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국방부장관 (1948~현재)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이범석 | 제2대 신성모 | 제3대 이기붕 | 제4대 신태영 | 제5대 손원일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nopad> 장면 내각 | ||||||||
제6대 김용우 | 제7대 김정렬 | 제8대 이종찬 | 제9대 현석호 | 제10대 권중돈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
제11대 현석호 | 제12대 장도영 | 제13대 송요찬 | 제14대 박병권 | 제15대 김성은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6대 최영희 | 제17대 임충식 | 제18대 정래혁 | 제19대 유재흥 | 제20대 서종철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21대 노재현 | 제22대 주영복 | 제23대 윤성민 | 제24대 이기백 | 제25대 정호용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26대 오자복 | 제27대 이상훈 | 제28대 이종구 | 제29대 최세창 | 제30대 권영해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31대 이병태 | 제32대 이양호 | 제33대 김동진 | 제34대 천용택 | 제35대 조성태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36대 김동신 | 제37대 이준 | 제38대 조영길 | 제39대 윤광웅 | 제40대 김장수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41대 이상희 | 제42대 김태영 | 제43대 김관진 | 제44대 한민구 | 제45대 송영무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46대 정경두 | 제47대 서욱 | 제48대 이종섭 | 제49대 신원식 | 제50대 김용현 | ||||||
대한제국 군부대신 · 임시정부 군무부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김성은 관련 틀 | ||||||||||||||||||||||||||||||||||||||||||||||||||||||||||||||||||||||||||||||||||||||||||||||||||||||||||||||||||||||||||||||||||||||||||||||||||||||||||||||||||||||||||||||||||||||||||||||||||||||||||||||||||||||||||||||||||||||||||||||||||||||||||||||||||||||||||||||||||||||||||
|
<colbgcolor=#ec1e31><colcolor=#fff> 출생 | 1924년 12월 20일 | ||
경상남도 창원군 상남면 가음정리 (現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가음정동)[1] | |||
사망 | 2007년 5월 15일 (향년 84세) |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1묘역 38호 | ||
본관 | 김해 김씨 | ||
재임기간 | 제4대 해병대사령관 | ||
1960년 6월 25일 ~ 1962년 7월 1일 | |||
제15대 국방부장관 | |||
1963년 3월 16일 ~ 1968년 2월 27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c1e31><colcolor=#FFFFFF> 형제자매 | 동생 김효은 | |
학력 | 하얼빈 농업학교 (중퇴)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육군대학 (졸업)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 1기) 국방대학교 대학원 (행정학사 / 1기) | ||
종교 | 개신교 (예장통합)[2] | ||
경력 | 제15대 국방부장관 초대 해병대전우회 총재 | ||
군사 경력 | |||
임관 | 조선해안경비대 사관학교 (1기) | ||
복무 | 대한민국 해군 | ||
1946년 ~ 1949년 | |||
대한민국 해병대 | |||
1949년 ~ 1962년 | |||
최종 계급 | 중령 (대한민국 해군) 중장 (대한민국 해병대) | ||
주요 보직 | 해병대사령관 | ||
참전 | 6.25 전쟁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군인.대한민국 국방부 역사상 최연소[3], 최장 재임[4], 유일한 해병대 출신 국방장관 기록을 갖고 있는 인물이다.
2. 생애
1924년 12월 20일 경상남도 창원군 상남면 가음정리(現 창원시 성산구 가음정동)에서 태어났다.1946년에 조선해안경비대 사관학교에 입학해 소위로 임관했고 1949년에 대한민국 해병대가 창설된 후, 초대 사령관 신현준의 권유를 받아들여 해병대의 창설 멤버가 되었다. 1950년 6.25 전쟁 초기 대대급 규모에 불과했던 대한민국 해병대를 야전에서 진두지휘했으며, 이들은 김성은 중령의 이름을 따서 '김성은 부대 혹은 김 부대'라고 불렸다. 마산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고 특히 마산 진동리 전투와 통영상륙작전 등 여러 초기 전투에서 해병대의 승리를 이끌었다.
1960~1962년 제4대 해병대사령관을 지냈는데, 그의 재임 중인 1961년 5.16 군사정변이 발생했다.[5] 이후 1963~1968년 5년 동안 국방장관을 역임하며 베트남 전쟁 파병 등의 실행을 맡았다. 그러나 1.21 사태 직후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현재로서는 유일한 해병대 출신 국방부장관으로 기록되어 있다. 베트남전 파병 이전 미국 국방부 장관과 회담을 통해 한국군 파병기간동안 군원물자이관 중지, 한국 경제개발지원금 원조(KIST 설립) 등의 회담결과를 얻어냈다.[6]
1987년 해병대사령부가 재창설되면서[7] 창립된 해병대 전우회의 초대 총재로 추대되었다. 6.25 전쟁 당시 해병대를 진두지휘한 영웅이자 해병대 출신 최초의 국방장관으로서의 위상 등을 반영한 결과였다. 만년에는 더글러스 맥아더 동상 철거 요구에 맞서기 위한 해병대 예비역 차원의 대응을 주도했고, 노무현 정부의 전시 작전 통제권 반환에 대한 반대 운동에도 참가했다.
2007년 향년 84세로 별세했다.[8]
3. 기타
회고록으로 '나의 잔이 넘치나이다'가 있다.[9]일부 그의 유품들은 통영시 원문고개에 위치한 통영상륙작전기념관에 기증되어 전시하고 있다.
해병대교육훈련단에는 그의 이름을 딴 김성은관이 있다. 보통 이 곳에서 실무 배치, 입영행사, 신병교육 등이 이루어진다.
[1] 인근의 불모산동과 함께 김해 김씨 집성촌이다.[2] 예편 후 서울 신당동의 신일교회에 출석하였다.[3] 임명 당시 39세였다.[4] 재임기간 약 5년. 정확히는 59개월(1963년 3월~1968년 2월).[5] 당시 해병대에서도 대대급 부대가 한강 대교에서 헌병과 총격전을 벌이는 등 가담했지만, 김성은 본인은 5.16에 동참하지 않고 오히려 군인으로서 중립을 지켜 쿠데타 군부에게 살해당할 뻔하기도 했다.[6] 출처 : KBS 역사스페셜 '월남파병 박정희의 승부수'였다.[7] 1973년 사령부가 해체되어 제2참모부(상륙병과)로 격하되었다가 1987년 원상회복되었다.[8] 같은 해에 초대 해병대사령관인 신현준 장군도 세상을 떠났다.[9] 제목에서 보듯 김성은 장군은 독실한 개신교 신자였다. 이름인 성은부터가 성스러운 은혜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