 Intel Core i3-2100 or AMD FX-4100, 6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S 250 or AMD Radeon R7 240, 1GB VRAM

4. 게임 정보

※ 데모 버전 기준
크립트 오브 더 네크로댄서에서는 볼트를 제외하면 반박자 컨트롤이 필요하지 않으나, 리듬 로그라이크였던 전작과 달리 완전한 리듬게임이 된 본작에서는 반박자 입력이 굉장히 중시된다. 몬스터의 태생적인 능력 뿐만 아니라 애초에 엇박으로 다가오는 몬스터도 있어서 어떤 몬스터가 정박이고 어떤 몬스터가 엇박인지 순간적으로 혼란이 올 수 있기 때문에 패턴을 외우기 전까지는 맞으면서 배워야 한다.

24년 10월 경 업데이트를 통해 난이도 표시 체계가 개편되었고, 2곡 추가와 기존의 하드 상위 난이도인 임파서블이 추가되었다.

4.1. 게임 모드

4.2. 난이도

4.3. 등장하는 노트의 종류

모든 노트는 네크로댄서에 등장한 몬스터나 소비 아이템이다. 이하 대부분의 몬스터가 1칸 내려오는 시간, 또는 1칸 거리를 1비트로 정의하고, 곡의 기준 비트에 맞춘 입력을 정박, 곡의 기준 비트에서 0.5비트 벗어난 입력을 엇박이라 칭한다.

4.3.1. 슬라임

4.3.2. 해골

4.3.3. 방패 해골

어떤 색의 해골이든 들고 나올 수 있다. 1회 타격을 막기 때문에, 방패 해골에게 1타를 때리려면 1비트에 2회, 0.5비트당 1번씩 타격해야 한다. 해골 색깔, 방패 유무, 엇박에 내려오는 해골 삼신기가 조합되면 지옥의 정박엇박 이지선다가 걸린다.

4.3.4. 박쥐

4.3.5.

4.3.6. 블레이드마스터

4.3.7. 하피

4.3.8. 아르마딜로

박자를 1/3박씩 쪼갠다.

4.3.9. 좀비

4.3.10. 음식류

슬라임과 유사한 패턴. 하지만 박자마다 1씩 체력을 회복시켜 준다. 음식을 놓쳐도 미스처리가 되지 않고 생명이 줄어들진 않지만 배수가 1로 떨어지기 때문에 사실상 일반 노트와 크게 다르지 않다. 때문에 몹들 사이에 섞여서 나오면 이게 체력 회복용인지 공격용인지 아리송한 경우도 많다.

4.3.11. 기믹 및 트랩

4.4. 보스전

====# 1스테이지 #====
보스 : 하모니

하모니는 직접 육탄전으로 공격해온다. 항상 좌/우로만 공격하기 때문에 숙이기 키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전반적으로 첫 보스다보니, 패턴을 구분하기도 쉬운 편이다. 회피 방향이 나오지 않는 하드 모드 기준으로도, 다음 두 가지를 기억하면 수월하게 상대할 수 있다.
====# 2스테이지 #====
보스 : 킹과 퀸

원작과 마찬가지로 체스 기물들을 이용해서 공격한다. 기물은 공격 바로 전 박자에 공격위치로 전진하여 밝게 빛나며, 그 다음 박에 반대방향으로 피해야 한다. 공격에 사용되는 기물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각 페이즈의 패턴은 다음과 같다.
공격 전에 기물들이 어깨춤을 추는데, 이를 잘 관찰하면 폰으로 공격이 시작될지, 다른 기물들부터 공격이 시작될지, 특히 비숍 속공으로 공격이 시작될지를 짐작 가능하다. 폰 또는 나이트로 시작되는 공격이 제일 상대하기 편하며, 룩으로 시작하는 공격은 룩의 공격보다 비숍 속공이 먼저 날아온다. 어떤 패턴이든 비숍 속공은 최대한 반사신경으로 피해주고, 룩은 깔아두는 시간차 공격이므로 밝아지기 전까지는 무시하고 다른 기물에 신경을 집중하는 게 포인트. 또, 3페이즈부터는 플레이어의 공격에 퀸이 빡친 다음에 반격해온다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페이즈가 변할 때도 퀸이 빡치는데, 이때는 반격이 날아오지 않는다. (기물이 날아가는 것으로 구분 가능)

체스 킹이 원래 그렇긴 하지만, 전작처럼 킹은 하는 게 없다. 그나마 혼자 남으면 최후의 발악이라도 하던 전작과 달리 이번작에서 킹의 역할은 뒤에서 콘트라베이스나 뚱땅거리다 패배하는 퀸을 보면서 경악하는 게 전부. 퀸이 패배하면 보스전은 끝이다.

====# 3스테이지 #====
보스: 매트론

보스전 시작 시 케이던스와 친구들 4명의 인형을 위에 띄워두고 시작하며, 매 페이즈가 시작할 때 인형을 하나씩 손에 들고 있는 장난감 태엽상자에 흡수한다. 서로 다른 색깔의 말 인형을 이용해 공격한다. 앞의 보스들과는 달리 선공하지 않고 좌우좌 또는 우좌우로 살랑대며, 살랑거림이 끝나는 3번째 박자에 움직이는 방향 버튼을 눌러 공격해야 패턴이 시작된다.

각 페이즈의 패턴은 다음과 같다.
말의 색상은 1페이즈부터 모두 나오지만, 페이즈가 진행될 수록 더욱 피하기 힘든 패턴의 연속기가 날아오는 게 특징이다. 특히 3~4페이즈에서, 분홍 말로 시선을 끈 다음 분홍 말이 화면 밖으로 나가는 타이밍에 반대방향에서 하얀 말로 속공하는 패턴(패턴상 분홍 말이 단독으로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분홍 말이 화면을 나갈 때 같은 방향으로 회피하고 이어서 숙이면 파훼된다.), 파란 말과 하얀 말을 동시에 등장시켜 왼쪽 먼저 피할지 오른쪽 먼저 피할지 이지선다를 거는 패턴, 그리고 하얀 말, 파란 말과 분홍 말을 섞어 회피타이밍과 회피키를 꼬아버리는 패턴을 주의할 것.

불행 중 다행인 점은, 매트론은 능동적으로 공격하지 않으며, 때문에 항상 패턴의 시작은 플레이어의 선공에서부터 이어진다는 점이다. 피하지 못하면 때리지도 못하는 다른 보스전과 달리, 매트론은 4페이즈까지 체력 관리를 잘 해놨다면 최악의 경우 몇 대 정도는 맞아가면서 깰 수도 있다.
====# 4스테이지 #====
보스 : 리퍼

====# 최종(스포일러) #====
보스 : 네크로댄서

5. 등장인물

전작의 많은 등장인물들이 일신된 모습으로 등장한다. 케이던스의 가족과 네크로댄서, 녹터나와 컨덕터를 제외하면 캐릭터 사이의 상호작용이 없던 전작과 달리 제대로 된 회화와 상호작용이 있다.
전작에 이은 본작의 최종 보스로, 황금 류트의 힘으로 차원이동을 통해 균열을 만들고 모든 사람들을 괴물로 만든 원흉이다.
본작에서 되살아난 아리아에 의해 낭떠러지로 굴러떨어져 사망했으나,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황금 류트를 복구시키고 연주한 스즈에 의해 지하묘지의 괴물들과 함께 되살아나게 된다. 그러던 중 스즈에게서 황금 류트를 빼앗는데 성공, 리퍼까지 도리안[8]과 비슷한 방식으로 굴복시켜 자기 졸개로 만들어 버린다.
다시 황금 류트를 손에 넣은 네크로댄서는 류트의 새로운 기능을 알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지하묘지의 괴물과 이세계 주민의 영혼을 바꿀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이용해 전이된 이세계에 균열을 여는 등의 혼란을 일으키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부리던 졸개인 리퍼까지 쓰러지자 본색을 드러내고는 포위된 상황에서도 "오히려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다"며 의기양양한 모습을 보이지만, 결국 케이던스에게 패배해 류트를 빼앗긴다. 그것도 모자라 케이던스 일행이 류트의 힘으로 이세계 사람들을 원래 모습으로 복구하는 동안 일했던 햄버거 가게에서 짤리고 이리 채이고 저리 채이는등 굴욕을 당한다. 그런 와중에도 류트를 탈환하려 시도했지만 헛수고.[9] 그래도 원래 세계로 돌아가기 위해선 네크로댄서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균열을 통과해야 한다는 제약 때문에 목숨은 건졌으며 균열을 통과하기 전 묘수가 떠올랐는지 의미심장한 미소를 짓는다.[10]}}}
챕터 1의 보스. 정체는 전작의 일반 몬스터 밴시로 테마인 She banned의 ned를 자르고 앞뒤를 바꾸면 밴시(Banshee)와 거의 같은 Ban she가 되고 2페이즈의 산발한 모습과 괴성을 지를 때 소리가 안 들리게 되는 점으로 유추할 수 있다.}}}
전작의 '어미라'(mommy)가 옷을 입고 가면을 쓴 모습으로, 보스전 도중 깨진 가면 사이로 붕대와 초록피부, 주황색 눈을 확인할 수 있다. }}}
케이던스에게 너희 가족 때문에 리퍼랑 내가 집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다며 화를 내는데, 리퍼와 함께 지하묘지에 떨어졌을 때 황금 류트에 대한 사실을 알게 되었고, 그것을 통해 집으로 돌아갈 계획을 세우고 있었는데... 아리아가 황금 류트를 파괴하면서 집으로 돌아갈 수단을 잃게 된 것.
마땅한 대체재를 찾지 못한 스즈는 부서진 황금 류트를 수습해 수리하기 시작했고, 몇 년의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 황금 류트를 완전히 수리하는 데 성공했다. 문제는 황금 류트가 돌아오면서 지하묘지의 괴물들이 다시 살아났고, 케이던스 일가에게 죽었던 네크로댄서까지 되살아나고 말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황금 류트를 네크로댄서에게 빼앗겼고, 네크로댄서는 다시 자기 수중으로 돌아온 황금 류트의 새로운 기능을 찾으면서 본작의 스토리가 시작된다.
엔딩에서는 류트 수리 경험을 살려 하룻밤만에 다시 고쳐내며, 마지막에 돌아갈 때 네크로댄서를 포박한 채로 끌고온다.}}}

6.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25. 2. 9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rift-of-the-necrodancer/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rift-of-the-necrodancer/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25. 2. 9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 평론가 평점
82 / 100
평론가 추천도
93%
유저 평점
XX / 100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기준일:
2025. 2. 9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073250/#app_reviews_hash| 압도적으로 긍정적 (9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073250/#app_reviews_hash| XX적 (X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한글 번역에 대해서는 튜토리얼, 멀린의 말장난 같은 점을 잘살린 부분들도 있으나, 대화가 전반적으로 딱딱하게 어색하다던가 도브를 비둘기로 직역하는 등 일부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이 있다.[12] 하지만 그외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해하거나 스토리모드를 진행하는데에 있어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7. 기타



[1] 풀 콤보만으로는 안되며 모든 판정이 퍼펙트여야 한다.[2] 곡의 속도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3] 정확히는 변속이라는 기믹이 추가된다.[4] 레드 드래곤 댄스의 초반부와 동일[5] 케이던스의 할머니로, 전작에서 황금 류트를 부수고 사망했다.[6] 이때 케이던스는 정말 싫어하는 반응을 보이며, 네크로댄서의 조언으로 멀린과 헤피아스토스를 만났음에도 그에게 감사 한 마디조차 표하지 않으려고 했다. 원래부터 주인공 일가의 원수나 다름이 없었으니 당연한 반응이겠지만.[7] 전작 Disco Descent의 어레인지 곡이다.[8] 케이던스의 친부로, 병사한 아내 멜로디를 살려내기 위해 황금 류트를 찾으러 갔다가 네크로댄서의 마법에 의해 그의 졸개로 전락했었다.[9] 그것도 자신이 부하로 부려먹던 하모니, 딥 블루스, 매트론, 리퍼에게 제지당했다. 심지어 햄버거 가게에서 해고한 인물도 딥 블루스다. 자의와 상관없이 강제로 부려먹었으니 당연한 결과겠지만.[10] 균열을 다같이 통과하더라도 전부 같은 위치로 동시에 날려갈지 장담할 수 없고, 실제로 본작에서도 균열에 휘말린 인물들은 전부 제각각 흩어졌었기 때문에 이러한 일이 또 벌어진다면 네크로댄서가 원하는 전개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11] 케이던스는 멀린을 인간적으로 굉장히 좋아하지만, 이 말장난은 최악이라고 평할 정도로 싫어한다.[12] 다만 도브의 경우는 원작에서도 비둘기로 잘못 직역 됐기에 원작을 따라 번역된 것일 수도 있다.[13] 케이던스의 목소리 역시 초기 데모에서는 전작과 거의 비슷한 분위기를 풍겼으나, 10월 4일 업데이트를 기점으로 상당히 밝아졌다.[14] 네크로댄서는 논외. 적대 관계에 놓였을 때에도 플레이어가 죽기 직전이면 이마를 짚고 낙담하는 모습을 보인다.[15] →↑→←→↓→←→↑→←→↓→→[16] "와, 그걸 기억해?!" - 성공적으로 붉은 드래곤 댄스 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