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20:28:34

이형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SBS의 기자에 대한 내용은 이형근(기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열혈남아의 멤버에 대한 내용은 마르코(열혈남아)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Ssap_nogada.jpg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general_white.png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장면 내각
초대

이형근
제2대

정일권
제3대

유재흥
제4대

백선엽
제5대

최영희
<nopad> 장면 내각 <nopad> 장도영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제6-8대

김종오
제9대

장창국
제10대

임충식
<nopad> 박정희 정부
제11대

문형태
제12대

심흥선
제13대

한신
제14대

노재현
제15대

김종환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16대

류병현
제17대

윤성민
제18대

김윤호
제19대

이기백
제20대

정진권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21대

오자복
제22대

최세창
제23대

정호근
제24대

이필섭
제25대

이양호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26대

김동진
제27대

윤용남
제28대

김진호
제29대

조영길
제30대

이남신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31대

김종환
제32대

이상희
제33대

김관진
제34대

김태영
제35대

이상의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36대

한민구
제37대

정승조
제38대

최윤희
제39대

이순진
제40대

정경두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41대

박한기
제42대

원인철
제43대

김승겸
제44대

김명수
합동참모회의의장(초대) ▸ 연합참모본부총장(초대~6대) ▸ 연합참모회의의장(7대) ▸ 합동참모의장(~현임) }}}}}}}}}
이형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ea2>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4ea2>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김홍일
2대
김백일
3대
백선엽
4대
이형근
5대
김종오
6대
전부일
7대
김익렬
8대
장창국
9대
양국진
10대
김용배
11대
최석
12대
박임항
13대
임부택
14대
김익렬
15대
문형태
16대
이상철
17대
김상복
18대
심흥선
19대
전부일
20대
김재명
21대
최우근
22대
박희동
23대
양봉직
24대
이희성
25대
황영시
26대
김윤호
27대
이기백
28대
백운택
29대
박희도
30대
최세창
31대
류승국
32대
문영일
33대
이필섭
34대
이병태
35대
김상준
36대
조성태
37대
김척
38대
박영익
39대
강신육
40대
정중민
41대
오현구
42대
김선홍
43대
임충빈
44대
장광일
45대
황중선
46대
권오성
47대
최종일
48대
모종화
49대
엄기학
50대
김용우
51대
서욱
52대
안영호
53대
황대일
54대
안병석
55대
이두희
56대
강호필
57대
주성운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대한민국재향군인회 심볼.svg
대한민국재향군인회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백홍석
제2대
박승훈
제3·4대
신태영
제5대
김일환
제6대
이선근
제7대
이대영
제8대
이형근
제9대
김홍일
제10대
김성은
제11·12대
이성호
제13-17대
김일환
제18-21대
이맹기
제22대
김종환
제23대
백석주
제24대
최경록
제25·26대
소준열
제27·28대
장태완
제29·30대
이상훈
제31·32대
박세직
제33·34대
박세환
제35대
조남풍
제36대
김진호
제37대
신상태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한국자유총연맹 CI.svg한국자유총연맹
역대 총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아시아민족반공연맹 이사장 (1955~1965)
초대
공진항
제2대
박관수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1966~1989)
제3대
김정렬
제4-6대
이응준
제7·8대
손원일
제9·10대
임병직
제11-13대
이형근
제14·15대
서종철
제16대
주영복
제17대
유학성
제18대
신상초
제19대
이진희
제20·21대
박원근
제22대
정일권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1989~현재)
초대
정일권
제2·3대
노재현
제4·5대
최호중
제6대
안응모
제7대
양순직
제8-10대
권정달
제11-13대
박창달
제14대
김명환
제15대
허준영
제16대
김경재
제17·18대
박종환
제19·20대
송영무
제21대
강석호
}}}}}}}}}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주영국 겸 주국제해사기구 대표부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김용우
제2대
김유택
제3대
김용식
제4대
이형근
제5대
배의환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6대
최경록
제7대
김용식
제8대
한표욱
제9대
강영훈
제10대
김영주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11대
오재희
제12대
이홍구
제13대
노창희
제14대
최동진
제15대
최성홍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16대
라종일
제17대
이태식
제18대
조윤제
제19대
천영우
제20대
추규호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21대
박석환
제22대
임성남
제23대
황준국
제24대
박은하
제25대
김건
<nopad> 윤석열 정부
제26대
윤여철
}}}}}}}}} ||

파일:liujuncanmou_2.png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초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이응준
제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채병덕
제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신태영
제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채병덕
제5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정일권
제6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이종찬
제7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백선엽
제8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정일권
제9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이형근
제10대
백선엽
제11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송요찬
제1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최영희
제1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최경록
제1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장도영
제15대
김종오
제16대
민기식
제17대
김용배
제18대
김계원
제19대
서종철
제20대
노재현
제21대
이세호
제22대
정승화
제23대
이희성
제24대
황영시
제25대
정호용
제26대
박희도
제27대
이종구
제28대
이진삼
제29대
김진영
제30대
김동진
제31대
윤용남
제32대
도일규
제33대
김동신
제34대
길형보
제35대
김판규
제36대
남재준
제37대
김장수
제38대
박흥렬
제39대
임충빈
제40대
한민구
제41대
황의돈
제42대
김상기
제43대
조정환
제44대
권오성
제45대
김요환
제46대
장준규
제47대
김용우
제48대
서욱
제49대
남영신
제50대
박정환
제51대
박안수
}}}}}}
※ 초대~제8대: 육군총참모장 / 제9대~현재: 육군참모총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이형근
2대
원용덕
3대
정일권
4대
송호성
5대
김백일
6대
최덕신
7대
김홍일
8대
이준식
9대
안춘생
10대
김종오
11대
박병권
12대
장창국
13대
백남권
14대
이한림
15대
강영훈
16대
김용배
17대
박중윤
18대
정래혁
19대
이세호
20대
김희덕
21대
심흥선
22대
최세인
23대
최우근
24대
정승화
25대
백석주
26대
차규헌
27대
김복동
28대
최연식
29대
황인수
30대
지일환
31대
최문규
32대
장준익
33대
민병돈
34대
이필섭
35대
임인조
36대
김정헌
37대
장성
38대
김정남
39대
장창규
40대
한승의
41대
오남영
42대
박준근
43대
김충배
44대
김선홍
45대
임충빈
46대
김현석
47대
정승조
48대
이봉원
49대
박종선
50대
박남수
51대
고성균
52대
양종수
53대
최병로
54대
김완태
55대
정진경
56대
김정수
57대
강창구
58대
전성대
59대
권영호
60대
정형균
61대
소형기
※ 초대~13대, 17대, 19대, 51대, 58대, 60대, 61대: 대령, 준장, 소장 / 14대~59대: 중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1e2087>
파일:제3군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e2087>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이형근
2대
유재흥
3대
강문봉
4대
송요찬
5대
이성가
6대
오덕준
7대
양국진
8대
박병권
9대
최석
10대
최창언
11대
서종철
12대
이창정
13대
황엽
14대
심흥선
15대
박춘식
16대
최세인
17대
이동화
18대
김재규
19대
정승화
20대
김학원
21대
윤성민
22대
전성각
23대
이상훈
24대
한철수
25대
신치구
26대
이진삼
27대
박익순
28대
편장원
29대
김종배
30대
이규환
31대
김석재
32대
박봉식
33대
신일순
34대
권영기
35대
박흥렬
36대
최용주
37대
김일생
38대
이성호
39대
이용광
40대
한동주
41대
나상웅
42대
김병주
43대
김승겸
44대
박상근
45대
전동진
46대
신희현
47대
김봉수
48대
서진하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태극무공훈장 약장.png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태극무공훈장 부장.pn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1951
김용식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김용배
육군준장
1951
박노규
육군준장
1951
김백일
육군중장
1951
김홍일
육군중장
1951
함준호
육군중장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1951
최용남
해병소장
1951
김성은
해병중장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1952
이형근
육군대장
1951
권동찬
육군준장
1952
김종오
육군중장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1953
장덕창
공군중장
1953
최용덕
공군중장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1953
김교수
육군대위
1953
김한준
육군대위
1953
김용배
육군대장
1953
민기식
육군대장
1953
임충식
육군대장
1953
한신
육군대장
1953
김점곤
육군소장
1953
이성가
육군소장
1953
이용문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1953
김동빈
육군중장
1953
김종갑
육군중장
1953
백인엽
육군중장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1953
유재흥
육군중장
1953
최영희
육군중장
1953
함병선
육군중장
1953
최치환
총경
1954
김만술
육군대위
1954
허봉익
육군대위
1954
김경진
육군소령
1954
김웅수
육군소장
1954
송석하
육군소장
1954
엄홍섭
육군소장
1954
임선하
육군소장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1954
김옥상
육군일병
1954
조재미
육군준장
1954
안낙규
육군중사
1954
박병권
육군중장
1954
이응준
육군중장
1954
이준식
육군중장
1954
장도영
육군중장
1954
최석
육군중장
1954
최창언
육군중장
1954
박옥규
해군중장
1954
김석범
해병중장
1955
김창룡
육군소장
1955
정긍모
해군중장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1960
미군무명용사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1961
국군무명용사
-
1964
박정희
대통령
1966
이종세
육군상사
1966
강재구
육군소령
1966
이인호
해병소령
1967
송서규
육군대령
1967
채명신
육군중장
1967
지덕칠
해군중사
1967
정경진
해병대위
1967
신원배
해병소위
1968
최규식
경무관
1968
이익수
육군준장
1968
최범섭
육군중령
1970
이세호
육군중장
1972
이무표
육군대위
1972
임동춘
육군대위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1980
전두환(취소)
육군대장
2002
장철부
육군중령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2011
조달진
육군소위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
대한민국 초대 연합참모본부총장
이형근[1]
李亨根 | Lee Hyung-geun
파일:이형근합참의장.jpg
<colbgcolor=#801a24><colcolor=white> 출생 1920년 11월 2일
충청남도 공주군 (現 충청남도 공주시)
사망 2002년 1월 13일 (향년 81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장군1묘역-11
본관 공주 이씨
청재(靑哉)
재임기간 초대 연합참모본부총장
1954년 5월 5일 ~ 1956년 6월 27일
제9대 육군참모총장
1956년 6월 27일 ~ 1957년 5월 17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01a24><colcolor=white> 형제자매 동생 이상근
배우자 이필륜 (사별)
이혜란 (재혼)
자녀 아들 이헌[2]
학력 청주고등보통학교 (졸업)
일본육군야전포병학교 (졸업)
경력 재향군인회 회장
주필리핀 특명전권대사
주 영국 대사
군사 경력
임관 일본육군사관학교 (56기)
군사영어학교 (1기)
복무 일본제국 육군
1942년 ~ 1945년
대한민국 육군
1946년 ~ 1959년
최종 계급 대위 (일본제국 육군)
대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육군참모총장
주요 보직 제6보병사단 2연대장
육군제8보병사단장
육군사관학교장
연합참모본부총장
참전 6.25 전쟁 }}}}}}}}}
1. 개요2. 생애3. 여담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past_chairman_07.jpg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외교관.

2. 생애

충청남도 공주에서 태어났다.

1942년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3] 포병 대위로 복무하다 태평양 전쟁 종전을 맞았다. 전쟁 말 대륙타통작전 관련 이야기를 회고록에서 한다.

대한민국 국군 군번 제1번으로 유명하며 초대 육군참모총장을 지낸 이응준 장군의 사위이다. 이 사항 때문에 필요없이 욕을 먹기도 한다. 참고로 여기서 국군 제1번이란 회고록에 의하면 군사영어학교 등록 번호이고 성적이라는 것인데, 실질적으로 군사 영어 학교에서 군번 취득용 시험은 없었다는 게 오늘날의 기록이고 등록번호 등은 채병덕 등이 앞선 것도 사실이었다. 이런저런 사항을 감안하면 5번대 이후라는 것이 채병덕 평전에서 주장하는 내용.[4]

이형근의 회고록에서는 자신이 번호가 너무 빨라서 미군에게 내가 일본군에서 그들보다 계급이 낮은데 어떻게 된 거냐고 물어보자 "우리는 일본군을 만들려고 한 것이 아니다. 국군을 만들려고 한 것이다. 과거 일본군에서 보내준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가 결정하였다."라고 하였다(이전에는 '군사영어학교 시험 성적으로 결정하였다.'라고 하였지만 안 통하니 말을 바꾸었다). 이에 대해 채병덕 평전에서는 이미 망한 일본군에서 무슨 경황이 있다고 복무 성적 등 자료를 보내주는가 하며 비판하였다.

문제는 채병덕과 군번으로 인한 갈등 때문에 국군 탄생과 동시에 파벌이 생겼다. 이 갈등 와중에 채병덕이 육군참모총장이 되어 완벽하게 국군을 말아 먹는다. 그리고 이형근은 채병덕이 수상하다며 그의 회고록에서 계속하여 비판한다(채병덕 평전에는 이형근이 장인 백으로 군번 1번을 받았다며 비난한다).

1946년에 조선경비사관학교 교장을 맡았고, 국방 경비대 총사령관 겸 육군사관학교장, 통위부 참모총장, 제8사단장을 역임했다.

6.25 전쟁이 터진 1950년 6월 제2사단장에 부임했고, 1951년 9월 휴전 회담 당시 한국 측 대표를 맡았다.

1956년 9월 제9대 육군참모총장이 되었으며 백선엽, 정일권과 함께 1950년대 군 주축 세력으로 활약하다 1959년 8월 대장으로 전역했다. 1962년 7월 25일, 김용식의 후임으로 주영대사로 발령, 아그레망이 접수되었으며 11월 7일에 신임장을 제정하였다. 1967년 9월에 귀국, 후임 대사로 1967년 7월 18일, 배의환의 아그레망이 접수되었다.

이후 주필리핀한국대사를 지냈다.

3. 여담

창씨개명 당시의 이름은 마쓰야마 다케오(松山武雄)이다.

백선엽의 군과 나 이후에 군번 1번의 외길 인생이란 회고록을 월간 중앙에 연재했는데 마지막 부분에 제시한 "6.25 전쟁 10대 미스터리"가 아직도 인터넷에서는 유명하다. 오히려 업적보다도 이런 점으로 더 유명한 편.

2000년대 군사지에서 소개한 미 군사 고문단 관련 연구 자료와 미 군사 고문단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전쟁 초기에 주요 침공로인 축석로 방어에 중대한 오점을 남겼다는 이야기가 있다. 개전 후 오전 8시에 각 부대 지휘관의 원대 복귀를 명했고, 이형근의 고문관도 비슷한 시기에 부대 복귀를 명받았지만 막상 이형근은 오후나 되어서 복귀한다. 그때는 이미 축석령 부분의 방위는 포기한 상태였다. 간첩...론은 아니지만, 38선에서 흔히 일어나는 분쟁 정도로 가볍게 봤을 가능성도 있고 미 고문단 보고서도 이형근의 그런 실책을 암시하는 정도이다.

10대 미스터리는 주요한 떡밥이라서 연구가 되긴 했는데. 2017년 현재는 그렇게 신빙성 있는 의견은 나오지 못하고 있다. 한국 전쟁 연구 학자들이나 군 전문가들의 연구로 인해 부정되고 있는데 대체적으로는 이형근 본인의 판단 오류와, 초창기 한국군의 미숙함에서 비롯된 불운으로 해석하는 편이다. 일부 정치적인 논쟁거리로만[5] 나오는 편. 오히려 이형근의 여러 실책들이 묻히는 감이 있긴 하다.

1970년대 초에 젊은 시절을 보낸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아들인 가수 이현 (본명 이헌)이 더 유명할지도 모른다. 이현은 '잘 있어요' 등의 히트곡을 남겼고, 가수 은퇴 후에는 기업인이 되었다.[6]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선정되었다.

4.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장(1963-1997).svg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08080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9166f> 정계
20명
<colbgcolor=#fff,#191919> 고재청 <colbgcolor=#fff,#191919> 권중돈 <colbgcolor=#fff,#191919> 김윤환 <colbgcolor=#fff,#191919> 김철
남재희 박명근 손세일 신상초
오세응 유옥우 유한열 이종률
이태구 장승태 정래혁 정석모
조종호 진의종 채문식 한영수
학계
13명
권이혁 김대환 김만제 김상협
나창주 박봉식 박승재 박일경
서명원 안세희 윤근식 정의숙
한기춘
국보위 대표
10명
김영균 노재원 박종문 서동열
심유선 이광노 이기백 이우재
정태수 조영길
문화·사회계
9명
권정달 김준 박윤종 박인각
송지영 이정식 이종찬 이호
정범석
법조계
8명
김사용 김태청 윤길중 이범렬
이병호 이진우 임영득 정희택
종교계
8명
강신명 김봉학 서경보 이병주
이영복 이종흥 전달출 조향록
여성계
4명
김정례 김행자 안목단 이경숙
경제계
3명
박태준 유기정 정수창
언론계
3명
방우영 이원경 이진희
향군 대표
2명
이맹기 이형근
노동계
1명
정한주
재적
81명
}}}}}}}}}}}} ||



[1] 일제강점기 당시 창씨명은 마츠야마 다케오 (松山武雄)[2] 가수였으며 활동 당시 예명은 이현.[3] 이 시기 같은 학교에 있던 영친왕과 대면한 적이 있었는데 처음 만났을 당시에는 일본어로만 말해서 약간 실망했지만 광복 다음 날에 만났을 때는 일본인 같은 행동거지를 제외하고 완벽한 한국어를 구사해서 놀랐다고 한다. 이전에는 조심해서 처신해야 해서 그랬지만 광복 이후에는 그럴 필요가 없어져서 그랬던 모양.[4] 채병덕과 군번 싸움으로도 말이 많았지만, 사실 김홍일이나 김석원 같은 원로가 군번 1번을 상징적이나마 받지 못한 것이 당대에도 말이 많았다. 일본군 경력자인 김석원이야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김홍일 장군은 광복군 출신이었는데도 말이다.[5] 이를테면 유재흥이나, 뉴데일리 같은 데서 나오는 좌빨 암약설. 최근에 조선일보에서는 모태범이라는 국군 장교가 이 10대 미스터리를 뒤에서 획책한 통적분자라고 나왔다. 그리고 정말 우연히 그날 동계 올림픽에서 모태범 선수가 금메달을 땄다.[6] 노년이 되어 다시 가수로 돌아와 가요무대에 가끔 출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