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08:41:22

이한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야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이한림(2006)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흥부장관 (1955~1961)
<nopad> 이승만 정부
초대
유완창
제2대
김현철
제3대
송인상
제4대
신현확
<nopad> 허정 내각 <nopad> 장면 내각
제5대
전예용
제6대
주요한
제7대
김우평
제8대
태완선
<nopad> 장면 내각 <nopad> 장도영 내각
제9대
주요한
제10대
박기석
제11대
신태환
건설부장관 (1962~1994)
<nopad> 박정희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박임항
제2대
조성근
제3대
정낙은
제4대
전예용
<nopad> 박정희 정부
제5대
김윤기
제6대
주원
제7대
이한림
제8대
태완선
<nopad> 박정희 정부
제9대
장예준
제10대
이낙선
제11대
김재규
제12대
신형식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13대
고재일
제14대
최종완
제15대
김주남
제16대
김종호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17대
김성배
제18대
이규효
제19대
최동섭
제20대
박승
<nopad> 노태우 정부
제21대
권영각
제22대
이상희
제23대
이진설
제24대
서영택
<nopad> 문민정부 1994년 교통부와 통합
제25대
허재영
제26대
고병우
제27대
김우석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한국관광공사 심볼.svg한국관광공사
역대 사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제관광공사 사장 (1962~1982)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초대
신두영
2대
이원우
3대
오재경
4대
김일환
5대
장성환
6대
안동준
7대
이한림
8대
김좌겸
9대
황인성
10대
하대돈
한국관광공사 사장 (1982~현재)
11대
이계익
12대
조영길
13대
지연태
14대
김태연
15대
이경문
16대
홍두표
17대
이득렬
18대
조홍규
19대
유건
20대
김종민
21대
오지철
22대
이참
23대
변추석
24대
정창수
25대
안영배
26대
김장실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초대
백선엽
2대
송요찬
3대
유재흥
4대
김종오
5대
이한림
6대
박임항
7대
민기식
8대
장창국
9대
김계원
10대
서종철
11대
한신
12대
최세인
13대
이소동
14대
정승화
15대
김학원
16대
윤성민
17대
김윤호
18대
소준열
19대
정진권
20대
안필준
21대
정호근
22대
이진삼
23대
이문석
24대
조남풍
25대
이준
26대
오영우
27대
이재관
28대
김석재
29대
김판규
30대
김종환
31대
정수성
32대
김병관
33대
김태영
34대
김근태
35대
정승조
36대
박정이
37대
박성규
38대
신현돈
39대
장준규
40대
김영식
41대
박종진
지상작전사령부 통합 이전
※ 명칭 변천: 제1군사령관(초대~37대) ▸ 제1야전군사령관(37대~41대)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이형근
2대
원용덕
3대
정일권
4대
송호성
5대
김백일
6대
최덕신
7대
김홍일
8대
이준식
9대
안춘생
10대
김종오
11대
박병권
12대
장창국
13대
백남권
14대
이한림
15대
강영훈
16대
김용배
17대
박중윤
18대
정래혁
19대
이세호
20대
김희덕
21대
심흥선
22대
최세인
23대
최우근
24대
정승화
25대
백석주
26대
차규헌
27대
김복동
28대
최연식
29대
황인수
30대
지일환
31대
최문규
32대
장준익
33대
민병돈
34대
이필섭
35대
임인조
36대
김정헌
37대
장성
38대
김정남
39대
장창규
40대
한승의
41대
오남영
42대
박준근
43대
김충배
44대
김선홍
45대
임충빈
46대
김현석
47대
정승조
48대
이봉원
49대
박종선
50대
박남수
51대
고성균
52대
양종수
53대
최병로
54대
김완태
55대
정진경
56대
김정수
57대
강창구
58대
전성대
59대
권영호
60대
정형균
61대
소형기
※ 초대~13대, 17대, 19대, 51대, 58대, 60대, 61대: 대령, 준장, 소장 / 14대~59대: 중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ea2>
파일:제6군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4ea2>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이한림
2대
백인엽
3대
강영훈
4대
김웅수
5대
최홍희
6대
김계원
7대
정래혁
8대
한신
9대
김희덕
10대
이세호
11대
박원근
12대
이소동
13대
김용휴
14대
이재전
15대
신현수
16대
강영식
17대
김홍한
18대
안필준
19대
박명철
20대
나병선
21대
임인조
22대
김재창
23대
최경근
24대
이재관
25대
서경석
26대
김판규
27대
서종표
28대
김충배
29대
류우식
30대
송기석
31대
정두근
32대
이홍기
33대
서길원
34대
김학주
35대
이범수
36대
박종진
37대
김성진
38대
김성일
39대
박양동
40대
강건작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8b623e><tablebgcolor=#8b623e>
파일:KIMUSA_LOGO.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8b623e><tablebgcolor=#8b623e>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Lieutenant General_white.png
특무부대장
초대 2대 3대 4대 5대
김형일 백인엽 이한림 김종면 김창룡
6대 7대 8대 9대
정인택 김재현 하갑청 이소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방첩부대장
10대 11대 12대
박창록 이철희 김재춘
13대 14대 15대
정승화 박영석 윤필용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보안사령관
16대 17대 18대 19대
김재규 강창성 김종환 진종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군보안사령관
19대 20대 21대 22대 23대
진종채 전두환 노태우 박준병 안필준
24대 25대 26대 27대
이종구 고명승 최평욱 조남풍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군기무사령관
28대 29대 30대 31대 32대
구창회 서완수 김도윤 임재문 이남신
33대 34대 35대 36대 37대
김필수 문두식 송영근 김영환 허평환
38대 39대 40대 41대 42대
김종태 배득식 장경욱 이재수 조현천
43대 44대 군사안보지원사령관국군방첩사령관
이석구 남영신 }}}

}}}}}}

<colbgcolor=#1d2088><colcolor=#fff>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1d2088>
파일:제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d2088>
대한민국 육군
제9보병사단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제1대
장도영
제2대
김종오
제3대
오덕준
제4대
김종갑
제5대
이성가
제6대
최석
제7대
박병권
제8대
김종오
제9대
김점곤
제10대
이한림
제11대
백인엽
제12대
강태민
제13대
심흥선
제14대
이희권
제15대
박영준
제16대
한웅진
제17대
신원식
제18대
이소동
제19대
박현식
제20대
류창훈
제21대
정규환
제22대
조천성
제23대
김영선
제24대
신정수
제25대
이광노
제26대
노태우
제27대
백운택
제28대
정진태
제29대
고명승
제30대
이필섭
제31대
김재창
제32대
안병호
제33대
이규환
제34대
전관
제35대
변호인
제36대
임종천
제37대
이상태
제38대
신현배
제39대
이영계
제40대
정인구
제41대
이종철
제42대
김춘수
제43대
한동주
제44대
정태희
제45대
김용우
제46대
강천수
제47대
황대일
제48대
안병석
제49대
김동호
제50대
김진철
제51대
정광웅
제52대
박진원
제53대
-
제54대
-
제55대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대한민국 제7대 건설부장관
이한림
李翰林 | Lee Han-lim
파일:이한림 장군.png
출생 1921년 2월 10일
함경남도 안변군
사망 2012년 4월 29일 (향년 91세)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장군2묘역 207호
본관 평창 이씨[1]
재임기간 제3대 특무부대장
1951년 1월 13일 ~ 1951년 4월 6일
제7대 건설부장관
1969년 2월 17일 ~ 1971년 6월 4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부모 아버지 이흥한
배우자 송순옥
자녀 아들 이승훈, 이재훈
딸 이은정, 이은주, 이은경
학력 펑톈제1중학교 (졸업)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석사)
종교 천주교 (세례명: 가브리엘)
경력 제7대 건설부장관
주 터키 대사
주오스트레일리아대사
신민주공화당 당무위원
자유민주연합 전임고문
군사 경력
임관 신경군관학교 (2기)
일본육군사관학교 (57기)
군사영어학교 (1기)
복무 만주국 육군
1941년 ~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 육군
1946년 2월 26일 ~ 1961년 8월 24일
최종 계급 중위 (만주국 육군)
중장 (대한민국 육군)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
1. 개요2. 생애3. 여담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군인, 관료.

2. 생애

1921년 함경남도 안변군에서 태어났다. 만주 신경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유학한 뒤 만주군 장교로 복무했다.[2]신경군관학교에서는 수석졸업 박정희 차석 이한림이었고, 일본육사 졸업시에는 이한림 수석 졸업, 박정희 3등이었다.[3] 일본 육사 유학시절만 해도 두사람은 단짝친구였고 1944년 일본육사를 졸업하면서 각기 임지로 가는 바람에 해방 때까지 재회하지 못했으나 해방된 후에도 한동안은 잘 지냈고 이한림도 회고록에서 박정희를 피를 나눈 형제보다 가까웠다고 적고 있다.

8.15 광복 후 귀국하여 1945년 12월 군사영어학교 1기생으로 입교, 1946년 2월 대한민국 육군 소위임관하였다. 이후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교관으로 배치되면서 박정희와 재회했는데, 박정희가 이현란과 소개팅을 할 때도 이한림이 따라갔을 정도. 하지만 이한림은 독실한 천주교 신자인데 반해서 박정희는 무신론에 가까운 입장이었고, 기독교가 대체 조국의 부흥에 뭐를 해줄 수 있냐는 냉소적인 입장이라 충돌했으며, 박상희의 죽음 이후 한동안 박정희가 좌익성향을 보이면서 정치적으로는 틀어지게 된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틀어지는 것은 나중의 일이다.

이승만 정권 시기 1956년 대선에서 자유당에 대한 협조를 거부하면서 야당성향 장군으로 찍혀 박해를 받았으며 국방대 청강생으로 강제로 보내진다거나 중장임에도 소장 보직인 육군사관학교 교장으로 좌천되었다. 1960년 3.15 선거를 앞두고는 미국 유학을 강요받았으나 4.19로 이승만 정권이 하야하면서 취소된다. 이때 육참총장 등 주요 요직의 물망에 올랐으나 자신은 야전군 사령관이 성향에 맞으며 육참총장을 한다면 주요 보직을 모두 역임하고 순차적으로 오르겠다며 거절하였다. 1공 말엽부터 박정희가 나폴레옹처럼 정권을 뒤엎어야 한다는 위험 발언을 계속하자 이를 경계하여 그와 거리를 뒀으며 박정희가 그를 포섭하기 위해 수차례 접촉했지만 모두 거절했다. 하지만 굳이 신고도 하지 않았는데 방첩기관이 알아서 할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대한민국 육군 제1야전군사령관으로 재직 중이던 1961년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자 군의 정치 개입을 반대하여 박정희 등의 군사정변 주도 세력과 대치하였다. 그러나 당시 정부수반이던 장면 총리는 어디론가 사라져서 숨었고, 윤보선 대통령은 주한미국대사와 주한미군사령관의 진압명령 요청을 거부하였으며, 육군참모총장 장도영은 표리부동한 모습을 보이다가 계엄사령관 자리에 앉았다. 1군사령관이었던 이한림은 진압할 충분한 힘도 가졌고 의지도 있었지만, 명령권자들인 장도영/장면/윤보선의 지시가 없었던 것을 떠나 그들의 행동을 보면서 그들이 집권할 자격이 없다고 크게 실망하게 되었고, 설령 자신이 박정희를 군사를 동원해 몰아낸다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자신이 수반이 되는 또 다른 군사정권으로 대체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이에 박정희에게 전화해서 쿠데타를 묵인하겠다고 선언하였으나 결국 5월 18일 쿠데타군 측에 의하여 서울로 압송되어 감금되었다. 이때 이한림의 기를 꺾기 위해 그 자리에서 총살한다는 쑈까지 하였으나 이한림이 덕수궁에서 시청까지 들릴 정도로 쩌렁쩌렁 고함을 치면서 어서 쏘라고 호통을 치자 쏴버리겠다던 장교가 사색이 되어서 사과했다고. 모진 고생 끝에 1961년 8월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고 미국으로 추방되어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에서 공부했다.

미국 유학 도중 주미대사 정일권의 간청에 가까운 권유로 샌프란시스코에서 박정희와 재회했다. 이한림은 침착하려 했으나 박정희가 어색하게 웃으면서 악수를 청하자 그간 당한 고생에 분노가 터져서 자기도 모르게 "야 이 새끼야, 나를 이 꼴로 만들어 놓으니까 아주 좋지?"라고 버럭 욕설을 퍼부어서 자리가 굉장히 어색해졌다고 한다. 이때까지만 해도 자신의 동기인 박정희가 한국의 새 지도자라는 것에 대한 실감이 없던 것도 있었다. 어쨌거나 박정희는 화해 제스처로 그의 공민권 정지를 해제시켜주었고, 귀국하였다. 처음엔 정권의 포섭 제안을 거절하고 개인 사업을 하려 했으나 박정희의 강권으로 수산개발공사 사장을 맡은 것으로 시작으로 여러 공직을 맡다가 1969년 건설부장관에 임명되었다. 1971년까지 재임하면서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경부고속도로 건설 사업을 지휘했다. 박정희와의 앙금은 완전히 풀어진 것은 아니었고 귀국 후 감시를 당하자 박정희를 찾아가서 강하게 항의한 적이 있는데, 이후 감시가 정말로 해제되는 것을 보고 분이 좀 풀어졌다고 한다.

이후 1974년부터 터키 주재 대사, 1977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 주재 대사를 지냈다. 10.26 소식을 듣고 즉시 사표를 내서 1980년 7월 윤하정 대사에게 이임하고 귀국했다.

2012년 4월 29일 사망하였다. 향년 91세.[4]

3. 여담

4.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835B38; border-right: 10px solid #835B38;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bgcolor=#ffffff,#1f2024>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4>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835B38; border-right: 10px solid #835B38;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직위 명단
경제기획원장관 <colbgcolor=#ffffff,#1f2024><colcolor=#835B38> 김유택장기영박충훈김학렬태완선
국토통일원장관 신태환김영선
외무부장관 정일권이동원정일권최규하김용식
내무부장관 엄민영양찬우엄민영이호박경원오치성김현옥
재무부장관 박동규이정환홍승희서봉균김정렴김학렬서봉균황종률남덕우
법무부장관 민복기권오병이호배영호신직수
국방부장관 김성은최영희임충식정래혁유재흥
문교부장관 고광만윤천주권오병문홍주권오병홍종철민관식
농림부장관 원용석차균희박동묘김영준이계순조시형김보현
상공부장관 이병호박충훈김정렴이낙선
건설부장관 정낙은전예용김윤기주원이한림태완선장예준
보건사회부장관 박주병오원선정희섭김태동이경호
교통부장관 김윤기안경모박경원강서룡백선엽장성환김신
체신부장관 홍헌표김홍식김병삼박경원황종률김태동김보현신상철
공보부장관
문화공보부장관
김동성이수영홍종철
홍종철신범식윤주영
총무처장관 이석제서일교
과학기술처장관 김기형최형섭 }}}}}}
}}}}}}}}}




[1] #.[2] 박정희 전 대통령과는 신경군관학교와 일본육군사관학교 동기이다.[3] 단 일본육사 시절은 만주에서 온, 그것도 만주계 70명의 유학생들만 따로 성적을 매겼다.[4] 약 4개월 뒤에 5.16 군사정변 당시 육군참모총장이었던 장도영 역시 향년 8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5] 한신도 별명이 호랑이였고, 둘 다 6.25 전쟁의 영웅들이라는 공통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