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의 야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이한림(2006)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흥부장관 (1955~1961)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유완창 | 제2대 김현철 | 제3대 송인상 | 제4대 신현확 | |
<nopad> 허정 내각 | <nopad> 장면 내각 | |||
제5대 전예용 | 제6대 주요한 | 제7대 김우평 | 제8대 태완선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
제9대 주요한 | 제10대 박기석 | 제11대 신태환 | ||
건설부장관 (1962~1994) | ||||
<nopad> 박정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초대 박임항 | 제2대 조성근 | 제3대 정낙은 | 제4대 전예용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5대 김윤기 | 제6대 주원 | 제7대 이한림 | 제8대 태완선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9대 장예준 | 제10대 이낙선 | 제11대 김재규 | 제12대 신형식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13대 고재일 | 제14대 최종완 | 제15대 김주남 | 제16대 김종호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17대 김성배 | 제18대 이규효 | 제19대 최동섭 | 제20대 박승 |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21대 권영각 | 제22대 이상희 | 제23대 이진설 | 제24대 서영택 | |
<nopad> 문민정부 | 1994년 교통부와 통합 | |||
제25대 허재영 | 제26대 고병우 | 제27대 김우석 | }}}}}}}}} |
역임한 직위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대한민국 제7대 건설부장관 이한림 李翰林 | Lee Han-lim | |||
출생 | 1921년 2월 10일 | ||
함경남도 안변군 | |||
사망 | 2012년 4월 29일 (향년 91세) |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장군2묘역 207호 | ||
본관 | 평창 이씨[1] | ||
재임기간 | 제3대 특무부대장 | ||
1951년 1월 13일 ~ 1951년 4월 6일 | |||
제7대 건설부장관 | |||
1969년 2월 17일 ~ 1971년 6월 4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부모 | 아버지 이흥한 | |
배우자 | 송순옥 | ||
자녀 | 아들 이승훈, 이재훈 딸 이은정, 이은주, 이은경 | ||
학력 | 펑톈제1중학교 (졸업)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석사) |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가브리엘) | ||
경력 | 제7대 건설부장관 주 터키 대사 주오스트레일리아대사 신민주공화당 당무위원 자유민주연합 전임고문 | ||
군사 경력 | |||
임관 | 신경군관학교 (2기) 일본육군사관학교 (57기) 군사영어학교 (1기) | ||
복무 | 만주국 육군 | ||
1941년 ~ 1945년 8월 15일 | |||
대한민국 육군 | |||
1946년 2월 26일 ~ 1961년 8월 24일 | |||
최종 계급 | 중위 (만주국 육군) 중장 (대한민국 육군) |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 관료.2. 생애
1921년 함경남도 안변군에서 태어났다. 만주 신경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유학한 뒤 만주군 장교로 복무했다.[2]신경군관학교에서는 수석졸업 박정희 차석 이한림이었고, 일본육사 졸업시에는 이한림 수석 졸업, 박정희 3등이었다.[3] 일본 육사 유학시절만 해도 두사람은 단짝친구였고 1944년 일본육사를 졸업하면서 각기 임지로 가는 바람에 해방 때까지 재회하지 못했으나 해방된 후에도 한동안은 잘 지냈고 이한림도 회고록에서 박정희를 피를 나눈 형제보다 가까웠다고 적고 있다.8.15 광복 후 귀국하여 1945년 12월 군사영어학교 1기생으로 입교, 1946년 2월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이후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교관으로 배치되면서 박정희와 재회했는데, 박정희가 이현란과 소개팅을 할 때도 이한림이 따라갔을 정도. 하지만 이한림은 독실한 천주교 신자인데 반해서 박정희는 무신론에 가까운 입장이었고, 기독교가 대체 조국의 부흥에 뭐를 해줄 수 있냐는 냉소적인 입장이라 충돌했으며, 박상희의 죽음 이후 한동안 박정희가 좌익성향을 보이면서 정치적으로는 틀어지게 된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틀어지는 것은 나중의 일이다.
이승만 정권 시기 1956년 대선에서 자유당에 대한 협조를 거부하면서 야당성향 장군으로 찍혀 박해를 받았으며 국방대 청강생으로 강제로 보내진다거나 중장임에도 소장 보직인 육군사관학교 교장으로 좌천되었다. 1960년 3.15 선거를 앞두고는 미국 유학을 강요받았으나 4.19로 이승만 정권이 하야하면서 취소된다. 이때 육참총장 등 주요 요직의 물망에 올랐으나 자신은 야전군 사령관이 성향에 맞으며 육참총장을 한다면 주요 보직을 모두 역임하고 순차적으로 오르겠다며 거절하였다. 1공 말엽부터 박정희가 나폴레옹처럼 정권을 뒤엎어야 한다는 위험 발언을 계속하자 이를 경계하여 그와 거리를 뒀으며 박정희가 그를 포섭하기 위해 수차례 접촉했지만 모두 거절했다. 하지만 굳이 신고도 하지 않았는데 방첩기관이 알아서 할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대한민국 육군 제1야전군사령관으로 재직 중이던 1961년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자 군의 정치 개입을 반대하여 박정희 등의 군사정변 주도 세력과 대치하였다. 그러나 당시 정부수반이던 장면 총리는 어디론가 사라져서 숨었고, 윤보선 대통령은 주한미국대사와 주한미군사령관의 진압명령 요청을 거부하였으며, 육군참모총장 장도영은 표리부동한 모습을 보이다가 계엄사령관 자리에 앉았다. 1군사령관이었던 이한림은 진압할 충분한 힘도 가졌고 의지도 있었지만, 명령권자들인 장도영/장면/윤보선의 지시가 없었던 것을 떠나 그들의 행동을 보면서 그들이 집권할 자격이 없다고 크게 실망하게 되었고, 설령 자신이 박정희를 군사를 동원해 몰아낸다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자신이 수반이 되는 또 다른 군사정권으로 대체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이에 박정희에게 전화해서 쿠데타를 묵인하겠다고 선언하였으나 결국 5월 18일 쿠데타군 측에 의하여 서울로 압송되어 감금되었다. 이때 이한림의 기를 꺾기 위해 그 자리에서 총살한다는 쑈까지 하였으나 이한림이 덕수궁에서 시청까지 들릴 정도로 쩌렁쩌렁 고함을 치면서 어서 쏘라고 호통을 치자 쏴버리겠다던 장교가 사색이 되어서 사과했다고. 모진 고생 끝에 1961년 8월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고 미국으로 추방되어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에서 공부했다.
미국 유학 도중 주미대사 정일권의 간청에 가까운 권유로 샌프란시스코에서 박정희와 재회했다. 이한림은 침착하려 했으나 박정희가 어색하게 웃으면서 악수를 청하자 그간 당한 고생에 분노가 터져서 자기도 모르게 "야 이 새끼야, 나를 이 꼴로 만들어 놓으니까 아주 좋지?"라고 버럭 욕설을 퍼부어서 자리가 굉장히 어색해졌다고 한다. 이때까지만 해도 자신의 동기인 박정희가 한국의 새 지도자라는 것에 대한 실감이 없던 것도 있었다. 어쨌거나 박정희는 화해 제스처로 그의 공민권 정지를 해제시켜주었고, 귀국하였다. 처음엔 정권의 포섭 제안을 거절하고 개인 사업을 하려 했으나 박정희의 강권으로 수산개발공사 사장을 맡은 것으로 시작으로 여러 공직을 맡다가 1969년 건설부장관에 임명되었다. 1971년까지 재임하면서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경부고속도로 건설 사업을 지휘했다. 박정희와의 앙금은 완전히 풀어진 것은 아니었고 귀국 후 감시를 당하자 박정희를 찾아가서 강하게 항의한 적이 있는데, 이후 감시가 정말로 해제되는 것을 보고 분이 좀 풀어졌다고 한다.
이후 1974년부터 터키 주재 대사, 1977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 주재 대사를 지냈다. 10.26 소식을 듣고 즉시 사표를 내서 1980년 7월 윤하정 대사에게 이임하고 귀국했다.
2012년 4월 29일 사망하였다. 향년 91세.[4]
3. 여담
- 만주군에 복무하여 친일 행적이 있으나, 국군에 있을 때 군기 확립에 힘썼고 청렴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대개 조선인들의 일본군, 혹은 만주군 입교 동기는 박정희나 이형근처럼 자신도 군복 입고 일본인들에게 명령해보고 싶다는 야심이었는데, 이한림은 자신의 '개성' 때문에 만주군에 입교했다고 회고록에서 쓰고 있다. 하지만 만주군 및 육사 시절에 대해선 크게 말을 아끼고 있어서 자세한 내막은 불분명하다.
- 별명이 호랑이였다고 한다.[5]
- 자서전 '세기의 격랑'에 그의 생애가 자세히 나와있다.
- 드라마 영웅시대에서는 세기건설(현대건설)이 당재터널을 제대로 마무리 못해서 경부고속도로 건설에 차질을 빚게 하고 있다고 괴롭히는 악역에 가까운 캐릭터로 나왔다. 심지어 고속도로 공사 이후에는 소양강댐의 공법도 트집 잡으며 공사에 지장을 주고, 주인공들에게 매우 무례하고 오만하게 대하는 악역으로 묘사된다. 해당 항목 참조.
4.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835B38; border-right: 10px solid #835B38;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bgcolor=#ffffff,#1f2024> |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4>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835B38; border-right: 10px solid #835B38;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 직위 | 명단 | ||
경제기획원장관 | <colbgcolor=#ffffff,#1f2024><colcolor=#835B38> 김유택 → 장기영 → 박충훈 → 김학렬 → 태완선 | |||
국토통일원장관 | 신태환 → 김영선 | |||
외무부장관 | 정일권 → 이동원 → 정일권 → 최규하 → 김용식 | |||
내무부장관 | 엄민영 → 양찬우 → 엄민영 → 이호 → 박경원 → 오치성 → 김현옥 | |||
재무부장관 | 박동규 → 이정환 → 홍승희 → 서봉균 → 김정렴 → 김학렬 → 서봉균 → 황종률 → 남덕우 | |||
법무부장관 | 민복기 → 권오병 → 이호 → 배영호 → 신직수 | |||
국방부장관 | 김성은 → 최영희 → 임충식 → 정래혁 → 유재흥 | |||
문교부장관 | 고광만 → 윤천주 → 권오병 → 문홍주 → 권오병 → 홍종철 → 민관식 | |||
농림부장관 | 원용석 → 차균희 → 박동묘 → 김영준 → 이계순 → 조시형 → 김보현 | |||
상공부장관 | 이병호 → 박충훈 → 김정렴 → 이낙선 | |||
건설부장관 | 정낙은 → 전예용 → 김윤기 → 주원 → 이한림 → 태완선 → 장예준 | |||
보건사회부장관 | 박주병 → 오원선 → 정희섭 → 김태동 → 이경호 | |||
교통부장관 | 김윤기 → 안경모 → 박경원 → 강서룡 → 백선엽 → 장성환 → 김신 | |||
체신부장관 | 홍헌표 → 김홍식 → 김병삼 → 박경원 → 황종률 → 김태동 → 김보현 → 신상철 | |||
공보부장관 → 문화공보부장관 | 김동성 → 이수영 → 홍종철 홍종철 → 신범식 → 윤주영 | |||
총무처장관 | 이석제 → 서일교 | |||
과학기술처장관 | 김기형 → 최형섭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