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군 항공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전투기 | <colcolor=#373a3c><colbgcolor=#b0e000> 복엽기 | CR.30, CR.32, CR. 42 팔코, Ro.44 | ||
단엽기 | C. 20x 시리즈, Re. 200x 시리즈, G.50 프레치아, G.55 첸타우로, D.520F, Bf 109G, | ||||
중전투기 | |||||
폭격기 | 경폭격기 | 블렌헤임 Mk.IVC | |||
中폭격기 | Ca.311, Ca.135, BR.20 치코냐, SM.79 스파르비에로, SM.84, SM. 81 피피스트렐로, Z.1007 알치오네, Z.1018 레오네, Z.515, | ||||
重폭격기 | SM.82, P.108B, | ||||
급강하 폭격기 | Z.501, SM.85, | ||||
공격기 | Ba.65, Ba. 88, | ||||
수송기 | SM. 79, SM. 75, SM. 82, SM. 95, P.108T, AL-12P, Ju 52G | ||||
정찰기 | Fi 156G | ||||
※ 윗첨자 F: 프랑스 기체, G: 독일 기체, Z: 제트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Savoia-Marchetti SM.91
1. 제원
사보이아 마르케티 SM.91(1호 프로토타입) 승무원: 2명(조종사, 후방사수) 전장: 13.25 m 전폭: 19.7 m 전고: 3.85 m 익면적: 41.76 m² 공허중량: 6,400 kg 최대이륙질량: 8,900 Kg 최고 속력: 585 km/h(고도 4,000m에서) 항속거리: 1,600 km (고도 3,000m에서 400km/h로) 최대 상승 고도: 10,800 m 무장: 기수에 20mm MG 151 기관포 3문[1], 주익 내측에 20mm MG 151 2문[2] 방어무장: 20mm MG 151 1문 또는 12.7mm 브레다-SAFAT 1정[3] 폭장: 최대 500kg ~ 1600kg(자료마다 수치가 다름.)[4] 출력원: 다임러 벤츠 DB 605 A-1 수랭식 12기통 V형 엔진 2기(이륙시 1,475 마력)[5] |
2. 개발, 이탈리아 공군의 기대를 받은 다목적 중전투기
[출처]SM.91의 삼면도
사보이아 마르케티(Savoia-Marchetti) 사는 트윈붐(Twin-boom) 쌍발기를 1930년대부터 개발하고 있었다. 개발 중, 수출용으로 탄생한 다목적 전투기가 있는데 바로 SM.88이다. SM.88은 12.7mm 브레다-SAFAT 3정으로 무장하고 조종사 2명과 후방사수 1명이 탑승했다. SM.88은 1939년에 시제기가 첫 비행에 성공해서 사보이아 마르케티사의 쌍발기 개발은 순조로웠다. 특히 독일제 다임러 벤츠 DB 601 엔진을 사용해서 다른 이탈리아 기체와 다르게 출력부족으로 고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SM.88의 수출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졌다. 그렇게 되자 개발해둔 것이 아까웠던 사보이아 마르케티사는 이탈리아 공군에 채택되기위해 SM.88의 장점을 드러내며 다목적 전투기의 배치를 권유했다. 그 결과, 이탈리아 공군은 나름 일리가 있다고 봐서 SM.88은 이탈리아 공군의 요청에 따라 SM.88을 개량하기 시작했다. 그과정에서 사보이아 마르케티사가 출력이 더 높은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고려했고, 이탈리아 공군이 엔진 교체를 받아들이면서 SM.88의 계획은 새로운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SM.88에 장착될 새로운 엔진은 독일제 다임러 벤츠 DB 605로 마침 독일에서 엔진을 소량 수입해 오면서 기존의 SM.88은 환골탈태에 가까운 개선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름을 'SM.91'로 변경하게 된다. 이탈리아 공군은 신형 기체는 시속 620km/h로 비행 할 수 있으면서, 1,600km의 항속거리를 가지며, 폭장이 가능해야 한다는 요구사항을 내놓았다. 요구사항을 수용하면서 SM.88이 SM.91로 변경하면서 자잘하게 많은 점이 바뀌었다. 먼저 슈퍼차저가 장착된 엔진을 사용해서 고고도에서도 성능을 발휘 할 수 있게 한 뒤, 고고도에서도 충분한 양력을 얻을 수 있게 주익이 5m 가까이 길어졌고, 기체도 거대해졌다.
무장은 당시 이탈리아군이 주목한 독일제 MG 151 기관포로 무장하기로 했다. 무장은 기수에 집중했으며, 지상공격을 위해 충분한 화력을 가져야 했기 때문에 기관포를 3~4정을 장착하기로 했다. 거기에다가 트윈붐 쌍발기답게 주익 안쪽에도 무장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2정의 무장을 더 달았다. 주익 안쪽 무장은 기록마다 조금씩 다른데, MG 151 2정이라는 말도 있고 12.7mm 브레다-SAFAT라는 말도 있다. 어쨌든 최소 20mm 3정을 장착했으니 연합군 전투기를 제압하는데 큰 문제는 없었을 것이다. 방어무장은 주무장과 마찬가지로 20mm MG 151 1정 또는 12.7mm 브레다-SAFAT를 장착하려고 했다. 여기서 방어무장은 원격조작 터렛에 장착 하려고 했다고 한다. 피아지오 P.108의 원격조작 터렛의 사례를 보면 원격조작 터렛의 제작은 불가능하지 않았겠지만, SM.91은 동체 형상을 봐서는 굳이 원격조작 터렛을 사용하지 않아도 될 위치에 방어무장이 장착되게 된다. 결과적으로는 시제기만 제작되었기 때문에 방어기총을 최종적으로 어떻게 장착하려고 했는지는 알 수 없다.[7]
SM.91은 1943년 3월에 1호 시제기가 처녀비행을 했다.[8] 비록 최고속력은 580km/h 대였지만, 이탈리아 공군은 SM.91의 성능이 충분하다고 보았다. 다만 여기서 신형 쌍발기를 채택하진 않았는데, 왜냐하면 다른 경쟁작이 있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자사의 SM.92가 있다. SM.92는 Bf109Z나 F-82 트윈머스탱과 같은 쌍동체를 가진 기체였다. 사보이아 마르케티사는 다목적 전투기 프로젝트에 나름 자신이 있었지만 이탈리아 왕국이 1943년 9월 항복하면서 모든 사업이 파토났다. 이후 독일군에게 노획되어 이탈리아 북부의 베르지아테(Vergiate)에서 몇번의 시험 비행을 했지만, 1944년, 연합군의 공습으로 시제기가 파괴되었다.
2.1. P-38 라이트닝과의 연관성?
SM.91의 형상은 굉장히 P-38 라이트닝과 닮았다. 그러다보니 SM.91이 P-38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말이 있었다. 그렇지만 둘은 전혀 관계가 없다. 근본적으로 1930년대 말에 개발한 SM.88을 개량해서 탄생한 SM.91이 1943년에 처음 본 미국 전투기인 P-38을 보고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재미있게도 SM.91과 P-38은 완전 다른 나라인 이탈리아와 미국에서 다른 회사인 사보이아-마르케티와 록히드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체가 누가 누구를 베낀 것처럼 비슷하게 생겼다는 점이다.[9]이런 일화는 항공 사업중에 의외로 자주 등장하며, 대표적 사례로는 소련의 Su-25이 미국의 YA-9을 베낀 것이 아니냐는 소문이 있는데, 결과적으로는 여러므로 최선의 설계를 하다보면 일종의 수렴 진화를 한다는 것이었다.
3. 기타
항공 시뮬레이션 게임 워 썬더에 1.85 패치로 3티어 공격기로 등장했다.[1] 4문이라는 말도 있음.[2] 12.7mm 브레다-SAFAT를 장착한다는 말도 있음.[3] 이중 MG 151이 탑재된 형식의 경우에는 원격 조종이 가능하다[4] 영어 위키에서는 1,640 kg, 이탈리아어 위키에서는 500kg, 독일어 위키에서는 1,000kg.[5] DB 605의 이탈리아 라이센스 버전인 알파 로메오 RA.1050 R.C.58 티폰(Tifon)엔진이라는 말도 있음.[출처] 영문 위키피디아[7] 위에 언급된 P.108의 개량형인 P.133은 종종 고장이 나는 원격조작 터렛을 제거하고 미국 폭격기닮은 터렛을 장착하려고 했다. 어찌되었든 원격조작터렛의 신뢰성은 이탈리아 산업력 기준으로 그다지 좋다고 말하긴 어려웠다.[8] 1호 시제기와 2호 시제기의 차이는 무장의 유무였다.[9] 가장 큰 차이는 SM.91이 P-38보다 주익이 훨씬 더 길다. 그리고 SM.91은 테일윌 타입(Tail-wheel type) 랜딩기어고 P-38은 트라이사이클(Tricycle) 랜딩기어라 지상에 있는 사진을 보면 확실한 차이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