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81820><tablecolor=#E81820><tablebgcolor=#E8182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81820><tablebgcolor=#E8182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9f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이세호 | 2대 김종환 | 3대 박희동 | 4대 이건영 | 5대 유학성 | |
6대 황영시 | 7대 정호용 | 8대 박희도 | 9대 최세창 | 10대 고명승 | |
11대 신말업 | 12대 구창회 | 13대 윤용남 | 14대 도일규 | 15대 유재열 | |
16대 길형보 | 17대 이남신 | 18대 서종표 | 19대 이상희 | 20대 김관진 | |
21대 백군기 | 22대 이상의 | 23대 김상기 | 24대 이홍기 | 25대 권혁순 | |
26대 김현집 | 27대 엄기학 | 28대 김운용 | →지상작전사령부 통합 이전 | ||
※ 초대~28대: 대장 (4대 제외), 명칭 변천: 제3군사령관(초대~25대) ▸ 제3야전군사령관(25대~28대)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역임한 직위 | ||||||||||||||||||||||||||||||||||||||||||||||||||||||||||||||||||||||||||||||||||||||||||||||||||||||||||||||||||||||||||||||||||||||||||||||||||||||||||||||||||||||||||||||||||||||||||||||||||||||||||||||||||||||||||||||||||||||||||||||||||||||||||||||||||||||||||||||||||||||||||||||||||||||||||||||||||||||||||||||||||||||||||||||||||||||||
|
출생 | 1953년 10월 2일 ([age(1953-10-02)]세) | ||
경상북도 상주시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
1977년 ~ 2012년 | |||
재임기간 | 제24대 제3야전군사령관 | ||
2010년 12월 16일 ~ 2012년 10월 11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학력 | 김천고등학교 (졸업)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33기) | ||
최종 계급 | 대장 | ||
최종 보직 | 제3야전군사령관 | ||
주요 보직 |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제6군단장 대통령실 국방비서관 국방부 정책기획관 제32보병사단장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과장 제7보병사단 제3보병연대장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前 군인. 예비역 대장이며 제3야전군사령관을 역임했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이냐시오이다.2. 생애
1953년 10월 2일, 경북 상주 출신으로 김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3년 육군사관학교 33기로 입교해 1977년에 임관했다.보병 병과에 작전 직능이며 능력 면에서 인정을 받았다. 군 생활 내내 각 계급의 1번 보직, 즉 최고로 꼽히는 요직을 섭렵했다. 합참 합동작전과장[1]은 준장(진)이나 다름 없는 작전 직능 대령의 최고 요직이고, 준장 시절 거친 3군 작전처장도 최요직이다. 사단장을 지역방위사단장을 지냈지만, 소장 2차 보직이 국방부 정책기획관에 3차 보직은 당시 갓 출범한 이명박 정부의 청와대 비서관으로 중장 진급이 당연시되는 자리를 거쳤고, 군단장 이후로 받은 중장 2차 보직도 사실상 대장(진)에 가까워지는 합참 작전본부장이었다. 이처럼 대장 진급이 당연한 커리어를 쌓아올렸고 대장이 되어서도 최요직인 3군사령관이 된다.
2012년 제3야전군사령관 이·취임식에서 이임과 동시에 36년간의 군 생활을 마치고 예편했다. 육사 33기 대장은 3군 사령관인 이홍기 대장과 2작전사령관인 조정환 대장 2명이었는데 결국 조정환 대장이 참모총장에 올랐다. 두 사람은 대조적 경력을 보유하였는데, 조정환 대장은 육본 정보작전참모부 처장과 부장, 육군참모차장을 거친 육군작전통이고, 이홍기 대장은 합참 작전본부 과장과 본부장, 3야전군 작전처장, 국방부 정책기획관과 청와대 비서관 등 합동작전•야전작전•정책기획을 망라하는 경력을 보유한 에이스급 군인으로 커리어 자체는 이홍기 대장이 훨씬 뛰어난 편이다. 대장 보직도 제3야전군사령관과 제2작전사령관은 위상 차이가 크고 이홍기 대장은 1차로, 조정환 대장은 2차로 대장에 올라와 이홍기 대장이 유리했던 상황이었다. 다만 총장직 자체는 대통령 의중이 제일 중요한 것이니 그런 커리어가 크게 영향을 주진 못했다.
2.1. 주요경력
- 육군 제3야전군사령관: 대장- 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본부장: 중장
- 육군 제6군단장: 중장
- 대통령실 외교안보수석실 국방비서관: 소장
- 국방부 정책기획관: 소장
- 육군 제32보병사단장: 소장
- 육군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준장
- 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과장: 대령
- 육군 제7보병사단 제3보병연대장: 대령
3. 여담
- MBC에서 이홍기의 계급인 중장을 중사로 잘못 표기하는 12계급 강등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는 2009년 국군의날 행사에서 이홍기 장군에게 보국훈장 국선장을 이명박 대통령이 수여하는 장면이다.
- 3군 사령관을 끝으로 군을 떠난 이후에는 재경김천향우회장, 한국융합안보연구원 이사장을 지내고 있으며 2021년 1월부터 육군사관학교 총동문회장을 맡고 있다.
- 나이와 기수를 감안하면 재수를 한 것으로 보인다.
[1] 합참 작전본부 수석과장이며 합동작전통으로 능력을 인정받는 육사 대령만 부임한다. 역대 과장 중 장군이 되지 못한 사람이 한 명도 없는 최고 요직이다. 역임자로 정승조(육사 32기-대장 전역), 이홍기(육사 33기-대장 전역), 신현돈(육사 35기-대장 전역), 김종배(육사 36기-중장 전역), 신원식(육사 37기-중장 전역), 김왕경(육사 38기-준장 전역), 장경석(육사 39기-중장 전역), 구홍모(육사 40기-중장 전역), 박철희(육사 41기-준장 전역), 김승겸(육사 42기-대장 전역), 안준석(육사 43기-대장 전역), 김정유(육사 44기-소장 전역), 전동진(육사 45기-대장 전역), 김홍석(육사 46기-소장 전역), 강호필(육사 47기-현직 대장), 이승오(육사 49기-현직 중장), 강현우(육사 50기-현직 소장), 안찬명 (육사 51기-현직 소장), 우석제 (육사 52기-현직 준장), 김홍식 (육사 53기-현직 준장)이 있다.[2] 물론 중령 이상부터는 업무용 차량이 제공되기 때문에 개인차를 타는 일은 그리 많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