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 1951 김용식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김용배 육군준장 |
1951 박노규 육군준장 | 1951 김백일 육군중장 | 1951 김홍일 육군중장 | 1951 함준호 육군중장 |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
1951 최용남 해병소장 | 1951 김성은 해병중장 |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 1952 이형근 육군대장 | 1951 권동찬 육군준장 |
1952 김종오 육군중장 |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 1953 장덕창 공군중장 | 1953 최용덕 공군중장 |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
1953 김교수 육군대위 | 1953 김한준 육군대위 | 1953 김용배 육군대장 | 1953 민기식 육군대장 | 1953 임충식 육군대장 |
1953 한신 육군대장 | 1953 김점곤 육군소장 | 1953 이성가 육군소장 | 1953 이용문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 1953 김동빈 육군중장 | 1953 김종갑 육군중장 | 1953 백인엽 육군중장 |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
1953 유재흥 육군중장 | 1953 최영희 육군중장 | 1953 함병선 육군중장 | 1953 최치환 총경 | 1954 김만술 육군대위 |
1954 허봉익 육군대위 | 1954 김경진 육군중령 | 1954 김웅수 육군소장 | 1954 송석하 육군소장 | 1954 엄홍섭 육군소장 |
1954 임선하 육군소장 |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 1954 김옥상 육군일병 | 1954 조재미 육군준장 |
1954 안낙규 육군중사 | 1954 박병권 육군중장 | 1954 이응준 육군중장 | 1954 이준식 육군중장 | 1954 장도영 육군중장 |
1954 최석 육군중장 | 1954 최창언 육군중장 | 1954 박옥규 해군중장 | 1954 김석범 해병중장 | 1955 김창룡(군인) 육군소장 |
1955 정긍모 해군중장 |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 1960 미군무명용사 -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 1961 국군무명용사 - |
1964 박정희 대통령 | 1966 이종세 육군상사 | 1966 강재구 육군소령 | 1966 이인호 해병소령 | 1967 송서규 육군대령 |
1967 채명신 육군중장 | 1967 지덕칠 해군중사 | 1967 정경진 해병대위 | 1967 신원배 해병소위 | 1968 최규식 경무관 |
1968 이익수 육군준장 | 1968 최범섭 육군중령 | 1970 이세호 육군중장 | 1972 이무표 육군대위 | 1972 임동춘 육군대위 |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 1980 육군대장 | 2002 장철부 육군중령 |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 2011 조달진 육군소위 |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 2018 콘라도 디 얍 필리핀 육군대위 |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콘라도 디 얍 Conrado D. Yap | |
본명 | 콘라도 둠라오 얍 Conrado Dumlao Yap |
출생 | 1921년 1월 22일 |
필리핀 자치령 잠발레스주 칸델라리아 | |
사망 | 1951년 4월 23일 (향년 30세) |
경기도 연천군 율동 | |
복무 | 필리핀 육군 |
최종 계급 | 대위 |
복무 기간 | 1943 ~ 1951 |
학력 | 필리핀 통합사관학교 |
참전 | 태평양 전쟁 6.25 전쟁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군인.2. 생애
잠발레스주 칸델라리아에서 태어났고 1943년 필리핀 통합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해 일본군과 전투를 치렀다. 1949년 미국 포트 녹스에 있는 기갑학교에서 수학했다.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고 필리핀도 병력을 한국으로 파병했는데 제10기갑대대전투단[1] 기갑수색중대장으로 한국으로 건너왔고 북진했다. 이후 기갑수색중대에서 화기중대로 재개편되었고 주로 기관총을 지급받았다.
1951년 4월 22일 연천에서 펼쳐진 율동 전투에서 중공군의 공세를 기관총으로 저지하고 인접 부대의 철수를 도왔다. 이에 대대장은 철수를 명령했으나 전사하거나 낙오한 전우들을 구하기 위해 역습을 시도했다. 작전은 성공적이였고 고지도 탈환했으나 중공군의 저격에 전사했다.
사후 수훈십자장을 수여받았고 2018년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3. 여담
- 2019년 4월 이달의 6.25 전쟁영웅에 선정되었다.
- 2016년 퇴역한 포항급 초계함 충주함을 2019년 필리핀군에게 주며 재취역했는데 그의 이름이 붙어졌다.
[1] 17대의 M4셔먼, 1대의 M10 구축전차, 7대의 M24 채피 경전차로 편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