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로고 | YP-T9부터 사용된 로고 |
삼성전자의 MP3 플레이어 및 MP4 플레이어 브랜드. 브랜드 네임의 의미는 Young, Energetic, Passionate, Personal.
1. 개요
2000년 3월, 삼성전자는 PIC(퍼스널인터넷컴퓨팅)사업부를 신설한다. 디지털의 대표로 손꼽히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PDA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서였다. 그 중 MP3 플레이어 사업은 삼성이 지난 1997년부터 연구에 착수하여, 1999년에는 제품을 출시하는 등 나름의 성과도 보이던 차였다.하지만 대기업이 나서기엔 시장이 너무 작다는 판단이 내부에서 나오게 되고, 다음 해인 2001년 10월 1일, 삼성은 MP3 플레이어 사업부를 100% 지분을 갖고 있었던 1998년에 설립된 오디오 사업부 출신 중국 자회사인 삼성블루텍에 넘긴다. 당시 삼성블루텍은 CD를 저장 매체로 한 MP3CDP 사업을 맡고 있었다. 사업부 매각은 소극적인 마케팅과 제품 개발 소홀로 이어지고, 반대로 시장은 나날이 커져 레인콤[1] 이나 거원[2], 모럴팔로우시스템[3] 같은 중소기업에 국내 시장을 선점당하게 된다.
하지만 엄지손가락 정도의 크기를 가진 제품인 T5를 출시하면서 본격적으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광고 모델은 동방신기. 그 후 임정희를 모델로 내세운 T8을 출시했으며 하드디스크형 제품과 PMP 초기형 MP4를 출시하면서 입지를 굳히기 시작한다. 이에 고무된 삼성은 블루텍을 인수 하며 사업에 박차를 가하게 되고, 2006년 8월 자사의 힘으로 국내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는 데 성공한다. 인수한 지 불과 1년 만에 이룬 성과였다.
결국은 자금력과 브랜드빨의 승리라고는 하나, 그 시기를 앞당길 수 있었다는 걸 감안하면 삼성에게는 아쉬움이 많은 승리로 기록되지 않을까 싶다. 블루텍 인수 당시 한 언론사에서 '좀처럼 찾기 힘든 실패 사례'라 논할 정도니까.
YP-T5 |
YP-T6 |
YP-T8 |
음장으로 SRS Labs의 SRS 시리즈를 사용하다가 YP-T8부터 자체 개발한 DNSe를 탑재하기 시작하였고 2010년 6월부터 출시되는 모델에는 DNSe를 업그레이드한 사운드얼라이브를 탑재하고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바로 당시 1위 기업이었던 아이리버를 견제하고자 경쟁사 중 하나였던 Apple에 자사의 플래시 메모리를 덤핑하다시피 싼값에 뿌려 아이리버는 해외에서 점유율을 빼앗겨 나락으로 떨어졌고 iPod nano와 iPod shuffle이 전 세계 MP3 플레이어 시장을 장악했으며, 결국 여우 잡겠다고 호랑이를 불러들인 격이라고 당시 세간에 알려졌다. 하지만 이는 삼성전자의 구조를 전혀 모르는 인터넷 낭설일 뿐이다. 삼성전자는 사업부 단위로 운영되며, 사업부끼리 서로 경쟁하고 있다. YEPP MP3 플레이어는 당시 퍼스널인터넷컴퓨팅 사업부 담당이었고, 플래시 메모리는 반도체 사업부 담당이었다. 즉, 반도체 사업부에서 애플과 저가로 대량 납품 계약을 맺은 것은 퍼스널인터넷컴퓨팅 사업부의 사정을 고려할 필요 없는 결정이었다. 일설에는 당시 한국 기업들의 총 공급량의 3배를 선주문했다고 한다. 당시 애플은 높은 생산량을 바탕으로 하드 디스크형 MP3 플레이어 시장을 독점하여 MP3 플레이어 점유율 1위를 달리는 기업이었다. 그런 기업이 압도적인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플래시 메모리형 MP3 플레이어 시장에 진출하는데, 그 파급력도 계산 못하고 여우 잡겠다고 호랑이 불렀다는 말을 하는 건 말이 안 된다.
또한 그 누구도 그때는 애플이 MP3 플레이어 시장 장악할지 아무도 몰랐다. 결과론이지만 아이튠즈 스토어 같은 합법적 음원판매 루트가 없었던 삼성은 미국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아이리버는 이미 국내에서도 고가격 정책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소니는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의 CD 판매 때문에 미적거리던 게 당시 시장 상황이었다.
옙의 제품들 중 일부는 UI는 화려하지만 속도는 너무나도 느린 걸로 까이기도 했으며, 사후 지원이 부실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초창기의 형편없는 소프트웨어 완성도로 악명이 높았던 M1도 이 브랜드의 제품이다. 지금은 나아진 편이다.
PMP 제품군은 YM-PD1이 있으며 그 뒤로 PMP를 출시한 적은 없다.
2005년 회중시계 디자인에 6개의 진품 다이아몬드가 디자인 포인트인 출고가 90만원의 명품 MP3 플레이어 YP-W3Z를 출시한 경력도 있으며 후에는 다이아몬드를 제거한 보급형인 30만원의 제품 W3L을 출시하기도 했었다.
2007년에는 서태지의 데뷔 15주년을 기념하여 YP-P2 서태지 에디션을 1만대 한정으로 판매한 적도 있었다. 각 제품에는 고유 넘버가 박혀있으며, 기기 후면에는 서태지 싸인 각인이 들어가 있다.
YEPP 제품 중 외장메모리를 지원하는 제품들도 있으나 동영상 이어보기 불가능 음원 통합관리 불가 등 제약이 많으므로 가능하면 내장용량이 큰 제품으로 구매하자.
스마트폰 갤럭시 S에서 전화랑 3G 기능이 빠진 버전이 YEPP이 아닌 갤럭시 브랜드로 출시되었다. 자세한 것은 갤럭시 플레이어 문서를 참조.
2011년 2월 15일, 삼성은 프리미엄 이미지로 안착한 브랜드를 제외한 나머지 브랜드를 폐지하기로 결정한다. 거기에 YEPP이 포함되었고, 결국 YEPP 브랜드는 폐지되었다. 이후 제품들은 삼성의 이름을 달고 나오게 되며, 이후 발매된 R2, Z3, F3 모두 삼성 브랜드로 출시되었다.
여담으로 뉴스에서 드물지 않게 들리는 "삼성 세계시장 1위 향한 발걸음" 등등의 제품군 중 몇 안 되는 제대로 실패한 케이스. MP3P 시장 초기 호기좋게 세계 1위 포부를 밝혔으나 미국 원정에서 iPod에 밀리고 본진은 고가/고급 정책을 내세우는 아이리버에 털리고 2011년 현재 국내시장 1위는 수성하고 있으나 미국시장 점유율은 한국사람에겐 생소한 업체들에게 마저 밀리고 치여서 점유율은 5% 미만이다.
YEPP 브랜드 폐지 이후로 YP-U7이 삼성의 순수 MP3P를 계보를 잇고 있었으나, 그것마저도 2014년 2월에 단종되었다.
2005년부터 모든 옙 제품에는 샘플 곡으로 5곡이 들어있는데, 삼성 자체 음원 2곡[4]과 <Music Is My Life Part.2>란 디지털 싱글에 수록된 3곡으로, 각각 성시경, SG워너비, 에픽하이와 케이윌이 참여했으며 3곡 모두 방시혁이 작곡했다. 이효리, 애니밴드 등 가수들과의 콜라보로 마케팅을 진행하던 삼성전자답게 방시혁/성시경/SG워너비/에픽하이란 쟁쟁한 라인업의 콜라보를 성사시킨 것. 정식데뷔 전에 빅히트 소속으로 OST작업 정도만 하다가 스타쉽으로 옮겨 갓 데뷔한, 실력은 있으나 무명이던 케이윌이 에픽하이의 곡에 피쳐링을 하게 된 점이나 임정희의 노래가 자연스럽게 연상되게끔 하는 싱글의 이름을 보면 이 프로젝트에 방시혁의 입김이 꽤 많이 들어갔다는걸 알 수 있다.
2. 제품 일람
- YP-E16 'YP-E Model' - 최초의 보급형 Yepp 모델, 1999년 4월 27일.
- YP-D40 -최초의 고급형 Yepp 모델, 1999년 4월 27일.
- YP-E32 / YP-E64 - 1999년 9월 추정
- YP-Z32 - 1999년 12월 추정
- SVM-P32 '비주얼 MP3플레이어' - 2000년 5월 19일.
- YP-NEP32B / YP-NEP32R / YP-NEP64B - 2000년 7월 28일.
- YP-NDU16 / YP-NDU32 / YP-NDU64 - 2000년 11월 19일.
- MCD-MP65 'CD-Yepp' - 2001년 2월 1일.
- YP-20T / YP-20S 'baby yepp' - 2001년 4월 2일.
- YP-MF64 '디지털 오디오 yepp' - 2001년 4월 19일.
- YP-100E - 2001년 5월 추정
- MCD-MP8 'CD-Yepp' - 2001년 7월 3일.
- YP-30S / YP-30SB / YP-30SHB '패션옙' - 2001년 8월 6일.
- YP-700SB / YP-700HB '슈퍼 MP3플레이어' - 2002년 1월 27일.
- MCD-SF85 / MCD-SM85 'CD yepp' - 2002년 2월 14일.
- YP-90SB / YP-90HB 'baby yepp Ⅱ' - 2002년 3월 추정
- YP-300S / YP-300H - 2002년 10월 추정
- YP-750I - 2002년 10월 추정
- MCD-HF920 'CD Yepp' - 2002년 11월 17일.
- YP-55 - 2003년 4월 15일.
- YP-35 - 2003년 5월 추정
- YP-900 - 2003년 10월 추정.
- YP-780 - 2003년 12월 29일.
- YP-60 '옙스포츠' - 2004년 2월 23일.
- YP-T5 - 2004년 3월 4일. [5]
- YP-53 - 2004년 8월 18일.
- YP-T6 - 2004년 9월 21일.
- YH-999 - 2004년 11월 8일. Yepp 이름으로 나온 최초의 PMP. 정확히 말하면 PMC(포터블 미디어 센터)이다.
- YH-920 - 2004년 11월 29일.
- YH-820 - 2004년 12월 13일.
- YP-T7 - 2004년 12월 22일. 나중에 TFT LCD로 교체한 기능강화판 T7F가 출시되었다.
- YH-925 - 2004년 12월 28일.
- YP-W3 - 2005년 2월 14일.
- YH-820(MG) - 2005년 2월 20일.
- YP-C1 - 2005년 3월 31일.
- YP-F1 - 2005년 4월 3일.
- YH-J70 - 2005년 7월 20일.
- YP-U1 - 2005년 8월 22일 ~ 24일 사이.
- YH-J50 - 2005년 10월 중순.
- YP-D1 - 2005년 12월 28일. YP-T8의 디자인에 200만화소 카메라를 달았다.
- YP-T55 - 2006년 1월 24일.
- YP-T8N - 2006년 3월 14일.
- YM-PD1 - 2006년 4월 4일. YH-999이후 나온 PMP. 하지만 이 모델을 마지막으로 삼성은 PMP에서 손을 뗀다.
- YP-F2 - 2006년 4월 26일.
- YP-Z5 - 2006년 6월 14일. 국내에는 Z5F로 출시한 모델. 나중에 펌웨어로 텍스트뷰어를 지원해주었다.
- YP-T9, YP-T9B - 2006년 9월 19일.
- YP-K5 - 2006년 10월 23일. 1.5W 슬라이드 스피커가 탑재된 모델.
- YP-K3 - 2007년 2월 14일.
- YP-U3 - 2007년 6월 17일.
- YP-P2 - 2007년 10월 8일.
- YP-T10 - 2007년 10월 30일.
- YP-S5 - 2008년 1월 21일. K5의 후속작. 음악과 사진, 라디오기능만 있던 K5에서 기능이 상당히 강화되었다.
- YP-S2 - 2008년 6월 3일. 조약돌 형태의 mp3인데 어떤 유저는 이 기기에 여자 가슴 이미지를 출력해서 부착해 boob mp3 플레이어를 만들었다.
- YP-S3 - 2008년 6월 19일.
- YP-PB2 - 2008년 7월 초. P2에 지상파 DMB가 추가된 모델.
- YP-U4 - 2008년 8월 5일.
- YP-Q1 - 2008년 10월 15일.
- YP-P3 - 2008년 12월 17일. 햅틱UI를 탑재하였다.[6]
- YP-Q2 - YEPP 10주년 기념작, 2009년 4월 15일.
- YP-U5 - 2009년 5월 14일.
- YP-R1 - 2009년 8월 30일.
- YP-M1 - 2009년 9월 23일. 엔비디아 테그라 탑재 모델.
- YP-R0 - 2009년 11월 18일.
- YP-VX1 - 2009년 12월 2일. 삼성의 디지털 녹음기.
- YP-RB - 2010년 6월 2일.
- YP-S1 - 2010년 6월 23일.
- YP-Q3 - 2010년 10월 18일.
- YP-U6 - 2010년 11월 2일.
- YP-R2 '삼성 R2' - 2011년 8월 30일.
- YP-Z3 '삼성 Z3' - 2011년 8월 30일.
- YP-F3 '삼성 F3' - 2011년 10월 18일.
- YP-W1 '삼성 S페블' - 2012년 5월 29일. 이 쪽은 모델명만 YP를 넣었지만 갤럭시 S3의 악세사리 형태로 출시된 미니 MP3. 그래서 기기 무늬도 갤럭시 S3와 똑같은 무늬에 조약돌 모양을 하고 있다.
- YP-U7 - 2013년 1월 30일. 삼성의 마지막 MP3P
3. 문서가 있는 제품
[1] 지금의 아이리버.[2] 지금의 코원.[3] 아이옵스 브랜드의 MP3 플레이어를 만든 회사이다.[4] PC에 연결해 보면 2곡 다 2005년에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5] 기기는 씨엠테크의 OEM이다. 펌웨어는 삼성에서 개발했다. CA-U250과 CA-F200모델이 비슷한 이유가 그 이유.[6] 하지만 터치가 일부분이 안 먹히는 문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