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865> | 대한민국 국군 현직 중장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해병대사령관 | |||||||||||||||||||||||
주일석 | ||||||||||||||||||||||||
국군방첩사령관 | ||||||||||||||||||||||||
공석 | ||||||||||||||||||||||||
합동참모차장 | 육군참모차장 | 해군참모차장 | 공군참모차장 | |||||||||||||||||||||
정진팔 | 고현석 | 최성혁 | 박기완 | |||||||||||||||||||||
합동참모본부 | ||||||||||||||||||||||||
작전본부장 | 군사지원본부장 | 전략기획본부장 | 정보본부장 | |||||||||||||||||||||
이승오 | 강동길 | 손정환 | 원천희 | |||||||||||||||||||||
해군작전사령관 | 공군작전사령관 | |||||||||||||||||||||||
황선우 | 김형수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전략사령관 | |||||||||||||||||||||
진영승 | ||||||||||||||||||||||||
국방대학교 총장 | ||||||||||||||||||||||||
임기훈 | ||||||||||||||||||||||||
육군사관학교장 | 해군사관학교장 | 공군사관학교장 | ||||||||||||||||||||||
소형기소장 | 김경률 | 차준선 | ||||||||||||||||||||||
육군교육사령관 | 해군교육사령관 | 공군교육사령관 | ||||||||||||||||||||||
김봉수 | 강정호 | 손석락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육군군수사령관 |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 | 육군특수전사령관 | 수도방위사령관 | |||||||||||||||||
손대권 | 김규하 | 공석 | 공석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
김호복 | 권대원 | 김권소장 | ||||||||||||||||||||||
수도군단장 | 제1군단장 | 제2군단장 | ||||||||||||||||||||||
박정택 | 주성운 | 박후성 | ||||||||||||||||||||||
제3군단장 | 제5군단장 | 제7군단장 | ||||||||||||||||||||||
서진하 | 김성민 | 박재열 | ||||||||||||||||||||||
※ 둘러보기: 대장 | 사단장 | 함대사령관 | 공군기능사령관 | 전단장 | 비행단장 | 주임원사 | }}}}}}}}} |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이승오 Lee Seungoh | |
<colbgcolor=#2A5034> 출생 | 1970년 |
서울특별시 | |
학력 | 서울영희초등학교 (졸업) 덕수중학교 (졸업 / 35회) 경신고등학교 (졸업 / 82회) 국방대학교 (리더십 / 석사[1]) |
군사 경력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1993년 ~ 현재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49기) |
현재 계급 | 중장 (대한민국 육군) |
현재 보직 |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
주요 보직 |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제22보병사단장 합동참모본부 작전1처장 제1군단 참모장 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과장 제1보병사단 제12보병연대장 제1보병사단 교육훈련참모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제133기보대대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 현재 계급은 중장이며, 현재 보직은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을 역임 중이다.2. 생애
1989년 서울 경신고등학교(82회)를 졸업한 후, 육군사관학교(49기)에 입교하였다. 1993년 육사 졸업과 함께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하였고 작전 직능이다.3. 주요 직위
- 소령
- 육군대학 전술학처 작전술 교관
- 준장 2019년 11월 1차 진급
3.1. 대대장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133기보대대장 시절 육사 축구부 출신답게 사단 맹호리그에서 대대예하 본부중대와 함께 리그 우승 2회, 준우승 1회를 이끌었다.
- 기계화사단 예하 보병대대 최초로 KCTC 육군과학화전투훈련에 참여하여 파쇄공격이라는 전술로 교리교범에 기록되기도 하였다.
- 대대 "감사나눔운동"을 시행하면서 한건의 사망, 중상자 없이 임기를 마쳤으며, "충성을 행동으로"라는 구호로 상호존중, 화합의 부대여건을 만들었다.
3.2. 사단장
- 육사 49기의 선두주자로서 커리어를 잘 쌓아왔지만 별들의 무덤인 제22보병사단장에 취임한 지 2주밖에 되지 않은 2022년 1월 새해부터 월북 사건이 터지고 말았다. 군이 이번 사건에 대한 책임을 전부 인정하였기 때문에 중장 진급에 먹구름이 꼈을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다.실제로 22사단의 경우 1998년 불발탄 폭발 사고로 육사 27기 류선준 예) 소장, 2009년 강동림 월북 사건으로 육사 35기 이양구 예) 소장, 2012년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으로 육사 38기 조성직 예) 소장, 2014년 총기 난사 사건으로 육사 40기 서상국 예) 소장, 2021년 2월 동해 민통선 무단침입 사건으로 육사 47기 표창수 소장, 동년 8월에 육사 48기 정형균 소장이 보직해임된 전례가 있다.
- 다만 취임 2주일밖에 지나지 않았다는 점이 참작이 될 수도 있다. 실제로 천안함 폭침 당시 해군참모총장인 김성찬 제독이 취임한 지 일주일밖에 되지 않았다는 점이 참작되어 인사조치가 없었다. 물론 천안함 폭침은 북한의 공격에 해군참모총장의 책임 여부[14]가 직접적인 문제는 아니었던 데 반해, 본 사건처럼 경계 실패의 책임을 사단장이 피해갈 수 있느냐의 문제는 다소 차이가 있다.
- 사단장 취임시 "백전불태(百戰不殆)의 정신으로 똘똘 뭉친 전투형 정예사단" 육성을 지휘목표로 삼았다.
- 사단장 시절 휘하 장병들의 복지를 잘 챙겨줬다는 말이 있다. 실제로 매월 22일을 '율곡인의 날'로 지정해 각종 이벤트를 실시하고, 지역적 특산물을 활용한 복지회관 신메뉴를 개발하여 시중가 대비 2~3배 저렴하게 판매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다.
- 취임한 지 2주 만에 탈북자의 월북 사건이 발생했지만, 그 뒤로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 결과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지 6개월 뒤인 2022년 11월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으로 영전하였다.
- 이 장군의 후임 사단장인 윤봉희 소장은 혼다 골드윙을 타고 22사단 초소 침입을 시도하고 초병과 위병소 내 간부를 죽일 목적으로 총기에 손을 대려 한 민간인 3명을 성공적으로 제압한 초병 2명과 간부 3명에게 포상휴가를 수여하였고 이후 중장 진급의 지름길인 국방부 정책기획관으로 영전하기까지 했다.
3.3. 합참 작전부장
- 문재인 정부 시기에 준장 진급과 소장 진급을 1차로 해 내어서 부군단장 등 한직으로 전보될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으나 사단장 임기 1년 만에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으로 영전하였다. 합참 합동작전과장과 작전1처장, 작전부장 등 고된 보직을 각각 1년 이상 감당한 만큼 중장 진급 가능성은 동기 중에서도 뚜렷한 편이라는 평이 많았다.
<colbgcolor=#801a24><colcolor=#fff> |
[현장영상+] "北 소형 무인기 1대 수도권 북부까지 비행...명백한 도발 행위" / YTN |
- 합참 작전부장으로 부임한지 한 달도 되지 않았는데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이 발생하여 대북 브리핑을 하였다.[16]
<colbgcolor=#801a24><colcolor=#fff> |
[현장영상+] 軍 "北 무모한 도발 행위 강력 규탄, 즉각 중단 촉구" 대북 경고성명 / YTN |
- 23년 12월 18일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이어 다음 날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을 발사한 것과 관련해 대북 경고성명을 발표했다.[17]
3.4. 합참 작전본부장
2024년 4월 전반기 장성인사에서 육사 49기 중 서진하, 박재열과 함께 중장 1차 진급자로 선발되었으며, 군단장으로 진출한 나머지 둘과는 달리 진급과 함께 바로 작전본부장으로 임명되었다[18]. 합참 작전본부장은 보통 군단장을 마친 중장이 와서 1년 정도 근무하다 대장으로 진급하는 자리이나, 육사 48기 중장 중에는 합참 작전본부장 적임자가 없었기에[19] 직전까지 작전부장을 맡았고 합참 작전본부장 직을 감당할 역량이 있는 이승오 장군을 군단장으로 내보내지 않고 바로 작전본부장으로 올린 것으로 보인다.최근엔 강신철 대장이 군단장 직을 하지 않고 작전본부장을 했는데 비슷하게 적임자가 없어서[20] 어쩔 수 없이 나온 이례적 인사였다. 하지만 군단장 자력이 빈다 해서 큰 문제는 없는 것이, 강신철 장군이 대장을 달았으니 이승오 장군 역시 대장 진급에 디메릿이 있다고 보긴 어렵다. 오히려 적임자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작전본부장에 발탁된 것 자체로 능력을 인정받았다는 시그널이며 이 중책을 잘 감당하면 대장으로 진급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21] 최근에도 전임자 전동진, 강신철, 강호필이 모두 대장을 단 보직이니만큼 당연한 부분이다. 다만 강신철 장군처럼 1년 반 정도 근무할 수도 있고, 혹은 하반기에 현직 군단장들과 보직을 맞바꿔 일선 군단장으로 나가 자력에 비는 부분을 때울 수도 있다.[22]
4. 기타
- 연합합동작전의 전문가로 전동진, 강호필 대장과 동일하게 합참 합동작전과장(대령)-작전1처장(준장)-작전부장(소장)-작전본부장(중장)을 모두 거쳤다. 특히 해당 보직의 전임자가 모두 강호필 장군이다. 전동진 장군은 대장까지 1차진급, 이승오 장군은 중장까지 1차진급이다. 강호필 대장은 준장 2차, 소장 3차, 중장 2차, 대장 2차 등 계급마다 한두 번씩 밀리면서 올라왔다.[23]
- 고성 통일전망대 관광 시 이륜차 출입을 부분적으로 허용하였는데, 당시 이를 허락한 사단장이었다.
5. 관련 문서
[1] 석사 학위 논문: 팀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2003)[2] 비슷한 시기 육사 동기인 문병삼 소장이 동사단에서 11연대장을 역임했다. 전임은 표창수 소장이며 후임은 김화종 소장.[3] 합참 작전본부의 수석과장으로 육군 대령 보직 중 최고 요직이며 합동작전 분야에서 능력을 인정받는 뛰어난 작전통만이 부임하는 자리다. 역대 과장은 대부분 고위직으로 진급했다. 이 직위를 역임한 사람들로 정승조(육사 32기-대장 전역), 이홍기(육사 33기-대장 전역), 신현돈(육사 35기-대장 전역), 김종배(육사 36기-중장 전역), 신원식(육사 37기-중장 전역), 김왕경(육사 38기-준장 전역), 장경석(육사 39기-중장 전역), 구홍모(육사 40기-중장 전역), 박철희(육사 41기-준장 전역), 김승겸(육사 42기-대장 전역), 안준석(육사 43기-대장 전역), 김정유(육사 44기-소장 전역), 전동진(육사 45기-대장 전역), 김홍석(육사 46기-소장 전역), 강호필(육사 47기-현직 대장), 이승오(육사 49기-현직 중장), 강현우(육사 50기-현직 소장), 안찬명 (육사 51기-현직 소장), 우석제 (육사 52기-현직 준장), 김홍식 (육사 53기-현직 준장), 정상진 (육사 53기-현직 준장) 등이 있다.[4] 전임자 강호필, 후임자 강현우. 육사 47기 강호필 대장에서 바로 49기 이승오 소장에게 합동작전과장 직이 넘어와서 이례적으로 2년간 근무했다. 김승겸 전 합참의장도 합동작전과장을 2년 했다.[5] 정확히는 준장(진) 때 취임하여 준장으로 진급하고 얼마 안 지나서 2020년 상반기 인사 때 합참으로 이동했다.[6] 전임자 표창수, 후임자 박수[7] 전임자 최성진[8] 합동작전과장의 직속 상관이다.[9] 전임자 강호필, 후임자 김화종[10] 전임자 여운태, 후임자 윤봉희[11] 사단장으로 취임한 지 2주도 채 되지 않아서 월북 사건이 발생하여 주의 처분을 받았다. 그래서 부군단장 등 한직으로 전보되지 않겠느냐는 예측이 있었지만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으로 영전하였으며, 2024년 4월 인사에서 중장으로 진급하여 별들의 무덤을 무사히 탈출할 수 있었다.[12] 전임자 강호필, 후임자 안찬명[13] 전임자 강호필[14] 해상 경계 작전은 군령권의 영역이며 2함대사령부는 합동참모본부 - 해군작전사령부의 지시를 따른다. 해군참모총장은 평시에는 군기 확립, 훈련, 교육, 인사구조 등 군정권을 행사하며 작전 지원만 담당한다.[15] 과거에도 이승오 장군은 안찬명 장군을 합참으로 데려다 쓸 정도로 신뢰했다. 이러한 인연으로 안찬명 장군을 합참 내 요직으로 또 한 번 데려간 것이다.[16] 부임 후 얼마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소 긴장된 표정으로 대국민 사과 없이 대북 브리핑을 진행하였고, 결국 다음 날 강신철 작전본부장이 재차 나와 대국민 사과를 하였다.[17] 22년의 브리핑 때와는 다르게 긴장한 모습 없이 자신감이 보이는 표정으로 발표하였다.[18] 합참 작전본부장이 됨으로써 합동작전 자원 중 3번째로 합참 합동작전과장-작전1처장-작전부장-작전본부장을 모두 거친 사례가 되었다. 45기 전동진 대장, 47기 강호필 대장에 이어 세 번째다.[19] 육사 48기 중장 1차 진급자로 군단장 1년 임기를 채운 김성민 중장은 국방정책분야 전문 장교라 작전통과는 거리가 멀었고, 중장 2차 진급자들은 군단장을 시작한지 6개월도 되지 않았기에 지휘권 보장과 부대의 안정성을 위해 옮길 수 없었다. 이외에 중장 진급에 두 번 비선되었긴 하나 합참 경력이 많은 손광제 소장이 기용될 거란 예측도 있었지만 불발되었다.[20] 동기들은 군단장을 반년 남짓 한 상태라 옮길 수 없었던 반면 강 장군은 청와대 비서관을 하다 정권이 교체되며 지작사 부사령관 보직으로 대기발령이 난 상태였다.[21] 실질적으로 군단장 보직보다 작전본부장 보직이 훨씬 요구받는 역량이 높아서 군단장을 안한 것이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고 보는 듯하다. 강신철 장군을 진급시키며 국방부가 설명한 내용을 참조해도 그러하고, 군단장은 아무 비육사 사단장이나 진급시켜 맡겨도 다 어떻게든 잘 해나가지만 합참 작전본부장은 육사 출신 중에서도 합동작전에 대한 높은 전문성을 갖춘 중장만이 제대로 수행할 수 있다.[22] 물론 작전본부장 직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그냥 쭉 근무할 가능성이 더 높다. 장군 개인의 인사관리를 배려하여 국군의 작전을 총괄하는 작전본부장을 반 년 만에 교체하는 것은 현실성이 낮은 일이다. 거기다 이승오 장군은 육사 동기 중 최고의 합동작전 전문가로 육성된 인물이라 어차피 군단장으로 갔어도 이임 후 참모 보직은 무조건 작전본부장으로 받았을 사람이기에 결과적으로는 그게 1년 당겨졌을 뿐인 일이다. 강신철 장군도 인사관리를 위해 하반기에 군단장으로 나갈 거란 예측도 있었으나 결국 쭉 본부장으로 근무하다 바로 대장에 올랐다.[23] 사실 앞 계급에서 진급이 밀리면 이후로도 밀리는 건 어쩔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