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18:09:44

M18 헬캣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별명이 같은 미 해군의 함재기에 대한 내용은 F6F 헬캣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별명이 같은 미 해군의 함재기:
F6F 헬캣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미군 기갑차량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808000> 제2차 세계 대전
미군기갑차량
전차 <colbgcolor=#808000> 경전차 M1, M2(A1/A2/A3/A4), M3(A1/A3), M5(A1), M22 로커스트, M24
중형전차 M2A1, M3 (A1, A2, A3, A4, A5, A6), M4, M4A1 "터틀백", M4A1 (76) W, M4A1E8, M4A1E9, M4 "컴포지트 헐", M4A2, M4A2 (76) W VVSS, M4A2E8, M4A3, M4A3E4, M4A3 (76) W, M4A3E8, M4A3 (75) W HVSS, M4A4, M4A6
중전차 M6, M26 퍼싱, T26E4-1(M26A1E2) 슈퍼 퍼싱
장갑차 차륜 장갑차 M8 경장갑차, M20 유틸리티 카, M3 스카웃 카, M3A1 스카웃 카, 포드-오스트레일리아 S1 스카웃 카, T18 보어하운드, T24 스카웃 카, M5 중형장갑차, T27 장갑차
궤도형 장갑차 M39 AUV
반궤도 장갑차 M2, M3, M5, M9
상륙장갑차 LVT, LVT(A)-4
자주포 자주박격포 M4 MMC, M4A1 MMC, M21 MMC
돌격포/돌격전차 M8 HMC "스콧", M4 (105) VVSS, M4A3 (105) VVSS, M4 (105) HVSS, M4A3 (105) HVSS, T26E2 시제 중전차P
자주곡사포 M7 HMC M12 GMC, M40 GMC, M43 HMC
대전차 자주포 M6 파고, M3 GMC, M10 GMC, M10A1 GMC, M18 헬캣, M36 GMC, M36B2 GMC, M36B1, M8A1 GMC
자주대공포 M13 MGMC, M14 MGMC, M15 CGMC, M15A1 CGMC, M16 MGMC, M17 MGMC, M19 더스터
차량 CCKW, 윌리스 MB, 포드 GPA, DUKW, 스튜드베이커 US6, M4 포병트랙터, M29 위즐,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M24 1톤 트럭, M25 드래곤 웨건
모터사이클 할리 데이비슨 WLA, 할리 데이비슨 ELA, 인디언 640B, 인디언 741, 인디언 340, 인디언 M1, 인디언 841
프로토타입 T1, T1 경전차, M1, T2, T7, M7, M3A2, M4A1 (T1), M4A4E1, T14, T20, T21, T22, T23, T25, T28,
T29, T30, T32, T34, T40, T49, T67, T92, M38 울프하운드, T55E1 GMC
노획 차량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신포탑 치하S, 하고S, 4식 포전차 호로S, 치누S,5식 중전차 치리S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1호 전차 C형E, 2호 전차 F형, 2호 전차 G형,3호 전차,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E, 6호 전차 티거E, 티거 2E,M3 하프트랙E, T-34-76E, T-26E, 7TPE, BT-7E, KV-2E, 르노 FTE, 소뮤아 S35E, 세모벤테 90/53E, 세모벤테 149/40E, 4호 구축전차 (A)E, 게쉬츠바겐 티거E, 로이머 SE, 판터IIE, 세모벤테 149/40E, Sd.Kfz. 231 8 räd, 6호 중구축전차 야크트티거E, Sd.Kfz. 251/8E, Sd.Kfz. 250/9E
기술교류파일:소련 국기.svg T-34 1941년형, KV-1 1941년형
파일:영국 국기.svg 마틸다 II, M4A3 17 Pdr, 처칠 III, 크루세이더 III
※ 윗첨자S: 태평양 전선에서 노획.
※ 윗첨자E: 유럽 전선에서 노획.
※ 윗첨자P: 전시 중 프로토타입으로 생산되었으나 전후 제식화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M18 헬캣|
파일:M18 GMC(3D,백).png
파일:M18 GMC(3D,흑).svg
]]
}}}
파생형 운용국 미디어
파일:Buick_M18_Hellcat.jpg
76mm Gun Motor Carriage M18 "Hellcat"

1. 개요

M18 헬캣 기동 영상
미 육군대전차 자주포. 미국 대전차 자주포의 아버지 앤드류 브루스 소장의 야심작이다. M10 GMC처럼 M4 셔먼의 차대를 유용하지 않고 처음부터 전용 차대를 제작하여 76mm 포를 장착하였고 빠른 속도가 특징이다.

2. 제원

<colbgcolor=#808000> 76mm Gun Motor Carriage M18 "Hellcat"
제원
전비 중량 17.3t
전장 전장 6.66m(돌출된 포신 포함)
전폭 2.87m
전고 2.56m
차체 장갑 전체 12mm
차체 상판: 8mm
차체 하판: 5mm
포탑 장갑 포방패 25mm
포탑 전방위 12mm
엔진 라이트 R975-C1(초기) R975-C4(후기형) 훨윈드 9기통 성형엔진
연료 가솔린
냉각계통 공랭식
변속기 900T 토크매틱 자동 변속기 전진 3단, 후진 1단
마력 350hp(전기형) 400hp(후기형)
추중비 19.8hp/t(전기형) 22.6hp/t(후기형)
현가장치 토션 바 현가장치
주무장 76mm M1 대전차포 1문 (45발)
부무장 대공/대보병용 M2HB 1정 (800발)
항속거리 161km
속력 노상 80km/h, 야지 42km/h, 후진 23km/h
탑승 인원 5명 (전차장, 조종수, 포수, 장전수, 무전수)
생산 대수 2,507문

3. 상세

파일:m18hellcatcross.webp
M18 GMC 내부 상세도
속도는 최고 92km/h로 매우 우수한데다 고속을 내기 힘든 험지에서도 50km/h 정도의 높은 속력을 보였지만, 속도를 위한 방어력의 희생으로 12.7mm(0.5인치)에 불과한 장갑은 소총 또는 기관총 철갑탄에 의해 관통될 위험이 있었다.[1]

이 때문에 대전차 소총이라면 근거리에서 전면장갑을 관통할 수도 있었다.[2] 즉 대전차포라고 이름붙은 물건이라면 37mm 같은 물건도 피해다니는게 신상에 이로웠다는 것. 또한 시야를 확보하여 적 전차를 먼저 포착하기 위해 개방된 포탑은 근접하는 적 보병의 수류탄 공격과 공중에서의 항공기 공격에 매우 취약했다.

주포는 M10 GMC의 M7 3인치 대전차포보다 경량화된 M1 대전차포로 4호 전차보다 우수한 관통력을 지녀[3] 4호 전차 이하의 전차는 손쉽게 격파할 수 있었으나 여전히 정면에서 중전차를 상대하기에는 어려웠다. 그러나 전고가 낮아 은밀성이 높고 확실히 기동성과 화력은 우수한 편이었으므로 측면을 공략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었다. 덕분에 순수한 대전차전에서는 M4 셔먼과 M10 GMC에 비해서 교환비가 높았다고 한다.

즉, 화력과 기동성 덕분에 자신보다 강한 상대와도 어느 정도 해볼만 했지만 방어력이 약해 자신보다 훨씬 약한 상대와도 싸우기 부담스러웠다는 것이다. 대응방어의 중요성을 알 수 있는 부분. 그래서 유럽 전선은 말할 필요도 없고, 1944년 필리핀 탈환전과 1945년 오키나와 전투 같은 태평양 전쟁의 전투에서도 실전에 투입된 M18은 47mm 전차포에도 당할 수 있었기에 지원 포격용 자주포로 사용되었다.

아예 M36처럼 90mm 대전차포를 달아 화력을 강화해 보기로 했으나, 대충 M36의 포탑을 그냥 올리고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정면으로 사격시 2피트(60cm)를 후진하고 측면으로 쐈더니 차체가 요동치는 문제가 발생했다. 그래서 반동을 제어하기 위해 머즐브레이크를 장착하고 증가한 중량에 따라 높아진 접지압을 낮추기 위해 광폭 트랙을 장착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고나니 전쟁이 끝나버려서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계획이 폐기되었다.

4. 개발사

파일:T70_GMC.png
T70 GMC
미 육군은 대전차 전투를 수행하기 위한 전차구축대대의 장비로서 M4 셔먼을 유용해 76.2mm 포를 탑재한 M10 GMC와는 별도로 보다 저렴하고 고속이며 경장갑인 치고빠지기 전법에 걸맞은 데다가 항공기에 실어서 공수전차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경량급 차량의 개발을 추진했다. 당초 예정되었던 37mm 포는 M8 그레이하운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개발 당시 기준으로도 이미 시대에 뒤쳐진 물건인지라 대전차용으론 그다지 위력이 없었기에 57mm 포와 일반 전차와 같은 밀폐식 선회포탑을 탑재해 크리스티식 현가장치를 연결한 T49 또는 T67이라 불리는 시제품이 만들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포탑을 변경하고 현가장치를 토션 바 형식으로 바꾸고 변속기와 가동륜을 전방으로 이동시킨 것이 T70이었는데 이것이 M18 GMC 헬캣으로 정식채용되었다. 본 차량은 1943년 7월부터 1944년 10월까지 2,507량이 뷰익 사에서 만들어졌다.

별명[4]헬캣(Hellcat)은 함재기 헬캣 문서에도 나와있듯, 순화하면 지독한 말괄량이, 직역하면 썅년이라는 말이다.

M18은 압연강판을 용접해 제작하였으며 이는 다른 미군 차량의 구조와는 완전히 달랐다. 엔진은 M4A1과 같은 공랭식 컨티넨탈 R975를 얹었지만, 시프트와 엔진실링을 변형하여 공간을 확보해 차체 높이를 낮췄다. 장갑판 구조는 포탑전면이 1인치 (25.4mm), 그 외 부분이 0.5인치(12.7mm)로 얆아진 덕분에 중량이 18톤 이하가 되었다. 이로써 톤당 마력비가 뛰어났으며, 토션바 현가장치로 인해 2차대전 당시 투입된 모든 미군의 기갑차량 중 가장 빠른 80km/h라는 경이적인 속도를 자랑하였다.

M18의 주포인 76mm 52구경장 M1A1, M1A1C, M1A2 전차포(명칭은 76mm지만 정확히는 구경 76.2mm)는 M4A1(76) ~ M4A3(76)중형전차에 탑재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 독일군의 7.5cm 48구경장 대전차포를 능가하는 관통력을 지녔다.[5][6]초기에 장착된 M1 주포는 사격시 포연이 과다하여 머즐 브레이크가 장착된 M1A2로 곧 교체되었다. 그러나 그 중간에 머즐 브레이크를 장착하기 위한 나사선은 파여있지만 장착되지는 않은 물량이 있었는데 이를 M1A1C라 한다. 1944년 6월부터 700여대가 M1A2 포를 받았다.

5. 파생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18 헬캣/파생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실전

6.1. 대전기

6.1.1. 제2차 세계 대전

6.1.1.1. 안치오 상륙작전
파일:Battle of Anzio M18.jpg
안치오 상륙작전 당시의 미 육군 대전차대대 소속 M18 헬캣
M18의 실전투입은 1944년 1월, 이탈리아안치오 상륙작전이었다. 헬캣은 독일군이 각종 경장갑차량을 개조해 만든 즉석 대전차 자주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완성도가 높았으며 준수한 화력과 우수한 기동성을 갖췄다. 그러나 북아프리카에서부터 마주치기 시작한 티거, 유럽 전선에선 나름 다수가 배치되던 판터의 정면장갑을 꿰뚫기엔 화력이 좀 모자랐다.
6.1.1.2. 태평양 전쟁
6.1.1.2.1. 필리핀 탈환전
파일:Manila_M18.png
마닐라 시청 앞에서 일본군을 향해 포격하는 M18 헬캣
6.1.1.2.2. 오키나와 전투
파일:Okinawa_M18.jpg
오키나와 전투 당시 슈리에서 포격중인 미 워군 제77보병사단 산하 제306대전차중대 소속 M18 헬캣
6.1.1.3. 2차대전 종전 후
위에서 설명했듯이 M18 헬캣은 개발당시엔 완성도가 높은 차량이었고, 높은 기동성과 낮은 시인성으로 바스토뉴 공방전 당시에는 단 4량의 헬캣이 몰려오는 판터 22량을 격파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그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는 그다지 없었고 또 출현시기도 1944년으로 매우 늦었기에 느리지만 개수가 용이하고 동등한 화력에 대전차 소총을 영거리에서도 막을 수 있는 장갑을 보유한 M4 셔먼 76mm 탑재형에 밀려버렸다.

2차 세계대전 때는 이로 인해 묻혀버리나 싶었지만, 전후에 여러 나라에 공여되며 한번 더 각광받았다.

장갑이 얇아 대전차소총에 뚫린다고 한들, 공여받은 나라들의 환경 특성상 [7] 그리 문제될 것도 아닌데다 상부 개방형의 포탑은 더운 날씨에서 내부의 정체된 공기를 환기시켜 줄 수 있었고, 높은 기동성과 튼튼한 구동계의 내구성으로 거친 전장을 무리없이 돌파하였기에 선호되었던 면도 컸다.

이 차량의 차대를 베이스로 M39 AUV가 만들어졌으며, 2차 대전과 한국 전쟁 와중 대활약을 했고, 이후 이 M39 AUV를 베이스로 M44 병력수송 장갑차가 탄생했지만 너무 큰 크기 때문에 이후 1950년대 초반에 일부 부품을 유용해서 M75 병력수송장갑차를 개발했는데 이 녀석은 몇몇 극초기 생산분이 한국전쟁에 투입되었고, 1980년대까지 사용되었다.

전후에는 여기저기에 공여되었는데, 미국의 군용장비 재생회사가 역수입해서 복원한 차량들도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1946년까진 M7 프리스트와 함께 주한미군이 소유했으나, 1949년에 철수하면서 남겨진 것은 없었다. 한국 전쟁 개시 후에는 필리핀군이 한 량을 가져와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6.2. 냉전

6.2.1. 6.25 전쟁

파일:9-2.jpg
6.25 전쟁 당시의 필리핀 육군 산하 제10기갑대대 소속 콘라도 디 얍 대위 지휘 M18 헬캣 "1802번차"
6.25 전쟁 당시 필리핀 육군 산하 제10기갑대대 소속으로 1문이 파견되었다.

6.2.2. 진먼 포격전

파일:Jinmen_M18.jpg
진먼 포격전 당시 유기된 중화민국 육군 소속 M18 헬캣
진먼 포격전 당시 M8 그레이하운드 장갑차, 프랑스군에게 구매했던 M36B2와, M1 90mm 대공포까지 동원되어 샤먼시 방향으로 포격하여 대활약을 하였으며, 특이한 기록으로 포격전 도중인 9월 3일에 금문도에 주둔하고 있던 M18이 장거리 포격으로 중국 본토에 있는 중공군의 방송국을 폭파시킨 일이 존재한다.

포격전 와중 헬캣 한대가 모래사장에서 돈좌되어 중공군이 포격을 날리는 긴박한 상황에서 구난하지 못하고 결국 버려졌는데, 현재는 나름 유명한 관광 명소가 되었다.

6.2.3. 이란 7월 봉기

파일:Military_vehicles_of_Iranian_Army_-_21_July_1953.jpg
이란 7월 봉기 당시의 이란 제국 육군 소속 M18 헬캣[8]
1953년 7월에 벌어진 이란 봉기 당시 이란 제국군이 진압용으로 투입하였다.

6.2.4. 유고슬라비아 전쟁

6.2.4.1. 보스니아 전쟁
파일:M18 Hellcat of Sijad Ali Brigade of Bosna & Herzegovina army, 1995.jpg
보스니아 전쟁 당시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육군 산하 시야드 알리 여단 소속 M18 헬캣, 1995년
보스니아 전쟁 당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이 사용했다.

7. 운용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18 헬캣/운용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미디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모형

9.1. 프라모델

10. 참고 문헌

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Buick 2023 emblem.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종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323232> 소형 - 세일
준중형 베라노 · 벨라이트 6 스페셜(1961~1963) · 아폴로 · 스카이호크 ·
엑셀 · 엑셀 XT · 엑셀 GT · 벨라이트 5
중형 리갈 스탠다드 식스 · 스카이락 · 소머셋 ·
스페셜(1964~1969) · 센추리 · 스포트 왜건
준대형 라크로스 -
대형 - 모델 B · 4 · 식스 · 마스터 식스 · 슈퍼 · 리미티드 ·
로드마스터 · 스페셜(1936~1958) · 스카이락(1953~1972) ·
엘렉트라 · 르세이버 · 인빅타 · 와일드캣 · 센추리온 ·
리비에라 · 에스테이트 · 파크 애비뉴 · 로이엄 · 루체른
컨버터블 - 카스카다 · 레아타
소형 SUV 앙코르 GX · 엔비스타 벨라이트 7 · 앙코르
준중형 SUV 엔비전 -
중형 SUV 엘렉트라 E4 · 엘렉트라 E5 레이니어 · 랑데뷰 · 리갈 투어X
준대형 SUV 엔클레이브 -
MPV GL8 테라자 · GL6
대전차 자주포 - M18 헬캣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556b2f>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 육·해군·NKVD기갑차량
전차
MS-1, V-26S, T-26A (1931년형, 1932년형), T-26B (1933년형, 1935년형, 1936년형), T-26S (1937년형, 1939년형), T-27, T-37, T-38, T-40, BT-2, BT-5, BT-7, BT-7M, T-50, T-60, T-70 «세미데샤트카», T-70B «세미데샤트카» , T-80X, T-46X, NI 전차

T-24, T-28, T-34-76 (1940년형, 1941년형, 1942년형, 1943년형), T-34E, T-34-57X, T-34-85 (D-5T) (1943년형, 1944년형), T-34-85 (S-53), T-34-85 (ZiS-S-53) (1944년형, 1945년형, 1946년형), T-44

T-35, KV-1, KV-85, KV-2, KV-220X, IS-1, IS-2, IS-3

KV-T, T-34-T, SU-85T, ISU-T

TU-26, TT-26, TT-BT-5, TT-BT-7
장갑차 D-8/12, BA-3, BA-6, BA-10, BA-11, BA-20, BA-27, BAL/BAL-M, FAI/FAI-M, BA-64, 이조르스크 장갑차
자주포 BT-7A, ZiS-30, SU-122, SU-76, SU-76M, SU-152, SU-85, SU-85M, ISU-152, ISU-122, ISU-122S, SU-100, SU-26X, SU-100YX, SU-14X
자주대공포 ZSU-37C, GAZ-AAA (4M), GAZ-AAA (DShK), GAZ-AA (72-K), GAZ-MM-V (72-K), ZiS-11/12(94-KM), ZiS-43
다연장로켓 BM-13, 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 T-20, GAZ-64, GAZ-AA, GAZ-AAA, GAZ-MM, GAZ-MM-V, UAZ-AA, GAZ-M1, GAZ-03-30, ZiS-5, ZiS-6, YAS-6, GAZ-51C, GAZ-63C, 코민테른 포병용 트랙터, 보로실로베츠 중 포병 트랙터, AT-P, GAZ-67
모터사이클 M-72
렌드리스 및 개조 차량 M3/M5 경형, M3 중형, M4A2 (75) «엠차», M4A2 (76)W «엠차», M4A2E8 «엠차», T26E3S, SU-M10X, MK-III «바랴-타냐», MK-IIIM, MK-III (F-95)X, 처칠 전차 (Mk.II, Mk.III, Mk.IV) , MK-II 마틸다, MK-II (ZiS-5), SU-57, 스카웃 장갑차,, 브렌건 캐리어, MK-VII 테트라크X, CCKW, 윌리스 MB, DUKW, 포드 GPA, M24 채피S, M4A4S, 스튜드베이커 US6, T70 GMCX,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X,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 ZSU M15A1 CGMC, ZSU M17 MGMC, M29 위즐X, LVTX, A27M 크롬웰S
노획 및 개조차량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TKS, 7TPS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LT-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Т-38 프라하, Т-I, 지휘전차 КI, Т-II, Т-III, StuG SU-75, SU-76I, SG-122, Т-IV, Т-V 판터, Т-VI 티거 1X, Т-VI 티거 2S, 마우스S, 베스페 SU-105, 훔멜 SU-150, 나스호른 SU-88, 페르디난트S, 야크트티거S, M4 748(a)S, 35-R 731(f), 35-R 731(f) 20mm ShVAK 기관포 장착형, T-35 751(r), T-34 747(r), M4 748(a), 소뮤아 S35, 호치키스 H3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Т-2597 치하, 47mm 신호토 치하, Т-2595 하고, 3식 경전차 케루S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35M 안살도, 40/43M 즈리니IIX, 38M 톨디 IX, 42M 톨디 IIAX, 41M 투란 IIX, 40M 님로드X, M3 중형, T-28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르노 R35, R-1, 마레샬 구축전차S,TACAM T-60S 파일:핀란드 국기.svg BT-42S, ISU-152, 코이라스, Mk. E (Psv.K/36)S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L6/40S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르노 FTX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헤처
프로토타입 S-51, KV-3, KV-13, A-20, A-32, A-34, A-40, A-43, A-44, T-22 그로테, T-29, T-43, T-100, T-111, T-150, SMK, IT-45, IT-76, SU-122-44, T-54C, IS-4C, IS-6, KSP-76, ZiS-41, T-34-57 1943년형
페이퍼 플랜 KV-4, KV-5, 소련의 기갑병기 설계안 중 일부, LTP, MT-25, LTG, LTTB, 오비옉트 212, ST-1
그 외 보로실로프 전차, 스탈린 전차, 소련군/차량, KhTz-16 트랙터 전차
※ 윗첨자S: 노획 혹은 공여받거나 구매했으나,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하거나 운용하지 않음
※ 윗첨자C: 프로토타입 상태로 종전 후 양산 됨
※ 윗첨자X: 실전에 참여했거나 노획 혹은 공여받았으나 100대 미만의 극소량만 운용
}}}}}}}}}



한국전쟁기 국군 및 유엔군의 기갑차량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파일:UN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한국전쟁 시기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국군 / 파일:UN기.svg 유엔군기갑차량
전차 경전차 <colbgcolor=#fff,#1c1d1f>M24 채피, M41 워커 불독
중형전차 M4A1, M4 컴포지트 헐, M4A3 (76) W VVSS,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 A34 코멧, M26 퍼싱, T-34-85C
돌격전차 M4 (105), M4A3 (105), M4 (105) HVSS, M4A3 (105) HVSS, M4 (105) 셔먼 도저, POA-CWS-H5, M4A3 (105) "포큐파인", M45 중형전차
주력전차 센추리온 Mk.3, M46 패튼, M47 패튼
중전차 A22 처칠 크로커다일, A22 처칠
구난전차 M32 TRV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 BA-64AC
반궤도 장갑차 M3A1 하프트랙
궤도 장갑차 M39 AUV, M44, M75, 유니버설 캐리어 Mk.I/II
상륙장갑차 LVT-3, LVT(A)-4
구난 및 견인차량 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B1A1, M32B1A2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 M36 GMC, M36B2, M10 GMC, M10 아킬레스, SU-76MC
자주포 M7B1/B2 프리스트, M37 자주곡사포, M40 GMC, M41 고릴라
차량 차량 윌리스 MB, 닷지 M37
트럭 CCKW, 닛산 180IJA, 토요타 BM, GAZ-51C, GAZ-63C, ZIS-150C
자주대공포 M16 MGMC, M19 더스터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 전시 중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사용 기록 실증이 되지 않은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 운용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운용무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 운용무기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군 운용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 운용무기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군 운용무기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냉전기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기갑차량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유고슬라비아 국군 (1945~1951)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1951~1992)
Jugoslovenska Narodna Armija / Jугословенска Народна Армиjа
기타전차 경전차 M3A1 스튜어트, M3A3 스튜어트, PT-76B
중형전차 3호 전차C, 4호 전차C, T-34-85M, T-34BM, Vozilo-AX, M4A3E4
MBT 1세대 T-54A, T-55(A/AI), M47 패튼
3세대 T-72M, M-84(A/AB/ABN), M-90/91
장갑차 차륜형 장갑차 M-100, BTR-152, BTR-60, BRDM-2, OT TAB-71, BOV
궤도장갑차 Sd.Kfz. 251, OT M-5, MT-LB, OT M-60(P/PB), BTR-50, BVP M-80(A/A1)
차량 소형 피아트 1101 · 1107, 핀츠가우어
트럭 TAM-110 · 150 · 260 · 4500 · 5000,
FAP 2026 · 2832, ZiL-131 · 157, MAZ-537
자주포 자주곡사포 Kadilak, SO-105, 2S1, NORA B-52
대전차 자주포 SO-75C, SO-75 M-3A3M, M-44, SO-76M, SO-76 Helkat, SO-90 "Dżecksons", M36B1, SO-122X
대공차량 자주대공포 M15 CGMC, ZSU-57-2, M53/59, BOV-3, BOV-30X, SPAT 30/2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스트렐라-1, M-90 Sava,
RL-2 프락카M
다연장로켓 M-63 플라멘, M-77 오간, M-87 오르칸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X: 프로토타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7408b> 미군 (1975~현재)
United States Armed Forces
전차 <colbgcolor=#27408b> 주력전차 M1A1 SA, M1A2 SEP(v2 · v3), M1A3, XM1202 MCS, M1A2 SEP v4 (M1A2D), {M1E3}, {DLP}, T-72OpFor
공수전차 M551 셰리든R, XM8 AGS, M10 부커
경전차 M24C/R, M10 부커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LACC/R, LAV-25, M93A1 폭스, M1126~35 스트라이커, M1296 드래군, M1117 가디언, AGMS, LAV-II 바이슨, {ACV}
궤도장갑차 AAV-7A1, M2 · M3 브래들리, M113(A1 ~ A3), AMPV, FCS MGV, EFV, {XM30 MICV}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9(A6 팔라딘/A7), XM2001 크루세이더, XM1203 NLOS-C, M1299 아이언 썬더, {호크아이 105}, {브루투스 155}
자주박격포 M1064, M1129, {M1287 MCV}, XM1204 NLOS-M, LAV-EFSS
돌격전차 M4A3 (105) HVSSC/R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C/R, M36C/R, M36B1C/R
다연장로켓 M270 MLRS, M142 HIMARS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163 VADSR, 센추리온 LPWS, MADIS, M247 서전트 요크
단거리 대공미사일 M6 라인배커R, LAV-AD, AN/TWQ-1 어벤저, SGT 스타우트 , NASAMS, 아이언 돔, {MRIC}, XM975, MIM-146 ADATS SLAMRAAM
중장거리 대공미사일 MIM-23 호크R, MIM-104 패트리어트, MIM-401 THAAD, GBI
수송 차량 소형 험비, L-ATV, MRAP, M-ATV, M1224 맥스프로, M1288 GMV 1.1, M1161/3 그라울러 ITV, IFAV,
LSSV 타호/실버라도, 하이럭스, DPV, GAARV, RSOV, MRZR, MRZR-D, M1030M1, 플라이어 72 · 60, 렌코 베어캣
트럭 2½톤R, M35R, M39 5tR, M939, FMTV(LMTV · MTV), MTVR, LVSR, 건 트럭, M977 HEMTT, M911 HET, M1070 HET
수륙양용차량 LARC-LX, LARC-V, LARC-XVR
지원 차량 구난차량 M984, M88A2 허큘리스, M1 ARV, XM1205 FRMV
교량차량 M60A1 AVLB, M104 울버린, M1074/M1110 JAB, M1975 DSB 런처, M1977 CBT
전투공병차량 M9 ACE, M1150 ABV, 버팔로 MPCV, M1 그리즐리, 캐터필러 D9
지휘차량 M577, M4 C2V
탄약보급차량 M992 FAASV, XM2002 RSV
UGV 드래곤 러너, PackBot 510, XM1216 SUGV, FirstLook 110, Warrior 710, TALON
MARCbot, ANDROS, R-Gator, SMSS, M160 MV-4, S-MET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및 타국에서 회수한 차량
※ 윗첨자OpFor: 대항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대만 국기.svg 현대 중화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중화민국 국군(1947~현재)
中華民國 國軍
기타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191919>아식 구돈반전차R, M3A3 스튜어트R, M5A1 스튜어트R, M24A1M, M41 워커 불독R, M41D 워커불독M/R, 64식 경전차M/R
중형전차 M4R, M4A3R, 셔먼 VR, 셔먼 IIR, M4A1 (75) WM
MBT 1세대 M48(A1R/A3H) 패튼, 완 쳉4M
2세대 CM-11 · CM-12 용호M, M60A3 TTS
3.5세대 M1A2T 에이브람스
장갑차 차륜형 M8 그레이하운드R, CM-31, CM-32 운표, V-150S
궤도형 LVT-4R, CM-21(A1/A2) · CM-24 · CM-27A1, M113, LVTP-5A1 · LVTH-6, AAV-7A1
차량 오토바이 야마하 로얄 스타 밴처 군사경찰 오토바이, KYMCO KTR125 정찰용 오토바이
소형 M151R, 험비, 포드 E350, 미쓰비시 아웃랜더, 지프 랭글러
트럭 M35, M923, 나비스타 디펜스 MV 4×4*, 오시코시 FMTV · M977 HEMTT
벤츠 악트로스 · 아테고 · 우니모크, MAN HET, 볼보 FH
히노 500 , 미쓰비시 델리카, 타타대우 노부스
자주포 자주곡사포 M110A2, M109(A2/A5/A6), M107R, M108R, 제8식 75포 전차R, M7 프리스트R, M10 105호미 자행곡사포M/R
자주박격포 CM-22, CM-23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R, M36B2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42 더스터R
단거리 대공미사일 M1097 어벤저, MIM-72/M48 채퍼럴 · 톈첸-1
다연장로켓 궁펑-IIIR/IV/VI, 뢰정-2000, M142 HIMARS
공병 차량 구난차량 M88A1 허큘리스
교량 차량 M3 자주중문교
개척 차량 M9 ACE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도입 협상중.
}}}}}}}}}


파일:그리스 국기.svg 현대 그리스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그리스군
Eλληνικές Ένοπλες Δυνάμεις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전차 센토어 A27L Mk VIIIR
MBT <colbgcolor=#ffffff,#191919> 1세대 M47R, M48A5 MOLF
2세대 AMX-30R, M60A3 TTSR, 레오파르트 1(A5/V/GR)
3세대 레오파르트 2A4
3.5세대 레오파르트 2A6 HEL
경전차 M24 채피R
장갑차 차륜장갑차 마몬-헤링턴 장갑차R, M8 그레이하운드R, UR-416R, M1117
궤도장갑차 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59R, 유니버설 캐리어R, AMX-10PR, M113(A1/A2),
BMP-1P Ost, 레오니다스 I/II, BMP-3, 마르더 1A3, {AAV-7A1}
차량 소형 VBL, 험비(M1114GR), G바겐
트럭 MAN KAT 1 · HX81, KrAZ-255, M35, M939,
메르세데스-벤츠 우니모크, 타트라 T-810, 오시코시 M977 HEMTT · FMTV, 슈타이어 12M18
자주포 자주곡사포 M110A2, PzH2000, M109(A1B/A2/A3GEA1/A3GEA2/A5)
자주평사포 M107R
자주박격포 M106(A1/A2), M125A1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42 더스터R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3M3 오사, 9K331 TOR-M1
다연장로켓 M270 MLRS, RM-70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 BPz 3 뷔펠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이란 국기.svg 현대 이란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colbgcolor=#99cc99,#336633> 이란 이슬람 공화국군(1979~현재)
ارتش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기타 전차 M4A1 (76) WL/R/이란 제국, M4A3 (105) HVSSL/R/이란 제국
MBT <colbgcolor=#99cc99,#336633> 1세대 T-54, T-55, 59식 전차, M47, M48
2세대 FV4201 치프틴 Mk.(2K, 3, 5), 모바레즈M, M60, 천마호 가형, 69식 전차, 사피르-74M*, T-72(M1/S), Sabalan, 줄피카-1/2
3세대 줄피카-3, KarrarM
경전차 M24 채피, FV101 스콜피온, Tosan
장갑차 차륜장갑차 BRDM-2, BTR-40, BTR-60PB, BTR-82, EE-9 Aghareb, Rakhsh, Sarir, Haweize
궤도장갑차 BTR-50PK, OT-62B, BMP-1 · Boragh, BMP-2, M113, FV107 시미터
차량 소형 M38R, KM410, KM414, M151R, Safir
트럭 MAZ-543, Ural-4320, ZiL-130 · 131 · 135, M548, KrAZ-5233
벤츠 악트로스 · L 시리즈, Neynava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 M110, M109A3, 알-라으드 2, 곡산포, 2S1, 알-라으드 1
자주박격포 Boragh 자주박격포형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L/R/이란 제국, M36B2L/R/이란 제국, A-36L/R/이란 제국
대공 차량PADAJA 자주대공포 ZSU-57-2 · Bahman, ZSU-23-4 쉴카, 판치르-S1
단거리 대공미사일 Herz-9, Shahab Saqeb · Ya Zahra
다연장로켓 63식 다연장로켓, BM-11, BM-21, BM-13, BM-24, M-1989, Fajr-3/5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참자PADAJA: 이란 이슬람 공화국 방공군 소속 차량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59식 전차, T-54, T-55의 현대화 개수 모델.
※ 윗첨자이란 제국: 1979년 이전까지 이란 제국에서 운용한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미사일 전력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현대 이탈리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198019> 이탈리아군 (1946~현재)
Forze Armate Italiane
기타전차 L6/40R, 까로 레체로 M24R, 까로 레체로 M3A3R, 까로 레체로 M5R, 까로 레체로 M5A1R, 까로 메디오 M4A1R, 까로 메디오 M4A1 76/52R, M4 티포 IC 콤포지토R, 까로 메디오 M4A4R, 까로 메디오 셔먼 VCR, 까로 메디오 M4 하이브리드R, 까로 아르마토 M26A1R
MBT <colbgcolor=#198019> 1세대 M47 패튼R
2세대 M60A1R, 레오파르트 1(A2/A5)R, OF-40E
3세대 C1 아리에테
3.5세대 {아리에테 AMV}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R, 피아트 CM6614/6616R, VBR NBC, 아우토블린도 푸마, B1 첸타우로, VBM 프레치아, VTMM Orso MRAP, {VBA}
궤도장갑차 VCC80 다르도, AAV-7A1, M113 VCCI
차량 소형 VM-90, AR-90, VTLM 린체
트럭 이베코 ACM 80/90 4X4 · ACL 90 4X4 · ACTL 6x6 · HD6
자주포 자주곡사포 M7B1 HMCR, 섹스턴R, M44R, SP-70, 팔마리아E, 오토멜라라 M109L, PzH2000
자주박격포 M106A1, VBM 프레치아 포르타 모르타이오
대전차 자주포 세모벤테 da 76/50 M10R, 세모벤테 콘트로카리 M18 da 76/52R, 세모벤테 da 90/50 M36R, 세모벤테 da 90/50 M36B2R, 세모벤테 da 90/50 M36B1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113 SIDAM-25*, 오토마틱E, 드라코
다연장로켓 M270 MLRS, {M142 HIMARS}
지원 차량 구난차량 M74 TRVR, M32B1 TRVR, BPz 2
전투공병차량 PiPz 2 닥스
교량차량 밸런타인 가교전차R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M113 위에 4연장 25mm 기관포탑을 단 자주대공포.
{}: 예정 및 계획중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현대 유고슬라비아 연방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유고슬라비아 연방군 (1992~2003)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군 (2003~2006)
Vojska Jugoslavije / Војска Југославије Vojska Srbije i Crne Gore / Војска Србије и Црне Горе
기타전차 T-34BM
MBT 1세대 T-55A
3세대 M-84
장갑차 차륜장갑차 BRDM-2, BOV
궤도장갑차 BTR-50, BVP M-80A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대전차 자주포 M-44RSK, SO-90 "Dżecksons"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53/59 프라가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스트렐라-1, S-125, 9K35 스트렐라-10
다연장로켓 M-63 플라멘, M-77 오간, M-87 오르칸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RSK: 크라이나 세르비아로부터 이관됨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X: 프로토타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현대 크로아티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크로아티아 국군 (1991~현재)
Oružane snage Republike Hrvatske
기타전차 중형전차 T-34-85C/R | M4A3E4 셔먼C/R
'''[[주력전차|
MBT
]]'''
'''[[1세대 전차|
1세대
]]'''
T-55AC/R | M47 패튼C/R
'''[[3세대 전차|
3세대
]]'''
M-84A4 스나이퍼 | M-84AC | M-84(A5/D) | M-95 데그만
'''[[3.5세대 전차|
3.5세대
]]'''
{레오파르트 2A8}
'''[[장갑차|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파트리아 AMV | BOV | M1224 맥스프로 | RG-33L HAGA | BRDM-2R | OT TAB-71C/R | M-100C/R
'''[[궤도 장갑차|
궤도형
]]'''
M2A2 ODS 브래들리 | BVP M-80A | OT M-60(P/SAN)C/R | BTR-50C/R | MT-LBC/R
<colbgcolor=#FFF> 차량 <colbgcolor=#FFF> 소형 [[소형 전술차량|
IMV
]] M-ATV | 이베코 LMV | 험비 | 벤츠 G바겐 | 랜드로버 울프
민수용
VW 트랜스포터 | 토요타 랜드 크루저 | 닛산 나바라 | 포드 레인저 | 르노 마스터 | 피아트 두카토
트럭
군용
TAM 110 T7 · 150 T11 | FAP 2026C | 토피도 TK 130 T7 | MAN TGS Mil · KAT1 · HET | DAF YA 시리즈 | 이베코-아스트라 HET
상용
벤츠 악트로스 · 아록스 · SK | 이베코 트래커 · 유로카고 | 포드 카고
'''[[자주포|
자주포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PzH2000 | SO-122 그보즈디카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SO-90 잭슨C/R | SO-76 핼캣C/R
다연장로켓 M-92 불칸 | APR-40 | M-94 플라멘-SR | M-87 오르칸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SPAT BOV-20 · BOV-3 | M53/59 프라가C/R | ZSU-57-2C/R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참고: 틀:현대전/크로아티아 유도무기
지원차량 구난차량 T-55TZI | M1224 구난차
공병차량 DOK-ING MV-4 무인 지뢰제거차
교량차량 MT-55A | KrAZ-255 가교부설트럭 | T-813 · FAP 2026 PMS 부교운반차
건설기계 JCB 4CX 로더 · Fastrac 트랙터
기타 PTS-M 수륙양용 운반차 | GSP-55 자주식 페리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취소선: 개발 취소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스릅스카 공화국 국기.svg 현대 스릅스카 공화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스릅스카 공화국군 (1992~2006)
Vojska Republike Srpske (VRS) / Војска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ВРС)
기타전차 T-34BM
MBT 1세대 T-55
3세대 M-84
장갑차 차륜장갑차 BOV
궤도장갑차 BTR-50, BVP M-80, OT M-60
자주포 자주곡사포 SO-122
대전차 자주포 T-55/76R, SO-90 "Dżecksons", SO-76 "Hellkat"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BOV-3, ZSU-57-2, M53/59 프라가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스트렐라-1, 2K12 쿠프
다연장로켓 M-63 플라멘, M-77 오간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X: 프로토타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현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군 (2004~현재)
Oružane snage Bosne i Hercegovine (OSBiH) / Оружане снаге Босне и Херцеговине (ОСБИХ)
기타전차 T-34-85C/ARBiH
MBT <colbgcolor=#002395> 1세대 T-54, T-55A, M47 패튼C/ARBiH
2세대 AMX-30S, M60A3TTS
3세대 M-84C/ARBiH
경전차 PT-76C/ARBiH
장갑차 차륜장갑차 M-100 (M55)C/M/ARBiH, BOV-(3/30/VP/M), BTR-70, 92식, AML-60, AML-90, BRDM-2C/ARBiH
궤도장갑차 BVP M-80A, BTR-50PK, AMX-10P, M113, OT M-60C/ARBiH
차량 소형 험비
트럭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그보즈디카
대전차 자주포 T-55/76C/ARBiH, SO-90C/ARBiH, SO-76C/ARBiH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M53/59 PragaC/ARBiH
다연장로켓 M-63 플라멘, M-77 오간, 63식 다연장로켓, APR-40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ARBiH: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1991~1995) 소속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장비 }}}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다만 이론적으로 그렇다는 것이다. 마우저 탄의 철갑탄이 12-13mm 관통력을 가지므로 12.7mm 장갑을 수직으로 쏴야 관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면은 경사장갑이므로 불가능하고 총알이 빗발치는 실제 상황에서 전차의 측면과 후면으로 근접해서 수직 장갑 부분을 노려 쏘는 것이 힘들다. 또한 그렇게 관통한다 하더라도 8mm 정도의 구경 탄환 몇 발 꽂는다고 격파할 수 있다는 보장도 없다.[2] Pzb39의 관통력이 300m에서 25mm였으니 장갑의 경사와 실전에서는 최선의 입사각을 얻을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는 점에서 그 이상의 거리에서는 힘들다고 봐야 할 것이다.[3] https://en.wikipedia.org/wiki/76_mm_gun_M1, https://en.wikipedia.org/wiki/7.5_cm_KwK_40[4] 정식 명칭은 상기했듯이 76mm Gun Motor Carriage M18/M18 GMC로, Hellcat은 제조사인 뷰익에서 홍보 목적으로 붙인 이름이다.[5] https://en.wikipedia.org/wiki/76_mm_gun_M1, https://en.wikipedia.org/wiki/7.5_cm_KwK_40[6] 해당 주포는 구경장이 길어 7,5cm PaK 40, 76.2mm ZiS-3와 판터의 7,5cm KwK 42 70구경장 전차포, 77mm OQF Mk.II 사이의 특이한 체급이다.[7] 대만, 베네수엘라 등의 나라들은 숲이 많고 고온 다습한 기후에다 지형이 고르지 않기에 중형전차보다 이러한 대전차 자주포가 훨씬 더 낫다.[8] 1953년 7월 21일 촬영된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