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3853a4><tablebgcolor=#3853a4>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3853a4><tablebgcolor=#3853a4>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구원근 | 2대 이정웅 | 3대 권삼 | 4대 김인건 | 5대 전성대 | |
※ 초대~현재: 소장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이형근 | 2대 원용덕 | 3대 정일권 | 4대 송호성 | 5대 김백일 | |
6대 최덕신 | 7대 김홍일 | 8대 이준식 | 9대 안춘생 | 10대 김종오 | |
11대 박병권 | 12대 장창국 | 13대 백남권 | 14대 이한림 | 15대 강영훈 | |
16대 김용배 | 17대 박중윤 | 18대 정래혁 | 19대 이세호 | 20대 김희덕 | |
21대 심흥선 | 22대 최세인 | 23대 최우근 | 24대 정승화 | 25대 백석주 | |
26대 차규헌 | 27대 김복동 | 28대 최연식 | 29대 황인수 | 30대 지일환 | |
31대 최문규 | 32대 장준익 | 33대 민병돈 | 34대 이필섭 | 35대 임인조 | |
36대 김정헌 | 37대 장성 | 38대 김정남 | 39대 장창규 | 40대 한승의 | |
41대 오남영 | 42대 박준근 | 43대 김충배 | 44대 김선홍 | 45대 임충빈 | |
46대 김현석 | 47대 정승조 | 48대 이봉원 | 49대 박종선 | 50대 박남수 | |
51대 고성균 | 52대 양종수 | 53대 최병로 | 54대 김완태 | 55대 정진경 | |
56대 김정수 | 57대 강창구 | 58대 전성대 | 59대 권영호 | 60대 정형균 | |
※ 초대~13대, 17대, 19대, 51대, 58대, 60대 : 대령, 준장, 소장 / 14대~현임 : 중장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대한민국 제5대 육군동원전력사령관 전성대 Jeon Sungdae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1991년 ~ 현재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47기) |
현재 계급 | 소장 (대한민국 육군) |
현재 보직 | 육군동원전력사령관 |
주요 보직 | 육군사관학교장 제32보병사단장 육군본부 인사관리복지차장 제1야전군사령부 인사처장 육군본부 인사기획과장 육군본부 진급자료관리과장 제28보병사단 제80보병연대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 현재 계급은 소장이며, 육군동원전력사령관직을 역임중이다.2. 생애
1987년 육군사관학교 47기로 입교하여 1991년 졸업과 함께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직능은 인사.3. 주요 직위
- 중령
- 대령 2012년 1차 진급
- 준장 2017년 12월 1차 진급
- 소장 2019년 11월 1차 진급
4. 여담
- 사단장 취임사로 "대전·세종·충남을 수호하는 최후의 보루로서 다양한 안보위협에 대비한 만반의 통합방위 작전능력과 태세를 유지하는데 구성원 모두의 노력을 집중할 것"이며 "지방자치단체와의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지역 안보역량을 강화하고, 민관군 통합 재난 관리체계를 확립하고 정착시킴으로써 소중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진력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 전임자인 김태일 소장은 대한민국 육군본부 감찰실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다시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자리를 옮겨 전역했다.
- 매월 1일마다 국기게양식 겸 분열을 시키며 이 때문에 제32보병사단 직할대 인원들은 간부들의 지도아래 빡세게 연습을 했다. 다만 이건 32사단 혼자만 그런 것이 아니라 사단 급 이상의 상급부대는 거의 매월 1일에 국기게양식이 진행된다.
- 2022년 상반기 인사에서 육사 동기인 김규하, 김봉수, 임관 동기인 3사 출신 고창준과 ROTC 출신 고현석이 중장 진급에 성공하였다. 또한 2023년 하반기 인사에서 육사 동기인 손식과 임관 동기인 3사 출신 고창준이 대장 진급에 성공하였다.[8] 2024년 4월 강호필 중장이 합동참모차장 보임과 함께 대장으로 진급했다.
- 동기인 손식 장군과 강호필 장군이 대장으로 진급한데다, 곽종근,임기훈 장군이 3차로 진급하였고[9], 군수 직능인 손대권 장군까지 4차로 사실상 임기제 진급을 하였으므로 중장 진급의 기회는 영원히 날아갔다고 볼수있다. 이변이 없는 한 해당 보직을 마지막으로 보내거나 2작사 부사령관, 부군단장, 한미연합사 부참모장 등 다른 한직으로 전보된 후 군생활을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5. 관련문서
[1] 연대장 재임시기에 김승겸 사단장(육사 42기)을 직속상관으로 맞이하였으며 후임은 육사 1기수 후배인 박후성이다.[2] 1군사의 마지막 인사처장이다.[3] 사단장으로 취임한지 약 6개월 만에 태안 보트 밀입국 사건이 발생한데다, 밀입국 당시 보트가 해안감시장비에 식별되었음에도 낚싯배 등으로 오판하였기에 군에서도 해안 경계 실패의 책임으로 인해 엄중 조치를 받기도 하였다. 경계 작전실패로 인한 징계라 중장진급은 어려울것으로 보인다. 이후 육본 동원참모부장 출신 김관수 소장에게 이임하였다.[4] 전임 김태일, 후임 김관수[5] 전임 교장은 강창구 중장. 과거 박남수 교장 해임 이후 취임한 고성균 소장처럼 소장 계급으로 육사 교장에 취임했는데, 아무래도 육군총장과 동기인 강창구 중장의 교체 필요성은 있었지만 안 그래도 중장급이 많이 교체되어 보낼 사람이 없는 탓에 여유가 있는 교육기관장으로 소장을 보임시킨 것 같다는 의견이 있다. // 사단장 취임한지 6개월뒤 밀입국 사건 이후부터 22년 6월까지 해안경계작전을 위한 과학화 장비 도입, 4차산업 기술 활용 선박관리체계 혁신, 3-4중 경계태세 도입, 수시 해안경계훈련 등을 통해 ‘해안경계 강화’에 이바지한 공도 인정받은 것으로 보인다. // 안상민 해사교장 및 공승배 공군교육사령관이 초임 소장인 것으로 알 수 있듯 이런 경우 대개 교육기관장의 계급이 그나마 낮아져도 무방하다고 보여 가능한 인사라는 말도 있다. 휘하 사단장을 지휘해야 하는 군단장 자리에는 소장을 보내기 어려운 반면, 육사에는 최고 계급이 준장인 ‘생도대장’과 ‘교수부장’이라 지휘에 문제가 없기도 하고. 전성대 장군이 인사직능인 것도 고려된 듯.[6] 전임 강창구, 후임 권영호[7] 전임 김인건[8] 본인은 제32보병사단장 재임 중 태안 보트 밀입국 사건에 따른 해안 경계 실패로 징계를 받은데다, 동기인 손식이 대장으로 진급해 임기제 진급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물론 인사 직능이라는 점이 가장 큰 한계 중 하나. 2022년 하반기 인사에서 김인건 소장의 뒤를 이어 동원전력사령관에 임명되었다.[9] 정상 진급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사실상 막차로 진급한 것과 다름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