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4 21:49:48

서정학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대한민국 경찰청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치안총감계급장.svg
경무국장 (1945~1946) <nopad> 경무부장 (1946~1949)
<nopad> 미군정
초대
로렌스 M. 쉬크
제2대
아더 참피니
제3대
윌리엄 매글린
제4대
조병옥
초대
조병옥
내무부 치안국장 (1949~1974)
<nopad> 이승만 정부
초대
이호
제2대
김태선
제3대
장석윤
제4대
김태선
제5대
이익흥
<nopad> 이승만 정부
제6대
홍순봉
제7대
윤우경
제8대
문봉제
제9대
이성주
10대
김장흥
<nopad> 이승만 정부
제11대
김종원
제12대
서정학
제13대
이성우
제14대
이강학
제15대
조인구
<nopad> 허정 내각 <nopad> 장면 내각 <nopad> 장도영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제16대
강서룡
제17대
박주식
제18대
조흥만
제19대
이소동
제20대
박태원
<nopad> 박정희 정부
제21대
박영수
제22대
한옥신
제23대
채원식
제24대
박영수
제25대
최두열
<nopad> 박정희 정부
제26대
정상천
제27대
장동식
제28대
정석모
제29대
최석원
제30대
박현식
내무부 치안본부장 (1974~1991)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초대
박현식
제2대
장일훈
제3대
김성주
제4대
손달용
제5대
염보현
<nopad> 전두환 정부
제6대
유흥수
제7대
안응모
제8대
이해구
제9대
박배근
제10대
강민창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11대
이영창
제12대
권복경
제13대
조종석
제14대
김우현
제15대
이종국
경찰청장 (1991~현재)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초대
김원환
제2대
이인섭
제3대
김효은
제4대
김화남
제5대
박일용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6대
황용하
제7대
김세옥
제8대
김광식
제9대
이무영
제10대
이팔호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11대
최기문
제12대
허준영
제13대
이택순
제14대
어청수
제15대
강희락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16대
조현오
제17대
김기용
제18대
이성한
제19대
강신명
제20대
이철성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21대
민갑룡
제22대
김창룡
제23대
윤희근
제24대
조지호
}}}}}}}}}}}}}}}
역임 직위 및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지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이종현
제2대
양성봉
제3대
최규옥
제4대
최헌길
제5대
김장흥
제6대
서정학
제7대
홍창섭
제8대
심상대
제9대
유기준
제10대
이창근
제11대
박영록
제12대
이규삼
제13대
이용
제14대
박경원
제15대
엄병길
제16대
정상천
제17대
최종완
제18대
정석모
제19대
박종성
제20대
김무연
제21대
김성배
제22대
박종문
제23대
김형배
제24대
김주호
제25대
김영진
제26대
이상룡
제27대
한석용
제28대
함종한
제29대
이상룡
제30대
안경진
제31대
최각규
제32-34대
김진선
제35대
이광재
제36-38대
최문순
제39대
김진태
파일:민선 8기 강원특별자치도 도정구호.svg
}}}}}}}}} ||


파일:태극무공훈장 약장.png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태극무공훈장 부장.pn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1951
김용식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김용배
육군준장
1951
박노규
육군준장
1951
김백일
육군중장
1951
김홍일
육군중장
1951
함준호
육군중장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1951
최용남
해병소장
1951
김성은
해병중장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1952
이형근
육군대장
1951
권동찬
육군준장
1952
김종오
육군중장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1953
장덕창
공군중장
1953
최용덕
공군중장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1953
김교수
육군대위
1953
김한준
육군대위
1953
김용배
육군대장
1953
민기식
육군대장
1953
임충식
육군대장
1953
한신
육군대장
1953
김점곤
육군소장
1953
이성가
육군소장
1953
이용문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1953
김동빈
육군중장
1953
김종갑
육군중장
1953
백인엽
육군중장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1953
유재흥
육군중장
1953
최영희
육군중장
1953
함병선
육군중장
1953
최치환
총경
1954
김만술
육군대위
1954
허봉익
육군대위
1954
김경진
육군소령
1954
김웅수
육군소장
1954
송석하
육군소장
1954
엄홍섭
육군소장
1954
임선하
육군소장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1954
김옥상
육군일병
1954
조재미
육군준장
1954
안낙규
육군중사
1954
박병권
육군중장
1954
이응준
육군중장
1954
이준식
육군중장
1954
장도영
육군중장
1954
최석
육군중장
1954
최창언
육군중장
1954
박옥규
해군중장
1954
김석범
해병중장
1955
김창룡
육군소장
1955
정긍모
해군중장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1960
미군무명용사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1961
국군무명용사
-
1964
박정희
대통령
1966
이종세
육군상사
1966
강재구
육군소령
1966
이인호
해병소령
1967
송서규
육군대령
1967
채명신
육군중장
1967
지덕칠
해군중사
1967
정경진
해병대위
1967
신원배
해병소위
1968
최규식
경무관
1968
이익수
육군준장
1968
최범섭
육군중령
1970
이세호
육군중장
1972
이무표
육군대위
1972
임동춘
육군대위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1980
전두환(취소)
육군대장
2002
장철부
육군중령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2011
조달진
육군소위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
대한민국 제12대 내무부 치안국장
서정학
徐廷學 | Seo Jeong-hak
파일:external/www.keomsundo.org/ksd-04.jpg
<colbgcolor=#005ba6><colcolor=#ffffff> 출생 1917년 3월 26일
경기도 연천군
사망 2005년 7월 2일 (향년 89세)
창암(暢巖)
재임기간 제12대 내무부 치안국장
1957년 3월 11일 ~ 1958년 9월 2일
제6대 강원도지사
1958년 9월 2일 ~ 1959년 5월 1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ba6><colcolor=#ffffff> 자녀 아들 서민석
학력 간사이대학 (법학부 / 학사)
경력 국회특별경비대장
경무대 경찰서장
치안국 경무과장
서울시경찰국장
치안국장
제 6대 강원도지사
}}}}}}}}}
1. 개요2. 생애
2.1. 유년기2.2. 검도 입문2.3. 귀국 이후2.4. 공인에서 검도인으로
3. 약력4. 훈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검도인. 전 대한검도회 회장. 검선도(劍禪道) 창립자.[1]

일본 간사이대학의 법학과를 졸업하고 오사카 시청 검도 사범으로 근무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경무대경찰서장을 재임하고 서울특별시청의 경찰국장[2]으로 승진하여 내무부의 치안국장(1950년대~1960년대 경찰총수)으로 근무하다가 강원도지사를 역임하였다.

한병철 저서 ≪고수를 찾아서≫에도 세밀한 에피소드들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고수를 찾아서≫에 수록된 서정학 관련 에피소드는 실제와 전후맥락이 다르니 걸러 읽도록 하자.

2. 생애

2.1. 유년기

어린 시절 10살 때 작은아버지를 따라 일본으로 건너간 후에 구루마 뒤에서 끌기, 신문배달로 지내던 시절 동급 일본학생들이 “조센진"이라며 때리고, 당시 어린 마음에 검도로 성공하여 일본인들을 납작하게 만들어 주겠다는 생각에 검도를 시작했다고 한다. 당시 돈 5전이 없어 목욕탕에 갈 수 없었기에 강가에서 목욕을 했다고 한다.

2.2. 검도 입문

13살에 일본 오사카 호쿠요 상업학교(日本大板北洋商業學校)에 입학하여 검도를 시작하였다. 4학년 초[3]에 2단을 받았는데, 당시 동급 학생 사이에선 일본 학생 한 명과 서정학 단 2명 뿐이었다고 전해진다.

관서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하여 1학년부터 오사카대표 선수로 출전하였으며, 3학년 때 조선인으로서는 일본 전체 대학교 검도국 처음으로 검도국장이 되었다.[4] 당시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 대학교에서 조선인으로서 검도국장은 파격적이었다.
캐나다 세계검도선수권대회(1992.6.29)를 대비하기 위하여 이종림 전무가 이끄는 한국 검도 선수단과 같이 일본 시코쿠 지방을 전지훈련차 일주(一周)하였을 시, 마침 도쿠시마현 검도연맹(德島懸 劍道聯盟)을 방문, 시합과 합동연습을 가지게 되었다. 일정이 끝난 후 만찬회석상에서 였다.
도쿠시마 연맹 회장인 범사 8단 호리에 유키오(堀江幸夫)씨가 나에게 술 한 잔을 권하면서 "이선생, 서정학 선생님을 아십니까?"하고 묻는다.
나는 "왜요?"하면서 의아해 하는 마음으로 반문하였다.
"서정학 선생은 나를 모르실 것 이오만, 나는 그분을 대학시절부터 잘 알고 있지요. 비록 같은 대학을 다닌 것은 아니지만 서선생은 칸사이 지방의 대학생 검도계에서는 유명한 명장(名將)이었으며 대학생들 간에서는 "동경의 대상" 이었소."
이렇게 말하면서 그가 서선생님의 대학시절의 검도 모습을 나에게 들려주었을 때, 나는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서선생님은 오늘날 한국 검도계의 대지주로서 존경의 대상이지만, 50년 전에는 한국인으로서 일본인들로 부터 그와 같은 인식을 받았다는 것은 정말 영광스럽고 가슴 뿌듯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 한국검도논집(韓國劍道論集)(1995, 이호암) - ["검도인생" 서정학 선생님을 찾아서]

3학년 때 4단에 승단, 대학생 시절 단체전에서 7번을 우승했다. 합동훈련이 끝난 후 개인연습 한 시간씩을 더 했다고 전해진다. 대학을 졸업한 후 오사카 부청(大板府廳) 검도팀에 채용되었고[5], 1939년에 연사호(鍊士號)를 받음으로써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이 관문을 통과했다.[6]

조선인 최초로 5단을 수여받았다.[7] 오사카부청 검도팀으로 출전하여 ‘전일본관공서무도대회(全日本官公署武道大會)’ 단체전 우승에 공적을 크게 인정받아, 그 후 그 공로로 “오사카 부립 체육관” 설립과 동시에 초대 검도사범으로 임명되었다.[8]

2.3. 귀국 이후

일본 선생님이 일본여자와 결혼 하라고 하시는 걸 “저는 한국여자와 결혼 할 겁니다.”라며 한국에 오셔서 목사님 소개로 한국여성과 결혼하셨고, 일본에 계실 때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추천해 주겠다는 선생님 말씀에 정중히 거절하셨다. 그 후 한국에 너무나 오고 싶어 검도선생님께 여러 번 부탁하여, 그 후 일본의 원로 검도인 나카노 소스케의 초청을 받아 한국으로 귀국. 경기도 경찰국 검도조교로서 3개월 후에 8.15 해방을 맞이하셨다.
아들 서민석 총사 인터뷰 中

광복 후 혼란한 시대에 치안의 필요성에 따라 미군정 하에 경찰이 탄생하였고, 서정학은 해방 후 처음으로 미군군사교육을 받은 후에 교육관으로 경찰을 시작했다. 후에 조병옥 미군정청 경무부장(현 경찰청장)에게 부탁하여 경찰 내에 검도 수련를 허락받았고, 경찰에 복무하면서 검도를 뿌리내리기 위해 노력했다.

1945년 대한검도회의 전신인 대한검사회를 창립하였다.[9]

1947년에 서울시경찰관검도대회가 처음으로 개최되었고, 경찰 상무회 조직의 활성화에 노력을 기울인다.

6.25 전쟁에 ‘경찰 특공대장’을 맡아 1,200명의 대원과 함께 민간피난민 후송 및 전투에 참가하였다. 후에 그 공로로 경무대경찰서장에 임명되었고,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1948년 6월 13일 창덕궁에서 모임을 가지고 ‘대한검사회가 조직되었고, 1953년 경무대 경찰서장 시절 대한검도회가 창립되어 대한체육회에 가입하였다. 치안국장에 취임 후 경찰에 각 시도에 체육관(사무관급) 제도를 신설하여, 당시 생활이 어려운 검도, 유도 고단자 선생들이 수련하고 보급시킬 수 있는 기틀을 만들었다.

1953년 이승만 대통령이 “검도는 일본의 잔재이니 없애라”는 명령이 떨어졌을 때 경무대경찰서장(현 경호실장) 재임 시 3번 진언하여 검도가 이어지게 된다.

강원도지사 시절 4.19혁명 11개월 전인 1959년 5월 13일부로 당시 부정선거를 지휘하던 이기붕 국회의장의 말을 거절하여 1959년 5월 13일부로 파직되었다.[10] 그리고 제 2공화국이 탄생하고서 전직 고위관료들에 대한 부정 감사에서 아무런 문제점도 없었고, 재산에 대해서도 조사를 받았지만 어떠한 문제점도 없었다.

2.4. 공인에서 검도인으로

1957년 4월 1일부터 1973년 2월 1일 사이에 당시 어려웠던 대한검도회 발전을 위해 7번이나 회장직을 맡았다.

1959년 5월 13일 공직에서 물러나고, 1960년부터 일본을 오가면서 검도수련을 하며 1964년 ‘국제사회인 검도구락부’의 한국회장을 맡고 국제적인 활동을 많이 했다.현재 ‘세계검도선수권대회’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국제사회인 검도세계대회'에 참가하였다.

일본 고단자들과 교류과정에서 1969년 대한검도회장 시절, 당시 일본검도연맹 키무라 도쿠다로 회장에게 ‘국제검도연맹’ 창립 제안을 먼저하여 1970년 4월에 국제검도연맹이 설립되어 초대 부회장에 취임되었다. 그 후 아시아, 미주, 유럽으로 돌아가며 3년마다 개최되는 세계검도선수권대회가 1970년 일본 도쿄 무도관에서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1988년 5월 서울에서 개최된 ‘제7회 세계검도선수권대회’에서 일본인 고단자가 아닌 외국인 고단자로서는 처음으로 개인전 심판장을 역임했다.

1997년 1월 20일 검선도를 창시하고 한국검선도원을 창립했다.

2005년 7월 2일 사망했다. 향년 89세.

3. 약력

4. 훈장



[1] 호에서 따와 '창암류 검선도'라고 부르기도 한다.[2] 지금의 지방경찰청(행정안전부 직할의 광역경찰청)과 전혀 다른 직제로서 XX도청 직할의 XX부국이다. 제1공화국미군정청의 경무부(警務部)와 관구경찰청(管區警察廳)을 내무부의 치안국과 10개 도청의 경찰국으로 축소했기 때문에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지방공무원으로 근무한 경찰관들은 박봉과 격무에 시달렸지만, 내무부가 모든 도청의 고위직(예를 들면 대한민국 대통령도지사/국무총리→부지사/내무부 장관국장/내무부 차관과장)을 임명하여 파견하는 방식으로 경찰국을 통제했다.[3] 지금의 고등학교 1학년.[4] 당시는 검도부가 아니라 검도국이라 칭했다 함.[5] 오전에는 행정 서기 업무, 오후에는 검도수련.[6] 지금의 교토 무덕전에서 3인 1조로 칭호 심사를 봤고, 시합형식이라 패하면 심사에서 탈락했다고 한다.[7] 당시 단증과 칭호증의 발급은 일본과 조선이 달랐던 것으로 보이는데, 일본에서의 공식 칭호증은 대일본무덕회에서 발급했고 증 가운데 워터마크 형태의 숨겨진 글자가 불빛에 비치게 되어있다.[8] 오사카 경찰로 봉직했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잘못된 내용이다. 오사카부청에 검도선수 겸 공무원으로 입직했고 오전에는 행정업무를 봐야 했다. 요즘 일본의 실업검도팀과 비슷한 형태로 보인다.[9] 당시 국내 유일이자 최고단인 5단.[10] 부정선거를 반대하던 7명의 시도지사가 파직되었고 자유당 출신들로 그자리가 채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