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무임소장관 (1948~1975)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지청천 이윤영 | 제2대 윤영선 이윤영 | 제3대 이윤영 허정 | |
<nopad> 이승만 정부 | |||
제4대 이윤영 | 제5대 박현숙 | 제6대 손도심 임영신 | |
<nopad> 장면 내각 | |||
제7대 김선태 | 제8대 김선태 신현돈 | 제9대 오위영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0대 조시형 (정무) 김재춘 (경제) 박원빈 (경제) | 제11대 김홍식 (정무) 김용식 (경제) | 제12대 윤주영 (정무) 원용석 (경제)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3대 윤주영 (정무) 원용석 (경제) | 제14대 김윤기 (정무) 원용석 (경제) | 제15대 김원태 (정무) 황종률 (경제)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6대 김원태 (정무) 김윤기 (경제) | 제17대 길재호 (정무) 이병옥 (경제) | 제18대 오치성 (정무) 이병옥 (경제)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1975년 제1무임소장관과 제2무임소장관으로 분리 개편 | ||
제19대 이병희 (정무) 이병옥 (경제) | 제20대 이병희 (정무) 구태회 (경제) | }}}}}}}}} |
김홍식 관련 틀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11대 무임소장관 김홍식 金弘植 | Kim Hong-sik | |||
출생 | 1909년 3월 1일 | ||
충청남도 아산군 | |||
사망 | 1974년 2월 21일 (향년 64세) |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 |||
본관 | 김해 김씨 | ||
재임기간 | 제7대 충청남도지사 | ||
1960년 5월 2일 ~ 1960년 10월 7일 | |||
초대 법제처 차장 | |||
1961년 12월 15일 ~ 1963년 1월 9일 | |||
제11대 무임소장관 | |||
1963년 12월 17일 ~ 1964년 7월 22일 | |||
제17대 체신부장관 | |||
1964년 7월 22일 ~ 1965년 5월 15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학력 | 경성법학전문학교 (졸업) | |
경력 | 조선변호사시험 합격 고등문관시험 사법과·행정과 합격 평안남도 양덕군수 경기도 부천군수 경기도 광공국장 사법위원 제7대 충청남도지사 초대 법제처 차장 민주공화당 서울시 사무국장 제11대 무임소장관 제17대 체신부장관 서울신문 이사 민주공화당 중앙위원 | }}}}}}}}} |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 법조인, 친일반민족행위자. 본관은 김해이다.2. 생애
1906년 충청남도 아산군에서 태어났다. 경성법학전문학교(이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를 졸업하였다.이후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와 행정과 양과에 합격했다. 조선총독부 관리로 근무하여 평안남도 양덕군수, 경기도 부천군수 등을 지냈다.
8.15 광복 후에는 미군정에서 경기도 광공부장으로 활동하다가 변호사 개업을 하고 법조인으로 활동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후보로 충청남도 아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홍순철 후보에게 밀려서 낙선하였다.
이후 충청남도지사, 법제처 차장, 무임소장관, 체신부장관, 서울신문 이사, 민주공화당 중앙위원 등을 역임했다.
2008년에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관료 부문에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