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05 12:32:57

조선해안경비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대한민국 해군/역사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191919>상고·원삼국시대고조선군 / 부여군 / 삼한군
삼국시대고구려군백제군신라군가야군
남북국시대발해군신라군
고려시대고려군
조선시대조선군
대한제국대한제국군 / 의병
일제강점기일본 제국 육군 조선군·조선보병대 / 독립군
분단시대
(건군기)
미군
해방병단조선해안경비대
남조선국방경비대조선경비대
소련군
적위대보안대
철도보안대북조선철도경비대
수상보안대해안경비대
현대대한민국 국군조선인민군}}}}}}}}}


1. 개요2. 해방병단3. 역사4. 기구도(1947.02.08.당시)5. 계급6. 주요 인물

1. 개요

파일:조선해안경비대.jpg
조선해안경비대 모표 재현도[1]
朝鮮海岸警備隊

1945년 11월 11일에 창설된 해방병단이 1946년 6월 15일부터 이름을 바꾸어 활동했던 단체. 1948년에 공식적으로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자 9월 5일에 명칭이 대한민국 해군으로 변경된다.

2. 해방병단

조선해안경비대는 1946년 6월 15일에 명칭이 변경되기 전까지는 '해방병단(海防兵團)'이라고 불렸다. 사실 해군사에서 중요한 단체는 바로 이 해방병단이다.

손원일 제독과 윤치창이 함께 설립한 해사대(海事隊)와 석은태 대표가 단장으로 있던 '조선해사보국단'을 합친 '조선해사협회'가 1945년 11월 11일 미 군정과의 합의[2]를 통하여 상선사관[3][4]들을 중심으로 해방병단을 창설했다.

해방병단은 일본군이 남긴 시설을 인수하고 조함창(造艦廠)을 세워 폐선들을 수리해 재취역시켰다. 그리고 인원을 1,000명 가량 확보했으며, 이들은 국내 해안과 도서의 경비를 맡았다.

당시 미 군정은 국내에 난립하던 무장단체를 모두 해산시켰는데, 해방병단은 예외였다. 육군계 무장단체들이 미 군정청의 인정을 일절 받지 못했기에 이례적인 일이었다.

해방병단은 1946년 6월 15일에 '조선해안경비대'로 개칭된다.

3. 역사

1946년 6월 15일 통위부(統衛部)[5] 예하로 설립되었다. 주요 주체는 해방병단(海防兵團)과 미군정청 산하의 남조선해안경비국이었다. 한마디로 외부에 아웃소싱 용역으로 만든 집단이 정규군이 된 것이었다. 손원일 제독은 처음에 해군이 아닌 해안경비대라는 사실에 반발했으나, 미 군정청이 차후 해군으로 격상시켜 준다고 약속하자 이를 수락했다.

새로이 편성된 조선해안경비대는 1946년 1월 14일에 해방병단 본부를 소급해서 조선해안경비대 총사령부로 개칭하였고 같은 해 9월에 미합중국 해군으로부터 상륙정 2척과 소해정 등을 받았다. 1947년엔 한국의 주요 항구에 기지를 세웠고 1948년 정부 수립 직전까지 3천명의 인원과 함정 105척을 확보하였다. 1948년 9월 5일에 대한민국 해군이 되었고 한동안 해경의 업무도 병행하다가 1953년에 내무부 치안본부 예하로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의 전신인 해양경찰대가 설립되자 일부 해안경비업무와 치안유지업무를 해양경찰대로 이관하였다.

창설 초반엔 미군정 산하 육군 장교들이 와서 육방부스러운 마인드를 갖고 설쳤는데, 이는 미 군정청이 미 육군 24군단 인원들로 편성되어 위관급이나 영관급 장교들이 중앙과 지방 행정관료 노릇을 했던 탓이다. 결국 바다에 대해서 자기들보다 아는 것도 없는 주제에 불필요한 간섭과 통제만을 일삼던 미 육군 장교들에게 실망한 손원일 제독이, 그나마 말이 통하던 칼스텐 소령에게 요청하여 고문들을 해안경비대 장교부사관들로 교체토록 했고, 이들은 조선해안경비대에 매우 열정적으로 지원과 협조를 해주었다. 미 해안경비대는 오늘날까지도 자신들이 신생국의 해군이 된 해안경비대 창설에 일조했다는 사실에 자부심으로 가지고 있으며, 홈페이지 등에도 자료 사진 등을 게시하고 있다.

창군 인사들은 해군부를 설립하길 원했으나 미국에서도 육군부와 해군부가 국방부로 통합되던 터라 한국에서도 국방부가 창설되었고 해군부는 설립되지 않았다.

4. 기구도(1947.02.08.당시)

5. 계급

해방병단은 처음에는 계급이 없었으나, 1946년 2월에 사관 계급이, 6월에 사병계급이 도입되었다. 부사관의 계급으로는 삼등병조-이등병조-일등병조-병조장 체계를 사용했다.

6. 주요 인물


[1] 실제 모표는 아니고, 재현한 모습이다. 원본은 모두 자수로 수놓아져 있다.[2] 1945년 11월 미 군정청의 운수부장인 칼스텐 육군 소령이 일본 해군의 항구가 있던 경상남도 진해의 해안 및 도서 순찰을 맡을 인원을 민간에 요청했다. 일종의 아웃소싱이었던 것.[3] 일본 해군은 순혈주의가 강했기 때문에 일본인을 제외한 식민지인들은 들어갈 수가 없었다. 일본해군병학교는 종전 시까지 식민지 출신과 외국인 생도를 일체 받지 않았기에 여기서 타국인이 장교가 될 가능성이 거의 없었고, 수병에 한하여 1943년부터 조선인 지원자를 모집하기는 했으나, 이마저도 사보타주 등의 공작을 우려해 육상부대 위주로 배치했다. 만주군국부군의 해군은 영 부실했고, 광복군 등의 독립군에는 해군 자체가 없었다.[4] 해군에 일본군과 만주군 경력자가 유입되지 않은 것은 아니었으나, 이들은 육군 및 육전대 출신들이었기에 대한민국 해병대가 창설되자 그쪽으로 다 전출갔다. 함정 운용에는 도움이 안되어도 상륙전 등의 지상전에는 익숙했으므로 이는 합리적인 인사였다. 그래서 해군은 국군 중 유일하게 정통성 논란이 일어나지 않는다.[5] 국내경비부(國內警備部)라고도 하며 미군정청에서 국방부 역할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