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3 15:17:28

대한민국 전략사령부


이 문서는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은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군사사령부"

아직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거나 출시되지 않은
군사조직
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공개 전 루머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추후
대한민국 국방부 혹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의 공식 발표에 따라 실제 모습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전략사령부
大韓民國 戰略司令部
Republic of Korea Strategic Command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colbgcolor=#801a24><colcolor=#fff> 창설일 2024년 (예정)
[[약칭|{{{#fff 약칭}}}]] 전략사
소속 대한민국 국군
상급기관 대한민국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종류 전략사령부
규모 사령부
역할 대한민국 국군의 전략자산 운용 및 핵·미사일 위협 대응
사령관 공군 중장 000 (예정)
부사령관 미정
참모장
위치
1. 개요2. 부대 역사
2.1. 부대 창설 준비
3. 부대 임무4. 편제5. 지휘・감독 부대
5.1. 대한민국 국방부5.2. 대한민국 육군5.3. 대한민국 해군5.4. 대한민국 공군
6. 출신 인물
6.1. 사령관
7. 쟁점
7.1. 육방부화 및 지휘관의 계급 문제 그리고 내부 갈등요소7.2. 지휘관계 혼선

[clearfix]

1. 개요

'3축 지휘' 전략사령부 창설 속도...'옥상옥' 우려도 / YTN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예하에 2024년 창설 목표로 추진 중인 전략사령부이다.

한국형 3축 체계[1]에 대한 효과적인 지휘통제와 체계적인 전력 발전을 주도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의장의 지휘를 받는 방향이 유력하고, 초대 사령관은 공군 중장이 임명될 것이라고 신원식 국방부장관이 밝혔다.[공]

2. 부대 역사

2.1. 부대 창설 준비

3. 부대 임무

4. 편제

5. 지휘・감독 부대

항목의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단급(지휘관이 편제상 준장 이상)만 작성하며, 예하 부대는 적지 않는다.

5.1. 대한민국 국방부

파일:major general_white.png}}}파일:major general_white.png}}}

5.2. 대한민국 육군

5.3. 대한민국 해군

5.4. 대한민국 공군

6. 출신 인물

6.1. 사령관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801a24><tablebgcolor=#801a24>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801a24><tablebgcolor=#801a24>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

{{{#!wiki style="margin: 0"
파일:Lieutenant General_white.png
||<tablewidth=100%><width=20%>
초대

미정 || || ||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6><tablewidth=100%><tablebordercolor=#801a24><tablebgcolor=#fff,#1f2023><bgcolor=#801a24><color=#fff> 역대 대한민국 전략사령부 사령관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 ||
<rowcolor=#fff>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미정 공군 중장 (예정) 공사 00기

7. 쟁점

7.1. 육방부화 및 지휘관의 계급 문제 그리고 내부 갈등요소

7.2. 지휘관계 혼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4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문재인 정부에서 한국형 3축 체계라는 용어를 핵·WMD 대응체계로 변경했다가 윤석열 정부에서 다시 되돌렸다.[공] 출처[3] 박후성(육사 48기) 육군 소장이 초대 핵·WMD대응본부장으로 취임했다.[4] 기존 합참의 전략기획본부 예하 ‘핵·WMD대응센터’에 정보와 작전, 전력, 전투발전 기능을 추가해 확장한 것이다. 핵·WMD대응본부 창설에 따라 합참 조직은 정보·작전·전략기획·군사지원본부 등 4개 본부 체제에서 5개 본부 체제로 개편됐다. 기존 4개 본부는 중장이 본부장이지만, 핵·WMD대응본부장은 소장이다.[5] 본 세미나에서 처음 공개된 형태의 부대로, 전자전 수행 항공기(전자전기)와 지상의 전자전 수행 전력을 관할할 것으로 보인다.[6] 상기 2022년 국방백서의 내용에 언급되거나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부대들이다.[7] 지대지 무기 운용[8] 참수작전이라 불리는 대량응징보복에 특화된 13특임여단만 포함될수도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9] 잠대지무기 운용[10] 천궁-II, 패트리어트, L-SAM미사일방어 무기운용[11] F-35A 운용[12] RQ-4(글로벌호크) 운용[공] 출처[14] 윤석열 정부에서 새로 창설된 드론작전사령부의 사령관도 육군이 가져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