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내무부장관 (1948~1998)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윤치영 | 제2대 신성모 | 제3대 김효석 | 제4대 백성욱 | 제5대 조병옥 | ||
<nopad> 이승만 정부 | ||||||
제6대 이순용 | 제7대 장석윤 | 제8대 이범석 | 제9대 김태선 | 제10대 진헌식 | ||
<nopad> 이승만 정부 | ||||||
제11대 백한성 | 제12대 김형근 | 제13대 이익흥 | 제14대 장경근 | 제15대 이근직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
제16대 민병기 | 제17대 김일환 | 제18대 최인규 | 제19대 홍진기 | 제20대 이호 | ||
<nopad> 장면 내각 | ||||||
제21대 홍익표 | 제22대 이상철 | 제23대 현석호 | 제24대 신현돈 | 제25대 조재천 |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26대 한신 | 제27대 박경원 | 제28대 엄민영 | 제29대 양찬우 | 제30대 엄민영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31대 이호 | 제32대 박경원 | 제33대 오치성 | 제34대 김현옥 | 제35대 홍성철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36대 박경원 | 제37대 김치열 | 제38대 구자춘 | 제39대 김종환 | 제40대 서정화 |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41대 노태우 | 제42대 주영복 | 제43대 정석모 | 제44대 김종호 | 제45대 정호용 | ||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46대 고건 | 제47대 정관용 | 제48·49대 이상희 | 제50대 이춘구 | |||
노태우 정부 | ||||||
제51대 이한동 | 제52대 김태호 | 제53대 안응모 | 제54대 이상연 | 제55대 이동호 | ||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56대 백광현 | 제57대 이해구 | 제58대 최형우 | 제59대 김용태 | 제60대 김우석 | ||
<nopad> 문민정부 | 1998년 총무처와 정무장관(제1실)과 통합 | |||||
제61대 서정화 | 제62대 강운태 | 제63대 조해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자치부장관 (1998~2008) | ||
<nopad> 국민의 정부 | ||||||
초대 김정길 | 제2대 김기재 | 제3대 최인기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4대 이근식 | 제5대 김두관 | 제6대 허성관 | ||||
<nopad> 참여정부 | ||||||
제7대 오영교 | 제8대 이용섭 | 제9대 박명재 | ||||
행정안전부장관 (2008~2013) | ||||||
<nopad> 이명박 정부 | ||||||
초대 원세훈 | 제2대 이달곤 | 제3대 맹형규 | ||||
안전행정부장관 (2013~2014) | ||||||
<nopad> 박근혜 정부 | ||||||
초대 유정복 | 제2대 강병규 | 제3대 정종섭 | ||||
행정자치부장관 (2014~2017)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정종섭 | 제2대 홍윤식 | 제3대 김부겸 | ||||
행정안전부장관 (2017~현재) |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김부겸 | 제2대 진영 | 제3대 전해철 |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4대 이상민 | ||||||
임시정부 내무부장 | }}}}}}}}}}}} |
역임한 직위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6대 내무부장관 이순용 李淳鎔 | Allen C. Wylie | |||
출생 | 1897년 12월 8일 | ||
한성부 북서 가화방 재동계 재동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동) | |||
사망 | 1988년 10월 9일 (향년 90세)[1] | ||
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 성심병원 | |||
본관 | 전주 이씨[2] | ||
재임기간 | 제6대 내무부장관 | ||
1951년 5월 14일 ~ 1952년 1월 12일 | |||
제3대 체신부장관 | |||
1952년 1월 12일 ~ 1952년 3월 20일 | |||
제4대 외자구매처장 | |||
1953년 5월 28일 ~ 1953년 11월 24일 | |||
제4대 임시외자구매청장[3] | |||
1953년 5월 28일 ~ 1955년 2월 16일 | |||
초대 외자청장 | |||
1955년 2월 17일 ~ 1956년 1월 4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부모 | 아버지 이재곤 | |
형제자매 | 형 이원용, 이윤용, 이연용, 이관용 남동생 이운용, 이면용 누이 1명[4] | ||
배우자 | 여흥 민씨 (사별) 밀양 박씨 (사별) | ||
자녀 | 슬하 2남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휘문의숙 (졸업) 경성고등보통학교 (졸업) 경성공업전문학교 (응용화학과 / 졸업) | ||
약력 | 연희전문학교 강사 중앙공우회 발기인회 간사 미국 육군 하사 OSS 요원 레밍턴 대표 체신부 국제통신전화국 촉탁 내무부장관 체신부장관 대한해운공사 사장 외자구매처장 임시외자관리청장 외자청장 대한올림픽위원회 개인위원 국민종합경기장 건설위원회 위원장 서울컨트리클럽 이사장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관료, 정치인. 정미칠적 중 한 명인 이재곤의 5남으로 아버지는 악명 높은 친일반민족행위자인데 아들은 독립운동가이다. 이순용의 바로 윗형 이관용도 독립운동을 했다.[5][6]이순용의 집안은 조선 14대 왕 선조의 9남 경창군의 종가이다. 왕실 직계와는 300년 전에 갈라져 사실상 남이나 다를 게 없었다. 그러나 이순용의 큰아버지이자 이재곤의 형 완순군 이재완이 흥선대원군의 형 흥완군의 양자가 되면서 완순군의 생가인 그의 집안 역시 가까운 왕실의 일원으로 대접받았다.
2. 생애
한성부 재동[7]에서 태어났다. 1913년에 휘문의숙을, 1918년에 경성공업전문학교 응용화학과를 졸업했고 동일은행과 연희전문학교 강사로 일했다.3.1 운동 이후 독립운동을 하다 일본 경찰에 쫓겨 상하이로 망명했고, 1922년 4월에 월남 이상재의 추천장을 받고 미국으로 건너가 이승만의 집에 머물며 그의 측근으로 활동했다. 이후 오렌지 농장에서 일하는 등 많은 고생을 했다.
미국 시민권을 얻고 UCLA에서 수학했다. 1942년 미국 정보조정국 COI[8]에서 중국을 통해 일본에 침투하려는 특수첩보작전에 투입할 대원을 모집하자 이승만의 추천으로 미국 육군 하사로 입대했다.# 이후 매릴랜드에 있는 샹그리라[9]에서 정운수, 장기현, 이문상, 현승엽, 조종익 등 11명과 함께 비밀 군사 훈련을 받았다. 그러나 그해 6월에 작전이 중단되었고, 한 달 뒤 COI가 OSS[10]로 바뀌었다. 이순용은 OSS 요원 자격으로 인도로 가서 활동했다.
1944년 5월에 중국 쿤밍에 있는 미국 전략첩보대 본부로 전출갔다. 이후 미 공군 정운수 소위와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광복군 연락장교 김우전 대위 등과 함께 OSS 본부 한국분야 담당부서에 들어가 한글 암호표를 만들기 위한 무전훈련반 교재 제작에 참여하는 등# 한국 광복군의 국내진공작전을 준비했다. 그러나 작전 개시 전에 일본이 항복함으로써 작전을 실행하지는 못했다.
1945년 8.15 광복 후 그해 10월에 귀국하여 미국 육군 중사 신분으로 CIC(미군 방첩대)에서 국무부 촉탁으로 일하며 백의사와 CIC를 연결하는 역할을 했으며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도 기여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미군정이 해체되면서 다시 미국으로 건너갔다.#
1949년 12월 말에 타이프라이터를 만드는 회사 레밍턴 대표로 귀국하여 체신부 국제통신전화국 촉탁으로 일했다. 1951년 5월 7일에 내무부 장관으로 임명받았으나 미국 국적 문제 때문에 국회에서 논란이 일었다. 임용 직후 바로 미국 시민권을 포기했지만 6개월 후 국회에서 내무부 장관 불신임 결의안이 통과되었고 이듬해 1월 12일에 내무부 장관 직에서 물러났다. 경질 3일 뒤 체신부 장관으로 임명받아 2달 간 재임했다.#
1952년 5월에는 대한해운공사 사장 직을 맡았고, 다음해 5월에는 대통령 직속 외자구매처 처장 직과 임시외자관리청장 직을 동시에 역임했다. 1955년 2월에 두 기관이 외자청으로 합쳐지면서 초대 외자청장으로 부임해 이듬해 1월까지 재임했다.#
1957년에는 대한올림픽위원회 개인위원과 국민종합경기장 건설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1960년에 일어난 4.19 혁명 이후 미국으로 건너갔다.#
1988년 10월 9일에 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 성심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0세. 묘는 경기도 김포군 하성면 가금리에 있다.부고 기사[11]
3. 여담
- 외자구매처 처장 시절인 1953년 11월에 서울 컨트리 클럽을 만들고 골프장을 지었다. 이는 한국인이 처음 지은 최초의 한국 골프장이었다. 서울 컨트리 클럽 창설의 공로를 인정받아 골프계에서는 1984년 10월부터 ‘이순용 배 골프대회’를 만들어 매년 대회를 열고 있다.
- 8.15 광복 이후 이승만과 대한제국 황실 간 매개체 역할을 했다고 한다. 위에 썼듯, 이순용은 이승만의 측근이었고, 이순용의 실제 큰아버지 완순군 이재완이 흥선대원군의 형 흥완군의 양자였기 때문.
- 1954년 11월에 이정재가 이기붕을 차기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해서 방해가 되는 인물들, 이를테면 야당 인사들 및 기타 조직의 방해자들 40여 명을 이른바 ‘제3세력’이란 이름으로 묶어 동시 다발적 암살 기도를 획책한 것이 5.16 이후 혁명재판에서 밝혀졌다.[12] 이 때 이순용도 암살 대상자 명단에 있었다. 하마터면 큰일날 뻔 했던 것.
- 1961년에 이승만이 새 양자를 구할 때 많은 도움을 주었다.[13] 이승만의 부탁으로 전주 이씨 양녕대군파 문중에 양자를 천거해달라는 말을 전해주었고, 이승만 부부가 원하는 조건[14]에 부합한, 당시 고려대학교 대학원에 재학 중이던 이인수를 만나 설득하기도 했다. 이순용의 설득 끝에 이인수는 이승만의 양자로 입적했다.
- 송좌빈의 처숙부이다.
4. 가족과 후손
슬하에 아들 둘 이해성(李海誠)과 이해정(李海正)을 두었다. 이후 손자에 증손자로 지금까지 계속 이어져서 이재곤의 아들들 중 후손이 가장 번성하다.5.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254170; border-right: 10px solid #254170;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f2024><tablebgcolor=#fff,#1f2024> |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4>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254170; border-right: 10px solid #25417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 직위 | 명단 | ||
외무부장관 | <colbgcolor=#fff,#1f2024><colcolor=#254170> 장택상 → 임병직 → 변영태 → 조정환 → 허 정 | |||
내무부장관 | 윤치영 → 신성모 → 김효석 → 백성욱 → 조병옥 → 이순용 → 장석윤 → 이범석 → 김태선 → 진헌식 → 황호현 → 백한성 → 김형근 → 이익흥 → 장경근 → 이근직 → 민병기 → 김일환 → 최인규 → 홍진기 → 이호 | |||
재무부장관 | 김도연 → 최순주 → 백두진 → 박희현 → 이중재 → 김현철 → 인태식 → 김현철 → 송인상 → 윤호병 | |||
법무부장관 | 이 인 → 권승렬 → 이우익 → 김준연 → 조진만 → 서상환 → 조용순 → 이 호 → 홍진기 → 권승렬 | |||
국방부장관 | 이범석 → 신성모 → 이기붕 → 신태영 → 손원일 → 김용우 → 김정렬 → 이종찬 | |||
문교부장관 | 안호상 → 백낙준 → 김법린 → 이선근 → 최규남 → 최재유 → 이병도 | |||
부흥부장관 | 유완창 → 김현철 → 송인상 → 신현확 → 전예용 | |||
농림부장관 | 조봉암 → 이종현 → 윤영선 → 공진항 → 임문환 → 함인섭 → 신중목 → 정재설(서리) → 양성봉 → 윤건중 → 최규옥 → 임철호 → 정낙훈 → 정운갑 → 정재설 → 이근직 → 이해익 | |||
상공부장관 | 임영신 → 윤보선 → 김 훈 → 이교선 → 이재형 → 안동혁 → 박희현 → 강성태 → 김일환 → 구용서 → 김영찬 → 전택보 → 오정수 | |||
사회부장관 / 보건부장관 → 보건사회부장관 | 전진한 → 이윤영 → 허 정 → 최창순 → 박술음 / 구영숙 → 오한영 → 최재유 → 최재유 → 정준모 → 손창환 → 김성진 | |||
교통부장관 | 민희식 → 허 정 → 김석관 → 윤성순 → 이종림 → 문봉제 → 최인규 → 김일환 → 석상옥 | |||
체신부장관 | 윤석구 → 장기영 → 이순용 → 조주영 → 강인택 → 이 광 → 이응준 → 곽의영 → 오정수 → 최용덕 | }}}}}} }}}}}}}}} |
[1] 91세 생일을 두 달 앞두고 사망했다.[2] 경창군파 11대손 ○용(○鎔) 항렬.[3] 외자구매처장과 겸직.[4] 누나인지 여동생인지는 알려져있지 않다.[5] 저런 경우는 생각보다 종종 일어난다. 각 나라의 매국노는 매국행위로 부귀영화를 누리기에 최고급 교육을 해주게 되고 그렇게 좋은 교육을 받고 사회 현실에 눈을 뜬 사람은 식민지 본국과 본래 민족에게도 속하지 못한 자신들의 처지에 대해 고민하면서 마침내는 자국의 독립운동에 뛰어들게 되는 것. 이외에도 이순용의 손자 뻘 친척 이철주(이순용의 혈연 상 큰아버지 완순군 이재완의 증손자), 박제순의 손자 박승유, 민규현의 아들 민태곤, 윤택영의 아들 윤홍섭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들과는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자신 스스로 일본인의 정체성을 갖고 살기 위해 일본인의 양자로 들어갔지만 한글편지 사건으로 인해 독립운동에 뛰어든 이봉창도 덤. 외국의 사례를 보면 (독립 후에 극악무도한 독재를 한 것과는 별개로) 에리트레아의 독립을 주도한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의 아버지는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의 완전한 합병을 추진하는 정당 소속이었던, 한마디로 한국으로 치면 일진회 회원이랑 다를 바 없던 인물이었다. 덤으로 북한의 김성일 사건처럼 독재정권의 고위층 집안의 자제들이 체제의 모순을 실감하며 민주화 운동에 나서는 경우도 있다.[6] 매국노 가족 출신은 아니긴 하나 남베트남의 응오딘지엠이나 카메룬의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인도네시아의 수하르토처럼 식민지배국을 위해 부역했던 사람들이 후에 독립운동가로 전향하는 경우도 있다. 당장 인도국민회의도 시작은 친영 단체였다. 물론 대부분 매국노 자식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부모처럼 반민족행위를 하는 경우가 많다.[7]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동.[8] Coordinator of Information.[9] 현재 캠프 데이비드, 미국 대통령 별장이 있는 곳이다.[10] Office of Strategic Service.[11] 기사 원문에는 별세 당시 나이를 세는나이 92세로 적었다.[12] 드라마 〈야인시대〉에서 김동진(이일재 분)이 이정재(김영호 분)에게 지령을 받았으나 실행하지 않고 언론에 공개한 바로 그 사건이다.[13]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절 이승만의 양자이자 이기붕의 친자였던 이강석은 4.19 혁명 직후 친가족들과 함께 자살했다.[14] 이승만이 양녕대군 16대손이므로 양녕대군 17대손, 이승만의 부인 프란체스카 도너가 외국인인 데다 하와이에 망명 중인 상태이므로 영어에 능통해야 함, 이승만과의 나이 차 때문에 너무 어려서는 안 되며 양부모가 연로한 데다 특히 이승만은 이 무렵 이미 85세를 넘겼고 1962년 부로 중병에 걸린 상태인지라 노인을 모실 수준의 가정교육을 받았어야 함, 양부모가 원하는 사람을 며느리로 꽃기 위해 입양 시점에서 미혼이어야 한다는 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