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12:44:22

워게임: 레드 드래곤/유고슬라비아

WRD/유고슬라비아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워게임: 레드 드래곤
<colbgcolor=#fff,#191919> 워게임: 레드 드래곤 등장진영
BLUFOR - 북대서양 조약기구 및 협력국
미합중국
(USA)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영 연방
(COMMONWEALTH)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호주 국기.svg
ANZAC
유럽방위군
(EUROCORPS)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
스칸디나비아 연합
(SCANDINAVIA)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청룡 연합
(BLUE DRAGON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남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북아메리카 항공우주 방위군
(NORAD)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유틀란트 지상군 동맹
(LANDJUT)
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네덜란드-독일 연합 군단
(DUTCH-GERMAN CORPS)
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이스라엘 국방군
(ISRAEL DEFENSE FORCE)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
남아공 국가 방위군
(SANDF)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공
- -
이탈리아군
(Forze armate italiane)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 -
연합 해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Flag_of_NATO.svg.png
NATO 연합해군
REDFOR - 바르샤바 조약기구 및 협력국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USSR)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
동구권 연합
(EASTERN BLOC)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적룡 연합
(RED DRAGONS)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발트 전선
(BALTIC FRONT)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
협상국
(ENTENTE)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
연합 해군 파일:external/orig14.deviantart.net/flag_of_the_new_warsaw_pact_by_redrich1917-d6znw3z.jpg
PACT 연합해군


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전투단
1.1. 지휘(LOG)
1.1.1. 지휘1.1.2. 보급
1.2. 보병(INF)1.3. 지원(SUP)1.4. 전차(TNK)1.5. 정찰(REC)1.6. 차량(VHC)
1.6.1. 수송차량1.6.2. 대전차차량1.6.3. 화력지원차량
1.7. 헬기(HEL)
1.7.1. 수송헬기1.7.2. 공격헬기
1.8. 항공(AIR)




연도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다
WRD유고슬라비아 인민군 항목.

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전투단

유고 내전때의 찌질한 국가붕괴직전의 유고가 아닌 한때 4대 군사 강국에 들 정도로 강했던 잘나갔던 시절의 유고연방군으로 나왔다. 강력한 비레이더[1] 지대공 방공, 다연장로켓 전력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새거 변종 투성이인 다소 아쉬운 ATGM 전력[2], 하인드같은 본격적인 공격헬기들이 없어 체코슬로바키아와 연합을 맺고 특출난 친구들을 데려오는 것이 좋다. Ondava로 대표되는 체코군의 자주포 전력, 콩쿠르스-M ATGM, Výsadkáři, Speciální Jednotky '90, AGS-17 Granatomat 등 보병진 일부와 T-72 모데르나, Mi-35 하인드 등을 가져와 체코한테는 부실한 항공기와 방공을 때우고, 유고한테는 애매한 공격헬기와 ATGM 전력등을 매꿀수 있다.

다른 특이한 점은 로켓에 네이팜 특규를 달고 있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설명에 말류트카가 탄속이 느리다고 써져있는데 BVP M-80A와 BRDM-2 MALYUTKA-P를 제외하면 AP가 17인 말류트카 P1부터는 탄속이 1000으로 츄맷과 똑같다. 잘못된 설명이므로 유의.[정정]

1.1. 지휘(LOG)

1.1.1. 지휘


* 차량화 지휘 차량 트리파일:유고 지휘지프.png* M-1107 MKŠk [110]피아트 1107의 면허 생산이며 10 포인트를 더 먹는 대신 야지속도가 120km이다.* KOT BRDM2U (BRDM-2) [120]


* 기계화 지휘 차량 트리* VBK M-60PK [100]무장)M2 Browning MMG


* T-55AK [120]무장)100mm D-10T 주포 / DShK MMG* M-84AK [170]무장)125mm 2A46M 주포 / NSVT MMG전차 CV지만 M-84 기반이라 전투력이 괜찮은편.


* 헬기* HK-41 Komandni (HK-41 지휘형, Mi-2) [100]

1.1.2. 보급

1.2. 보병(INF)

1.3. 지원(SUP)

1.3.1. 포병

1.3.2. 방공

1.4. 전차(TNK)

기본 AP가 19이기 때문에 거리가 가까우면 게임 내에서 최고 관통력인 30까지 찍을 수 있어, 챌린저2를 제외한 그 어떤 전차라도 M84 2대가 숲속에서 강제스팟되는 거리에서 두방 뻥뻥 쏴맞추면 반드시 죽는다. 즉 인게임 판정상 매우 큰 이득을 볼 수 있는 전차. 그런데다가 전면장갑이 15라서 마찬가지로 근접거리에서 AP30인 공격을 맞아도 체력 1이 남고 살기 때문에, 하이엔드 전차를 단독으로 운영하는 상대에게 연막을 뿌리고 카운터펀치를 날리기 매우 좋다.
또한 야지 이동속도가 75km/h인데, 대부분의 전차들보다 비교해 더 빠른 속도를 가졌다. 막말로 미국 하이엔드인 M1A2의 야지속도가 70km/h이고 소련 하이엔드인 T-72BU의 야지속도는 65km/h이다. 대부분의 하이엔드급 전차보다도 빠른 것이다. 타국의 몇 없는 M-84와 속도가 같거나 빠른 전차들도 최소한 준하이엔드급부터 나오기 시작하는데 얘는 미들급인데도 대부분의 전차 상대로 교전에서 우선권을 가진다.
무슨 말이냐면 M-84A들이 후퇴하는 적 전차를 따라가며 물고 늘어질 경우 야지속도 차이 때문에 대부분의 전차는 절대 도망칠 수 없으며, 반대로 M-84A 본인이 후퇴할 경우 마찬가지로 몇몇 일부 전차만 제외하고는 절대 후퇴하는 M-84A를 따라잡을 수 없다. 이는 상기한 AP19와 함께 엄청난 이점인데 두방을 빵빵 쏠만한 각이 나오면 M-84 2대 이상을 자신있게 들이대서 적 전차만 잡아버리고 유유히 후퇴해서 빠져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게 무슨 하이엔드급도 아니고 미들급인데도 이렇다.
특히 대부분이 수동장전 전차인 블루포 진영을 상대할때 먼저 플라멘을 뿌려서 수동장전 전차를 바보로 만들어버린 뒤 이런 카이팅을 해대면 당하는 상대 입장에선 미치고 팔짝 뛸 노릇. 하이엔드 뽑았다고 과신하는 상대에게 제대로 엿을 먹여줄 수 있다.
다만 이런 인게임 판정상 볼 수 있는 이득을 잘 뽑아내지 않으면 95포인트라는 비싼 가격대비 장갑 15라는 수치 자체는 그렇게 높지 않으므로 대충대충 써먹으면 교환비에서 밀리게 된다. 아무리 장점이 있어도 미들급은 미들급이라 준하이엔드급 이상되는 적 전차와 평지에서 거리가 벌어진 채 싸우게하면 체급차이 때문에 무조건 밀리니 가급적 숲속에서 쓰자.
원래는 가격 90포인트에 연사력이 분당 9발이었는데, 가격이 95포인트로 인상되는 너프를 받았고 여기에 더해 연사력도 분당 8발로 너프를 먹었다. 이제 1대 단위로 별다른 기동 없이 내버려둘 시 숲속에서조차 연사력 차이 때문에 역으로 따일 일이 많아졌다. 기동력을 이용해 빼꼼샷을 엄청 잘하든, 2대 단위로 써서 2발을 바로 발사해 순식간에 상대 전차를 박살내서 연사력을 의미없게 만들든 하는 식으로 좀 더 신경써서 사용해야 한다.


* M-91트리M-91들의 주포는 125mm 답게 HE4와 함께 분당 10발의 연사력을 자랑한다. 여기에 자동장전이라 연사력이 사기의 영향을 받지도 않아 보병 1개 분대따위는 금방 지워버리는데다가 하이급 전차답게 AP도 높아서 블루포의 전차들과 싸워도 전혀 꿀릴게 없다. 특히 보통 레드포 전차들은 더 높은 고폭데미지와 자동장전 속성을 가진 대신 어지간한 하이급조차 블루포 대비 잉여스런 명중률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은데, M-91트리는 상기한 높은 고폭데미지와 자동장전을 그대로 다 가졌으면서도 명중률이 블루포 고급전차 수준이다. 여기에 더해서 둘 다 야지 이동속도가 80km/h로 그 빠른 M-84A보다도 5km/h 더 빠르다. 그야말로 DLC 국가다운 성능.

1.5. 정찰(REC)

1.6. 차량(VHC)

1.6.1. 수송차량

1.6.2. 대전차차량

ATGM이 안좋으므로 웬만하면 체코 트리에서 가져와야 한다.

1.6.3. 화력지원차량

1.7. 헬기(HEL)

1.7.1. 수송헬기

1.7.2. 공격헬기

1.8. 항공(AIR)

유고슬라비아 공군은 원래의 항공기 형식명 대신, 자신들만의 항공기 분류 코드로 이름을 붙였다.[참조] 전반적으로 폭격기들이 여러 종류의 폭탄을 들고 나온다.


[1] 목측 호크에 기동성까지 겸비한 느낌[2] ATGM들이 코스트대 관통수치가 높게 나오기는 하지만 사거리가 하나같이 짧다. 심지어 건쉽에서 나가는 미사일중 사거리가 2625m가 되는게 하나도 없다.[정정] 츄맷과 말류트카의 최고속도는 1000으로 동일하지만 가속력은 츄맷이 1000, 말류트카 시리즈가 500으로 포구초속이 두배나 느리며 서방의 토우 시리즈와 완전히 동일한 탄속이다. 따라서 이 서술은 옳지 않다.[4] 유고슬라비아의 정예여단에 붙는 호칭.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부대였던 제1프롤레타리아여단에서 유래했다. 출처. 소련군 부대명에 붙는 근위~와 비슷할지도?[5] 에릭스랑 헷갈리는 사람도 있는데 붐바르는 세르비아 자체 개발품이다.[6] 사실 이와 비슷한 사례는 이 게임에서 어느 정도 많다. 예를 들어 프랑스의 헬기중 TIGRE HAD는 2013년에 실전 배치 된 것 이다.[7] 대전차 미사일 시스템[8] 자주박격포[9] 자주곡사포[10] 자주 다연장로켓 발사기[11] 자주대공포[12] 방공미사일 시스템[13] 장갑 19는 3방을 맞춰야 터지는 반면 장갑 18은 2방이면 터진다. 90~100 포인트짜리 항공기가 매버릭 2방 맞추면 터진다는 소리.[14] 상면장갑 4는 HE 20 짜리 레이저 유도폭탄 2발에 버티는 반면 상면장갑 3은 얄짤없이 터진다.[15] 82nd Marine Center "Shadows"[16] 정찰 전투차[17] 정찰 헬리콥터[18] 프랑스의 가젤 경헬기를 유고슬라비아의 SOKO社에서 라이센스 생산함.[19] 수송 장갑차[20] BTR-60의 루마니아 생산 버전.[21] 보병전투차[22] 다목적 헬리콥터[23] 수송 헬리콥터[24] 무장 헬리콥터[참조]
L - Lovac : 전투기
J - Jurišnik : 공격기
N - Nastavni : 훈련기
[26] 설계 자체는 유고슬라비아의 SOKO社 에서 자력으로 했다. 그러나 실제로 만들어 졌다면 라팔에도 들어갔던 스네크마 M88 엔진과 미카 대공 미사일을 썼을거라고. 설계도 라팔것을 참조했으므로 라팔로 봐도 무방하다.[27] F-86D는 전기형 세이버라서 우리가 아는 형상과는 조금 다르다. 전면부의 노즈콘이 없어지고 큰 공기흡입구가 생긴건 F-86F 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