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7:02:06

When I'm Gone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의 NCS 곡}}}에 대한 내용은 [[When I'm Gone(Tetrix Bass)]]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When I'm Gone(Tetrix Bass)#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When I'm Gone(Tetrix Bass)#|]]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케이티 페리와 Alesso의 곡}}}에 대한 내용은 [[When I'm Gone(Alesso)]]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When I'm Gone(Alesso)#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When I'm Gone(Alesso)#|]]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의 NCS 곡: }}}[[When I'm Gone(Tetrix Bass)]]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When I'm Gone(Tetrix Bass)#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When I'm Gone(Tetrix Bass)#|]]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케이티 페리와 Alesso의 곡: }}}[[When I'm Gone(Alesso)]]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When I'm Gone(Alesso)#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When I'm Gone(Alesso)#|]]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에미넴 싱글 크로놀로지
Welcome 2 Detroit
(2005)
When I'm Gone
(2005)
Shake That
(2006)
<colbgcolor=#181A17> When I'm Gone
파일:EMWIG.jpg
<colcolor=#fff> 아티스트 에미넴
발매 2005년 12월 6일
발매 형식 LP, CD, 디지털 다운로드
녹음 2004년 3월
장르 컨셔스 힙합
길이 4:41
프로듀서 에미넴 & 루이스 레스토
레이블 애프터매스, 셰이디, 인터스코프
1. 개요2. 상세3. 뮤직비디오4. 성과

1. 개요

미국래퍼 에미넴컴필레이션 앨범 Curtain Call: The Hits의 16번 트랙이며 싱글컷 되었다.

FACK, Shake That과 마찬가지로 Curtain Call: The Hits에 수록된 오리지널 음원이다.

2. 상세

"Hailie's Song"과 "Mockingbird"를 잇는 헤일리에 대한 가사를 담은 곡이다.

딸바보로 유명한 에미넴은 헤일리를 위해 어떤 것이든 하지만, 정작 세계적으로 성공하게된 에미넴 본인이 헤일리와 자주 놀 시간도 없게 되어 좋은 아빠가 되지 못한다. 이 곡에서는 이에 대한 한탄과 고민을 곡 내내 울분에 가득찬 목소리로 풀어낸다.

Thetoptens 선정 가장 감동적인 랩 1위에 랭크되기도 했다.[1] #

3. 뮤직비디오

When I'm Gone
6:09
[ 가사 보기 ]

[Intro: Eminem]
Yeah, it's my life
그래, 이건 내 인생이자

In my own words, I guess
내 이야기지, 아마도.

[Verse 1: Eminem]
Have you ever loved someone so much, you'd give an arm for?
누군가를 사랑해서, 팔을 준 적이 있어?

Not the expression, no, literally give an arm for
비유가 아니고, 진짜로 팔을 뜯어준 적이 있냐고 [2]

When they know they're your heart and you know you are their armor
네가 그녀의 심장임을 알고, 네가 그녀를 보호하는 갑옷이란 걸 알아서,

And you will destroy anyone who would try to harm her
넌 누구라도 그녀를 해치려 드는 자를 다 부숴버릴테지

But what happens when karma turns right around to bite you?
하지만 업보가 너에게 돌아와 너를 잡아먹으면 어떨까?

And everything you stand for turns on you to spite you?
네가 지키고자 한 모든 것들이 너를 괴롭히기 위해 돌아온다면?

What happens when you become the main source of her pain?
네가 그녀를 고통스럽게 만드는 주역이라면 어떨까?

"Daddy, look what I made!" "Dad's gotta go catch a plane"
"아빠, 내가 만든 것 좀 봐!" "아빠는 비행기를 타야 한단다."

"Daddy, where's Mommy? I can't find Mommy, where is she?"
"아빠, 엄마 어디갔어? 엄마가 안보여. 어디 간거야?"

"I don't know, go play, Hailie, baby, your daddy's busy
"나도 모르겠어, 가서 놀렴 헤일리. 아빠는 바쁘단다

Daddy's writin' a song, this song ain't gon' write itself
아빠는 곡을 써야해, 가사는 저절로 쓰이는게 아니야

I'll give you one underdog, then you gotta swing by yourself"
그네 한 번 밀어줄테니 가서 알아서 타고 놀려무나."

Then turn right around on that song and tell her you love her
다시 노래로 돌아와서 그녀를 사랑한다고 말하고

And put hands on her mother who's a spitting image of her
그녀를 똑 닮은 엄마를 때리곤 하지

That's Slim Shady, yeah, baby, Slim Shady's crazy
그게 슬림 셰이디지. 그래, 셰이디는 미쳤어.

Shady made me, but tonight Shady's rock-a-bye baby
셰이디가 날 만들었어, 하지만 오늘 밤 셰이디는 잠가두고 진지하게.


[Chorus: Eminem]
And when I'm gone, just carry on, don't mourn, rejoice
내가 사라져도, 계속 살아가줘. 울지 말고.

Every time you hear the sound of my voice, just know that
내 목소리를 들을 때마다, 네가 행복해줬으면 한단다.

I'm lookin' down on you smilin' and I didn't feel a thing
나도 너의 미소를 내려다볼테니, 난 괜찮으니까

So, baby, don't feel my pain, just smile back
그러니 너도 아파하지 말고, 웃어주렴.

And when I'm gone, just carry on, don't mourn, rejoice
내가 사라져도, 계속 살아가렴. 울지 말고.

Every time you hear the sound of my voice, just know that
내 목소리를 들을 때 너가 행복했으면 해. 그것만 알아주렴.

I'm lookin' down on you smilin' and I didn't feel a thing
내가 너의 미소를 지켜볼테니. 난 괜찮으니까.

So, baby, don't feel my pain, just smile back
그러니 너도 아파하지 말고, 그냥 웃어줘.

[Verse 2: Eminem]
I keep havin' this dream, I'm pushin' Hailie on the swing
항상 이런 꿈을 꾸곤 해. 헤일리가 탄 그네를 밀어주는데

She keeps screamin' she don't want me to sing
내가 노래를 하는게 싫다며 소리 질렀어.

"You're makin' Mommy cry, why? Why is Mommy cryin'?"
"아빠가 계속 엄마를 울려. 왜, 왜 엄마를 울리는 거야?"

"Baby, Daddy ain't leavin' no more" "Daddy, you're lyin'!
"헤일리, 아빠는 더 이상 안 떠날거야." "아빠, 거짓말 그만해!

You always say that, you always say this is the last time
매일 그렇게 말하잖아, 이번이 마지막이라면서.

But you ain't leavin' no more, Daddy, you're mine!"
이젠 더 이상 가지마. 아빤 내꺼잖아요!"

She's pilin' boxes in front of the door, tryna block it
문 앞에 상자를 쌓고 나가는 길을 막으려고 하네.

"Daddy, please! Daddy, don't leave! Daddy, no, stop it!"
"아빠, 제발! 떠나지 마! 아빠! 그만해!"

Goes in her pocket, pulls out a tiny necklace locket
주머니에 손을 넣고, 작은 목걸이를 꺼내 들었어

It's got a picture, "This'll keep you safe, Daddy, take it with ya!"
그림이 박혀있네, "이게 아빠를 지켜줄 거야. 가지고 가!"

I look up, it's just me standin' in the mirror
다시 쳐다봤는데, 거울 앞에 서있는 나만 있을 뿐이네.

These fuckin' walls must be talkin', 'cause man, I can hear 'em
이 좆같은 벽이 말을 거나봐, 누가 말하는 소리가 들린다고.

They're sayin', "You got one more chance to do right and it's tonight
이렇게 말했어. "모든 걸 바로 잡을 한 번의 기회만이 남았어. 오늘 밤이야.

Now go out there and show 'em that you love 'em 'fore it's too late!"
더 늦기 전에 나가서 네가 그들을 사랑한다는 것을 보여줘!"

And just as I go to walk out of my bedroom door
그리고 내가 침실 방문을 나서자 마자

It turns to a stage, they're gone and this spotlight is on and I'm singin'
밖은 무대로 바뀌어, 그들은 사라지고 조명이 날 비춰, 그리고 난 노래를 부르네.


[Chorus: Eminem]
And when I'm gone, just carry on, don't mourn, rejoice
내가 사라져도, 계속 살아가줘. 울지 말고.

Every time you hear the sound of my voice, just know that
내 목소리를 들을 때마다, 네가 행복해줬으면 한단다.

I'm lookin' down on you smilin' and I didn't feel a thing
나도 너의 미소를 내려다볼테니, 난 괜찮으니까

So, baby, don't feel my pain, just smile back
그러니 너도 아파하지 말고, 웃어주렴.

And when I'm gone, just carry on, don't mourn, rejoice
내가 사라져도, 계속 살아가렴. 울지 말고.

Every time you hear the sound of my voice, just know that
내 목소리를 들을 때 너가 행복했으면 해. 그것만 알아주렴.

I'm lookin' down on you smilin' and I didn't feel a thing
내가 너의 미소를 지켜볼테니. 난 괜찮으니까.

So, baby, don't feel my pain, just smile back
그러니 너도 아파하지 말고, 그냥 웃어줘.


[Verse 3]
60,000 people all jumpin' out their seat
6만 명의 관중들,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환호해

The curtain closes, they're throwin' roses at my feet
공연은 끝나고, 그들은 내 발에 장미를 던지네

I take a bow, and thank you all for comin' out
인사를 건네고, 와줘서 감사를 전해

They're screamin' so loud, I take one last look at the crowd
환호성은 엄청나, 마지막으로 한번 더 관중을 바라봤어.

I glance down, I don't believe what I'm seein'
고갤 숙였는데, 내가 본 광경을 믿을 수가 없네.

"Daddy, it's me! Help Mommy, her wrists are bleedin'!"
"아빠, 나야! 엄마를 도와줘, 엄마 손목에서 피가 나!"

But baby, we're in Sweden, how did you get to Sweden?
"딸, 여기 스웨덴인데... 어떻게 스웨덴까지 온거야?"

"I followed you, Daddy, you told me that you weren't leavin'
"아빠를 따라왔을 뿐이야. 떠나지 않겠다고 약속했잖아!

You lied to me, Dad, and now you made Mommy sad
내게 거짓말을 한거야 아빠, 아빠는 엄마를 슬프게 했고

And I bought you this coin, it says 'Number One Dad'
동전을 가져왔어, '최고의 아빠'라고 적혀있지.

That's all I wanted, I just wanna give you this coin
난 그저 이걸 주고 싶었을 뿐이었는데. 이 동전 말야.

I get the point, fine, me and Mommy are goin'."
이젠 다 알았어. 좋아, 나랑 엄마는 갈게."

But baby, wait! – "It's too late, Dad, you made the choice
"딸, 잠시만!" - "너무 늦었어, 아빠. 이미 선택한 거잖아.

Now go up there and show 'em that you love 'em more than us
무대에 올라가서 우리보다 관중을 더 사랑한다는 걸 보여줘!

That's what they want, they want you, Marshall, they keep
그들이 원하잖아, 당신을 원해 마셸. 끝없이

Screamin' your name, it's no wonder you can't go to sleep
당신의 이름을 부르잖아. 그러니 잠을 설치지.

Just take another pill, yeah, I bet you you will
약이나 한 알 더 챙겨먹어, 당연히 그럴테니.

You rap about it, yeah, word, k-keep it real."
항상 그렇게 랩해왔잖아, 진-진솔하게 가자."

I hear applause, all this time I couldn't see
박수소리가 들려, 평생 난 깨닫지 못했어.

How could it be that the curtain is closin' on me?
어떻게 된 거지? 커튼이 날 덮치고 있어?

I turn around, find a gun on the ground, cock it
난 돌아서서, 떨어진 총을 주워서 장전,

Put it to my brain, scream, "Die, Shady!" and pop it
머리에 대고서 "죽어, 셰이디!"하고 방아쇠를 당겨

The sky darkens, my life flashes, the plane that I was
하늘이 어두워지고, 내 삶이 번뜩거리고, 내가 타려고 했던

Supposed to be on crashes and burns to ashes
비행기가 추락하고, 불타서 재가 된 순간.

That's when I wake up, alarm clock's ringin', there's birds singin'
그러고 난 겨우 꿈에서 깨, 알람 시계가 울리고, 새가 지저귀고,

It's spring and Hailie's outside swingin'
봄 날씨에 헤일리는 밖에서 그네를 타고 있어.

I walk right up to Kim and kiss her, tell her I miss her
일어나서 킴에게 바로 가서 키스하고, 보고 싶었다고 말해.

Hailie just smiles, and winks at her little sister, almost as if to say
헤일리는 그저 웃고 여동생에게 윙크해. 마치 이렇게 말하는 듯


[Chorus: Eminem]
And when I'm gone, just carry on, don't mourn, rejoice
내가 사라져도, 계속 살아가줘. 울지 말고.

Every time you hear the sound of my voice, just know that
내 목소리를 들을 때마다, 네가 행복해줬으면 한단다.

I'm lookin' down on you smilin' and I didn't feel a thing
나도 너의 미소를 내려다볼테니, 난 괜찮으니까

So, baby, don't feel my pain, just smile back
그러니 너도 아파하지 말고, 그냥 웃어주렴.

And when I'm gone, just carry on, don't mourn, rejoice
내가 사라져도, 계속 살아가렴. 울지 말고.

Every time you hear the sound of my voice, just know that
내 목소리를 들을 때 너가 행복했으면 해. 그것만 알아주렴.

I'm lookin' down on you smilin' and I didn't feel a thing
내가 너의 미소를 지켜볼테니. 난 괜찮으니까.

So, baby, don't feel my pain, just smile back
그러니 너도 아파하지 말고, 그냥 웃어줘.


*Curtains closing*

파일:Eminem Logo Black.png

4. 성과

빌보드 핫 100에서 8위, 빌보드 R&B/힙합 차트에서 96위를 기록했고 2006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90위를 달성하였다.
[1] 참고로 Stan도 2위에 랭크 되어있다.[2] 에미넴은 팔에 헤일리 타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