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21:12:54

Wesley's Theory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b4b2b3><tablebgcolor=#b4b2b3> 파일:KLTPAB.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 곡명 길이
Side A
1 Wesley's Theory 4:47
2 For Free? (Interlude) 2:10
3 King Kunta 3:54
4 Institutionalized 4:31
5 These Walls 5:00
6 u 4:28
7 Alright 3:39
8 For Sale? (Interlude) 4:51
9 Momma 4:43
10 Hood Politics 4:52
11 How Much A Dollar Cost 4:21
12 Complexion (A Zulu Love) 4:23
13 The Blacker The Berry 5:28
14 You Ain't Gotta Lie (Momma Said) 4:01
15 i 5:36
16 Mortal Man 12:07
파일:켄드릭 라마 로고.svg
}}}}}}}}} ||
<colbgcolor=#b4b2b3><colcolor=#000> Wesley's Theory
수록 앨범
장르 컨셔스 힙합 • 폴리티컬 힙합
길이 4:47
프로듀서 Flying Lotus • Flippa • Terrace Martin • Sounwave • Thundercat

1. 개요2. 상세3. 가사

1. 개요

2015년 발매된 켄드릭 라마의 앨범 To Pimp A Butterfly의 1번 트랙.

여담으로, 플라잉 로터스가 이 앨범의 작업 과정에 많이 참여했으나, 결과적으로는 이 한 곡만 수록이 되었다고 한다.

2. 상세

유명 흑인 영화 배우 웨슬리 스나입스의 탈세 사건에서 모티브를 얻은 곡이다.

웨슬리 스나입스의 회계사였던 에디 칸이란 사람은 아메리칸 라이츠 리티게이터스라는 단체의 대표였는데 이 단체는 안 내도 될 세금을 강요하는 불합리한 과세행정에 반대하는 단체였으며, 이 사람이 회계사로 있는 동안 웨슬리 스나입스의 세금은 제대로 납부되지 않았고 그 때문에 결국 웨슬리 스나입스는 이에 대한 혐의가 인정되어 실형을 살게 되었다.

헌데 웨슬리 스나입스의 아내 박나경의 주장에 따르면 미국에서도 보통 고의적 소득세 탈루가 아닌 신고 누락에 대해 실형 선고가 되는 일은 별로 없다고 한다. 즉 백인이었으면 벌금이나 집유로 끝났을 일인데 흑인이기 때문에 더 가혹한 처벌을 받았다는 것이 부부의 주장.

켄드릭은 웨슬리 스나입스의 이 사건에 모티브를 얻어서 이 곡에서 미국의 백인 중심 자본주의가 흑인들의 노동력을 착취한 다음 그들을 나락으로 빠뜨린다는 것을 묘사하고 있으며, 이는 앨범의 제목인 To Pimp A Butterfly와 일맥상통한다. 이 곡에서 켄드릭은 갓 성공한 흑인 래퍼의 시점에서 , 여자, , 등을 원하고 미국 주류 사회를 상징하는 엉클 샘은 이를 부추기지만 마지막 구절에서는 그렇게 성공하고도 세금 한 번 안 내는 순간 켄드릭을 "웨슬리 스나입스(Snipes)"[1]해 버릴 거라고 위협한다.

3. 가사

Wesley's Theory
[Sample: Boris Gardiner]

[1] 웨슬리 스나입스(Snipes)의 성과 저격(Snipe)을 사용한 펀치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