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21:15:22

숨김표

××에서 넘어옴


문서가 있는 문장 부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배경 음영: 한글 맞춤법 부록에 수록되지 않은 문장 부호
동아시아 (CJK)
문장 부호
겹낫표
『 』
홑낫표
「 」
모점
}}}}}}}}}


1. 개요2. 용도3. 사용 부호4. 변형5. 부호의 명칭6. 숨김표로 인한 표현7. 다른 숨김 방법8. 여담

1. 개요

숨김표는 금기어나 공연히 드러내기 어려운 말, 비속어, 비밀을 유지해야 하는 말의 글자를 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장 부호이다. 복자(伏字), 은자부(隱字符), 은자부호(隱字符號)라고도 한다.

본래 써야 할 글자를 대체한다는 점은 빠짐표와 비슷하나 빠짐표는 식별이 어려운 이유로 본래 글자를 밝힐 수 없는 것인 반면, 숨김표는 본래 글자를 알 수 있지만 특정 이유(보안, 올바른 언어 생활 추구 등)로 가리는 것이다.

2. 용도

3. 사용 부호

대개 ○ 아니면 ×가 양대산맥을 이루며, 드물게 , , #, ?, ~, @, , , , $ 등 다양한 특수문자를 쓰기도 한다.[2]

○와 ×의 사용 경향성은 약간 차이가 난다. 대개 신문사의 기사와 방송 프로그램의 자막에서는 발음이 부정확하여 한글로 표기하기 어려운 부분을 처리할 때(빠짐표)나 개인정보 등 보안과 관련된 문제가 될 때는 ○를, 비속어 또는 선정성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을 처리할 때는 ×를 자주 쓴다. 한편 일본에서는 주로 ○가 일반적이고 ×의 사용은 좀 더 적은 편이다.

일부 방송이나 Laftel의 댓글에서는 '*'를 사용하기도 한다. 비밀번호 역시 과거에는 '*'이 대세였으나 오늘날에는 ● 등 다른 기호를 쓰는 웹페이지들도 많아졌다.

4. 변형

씨××까처럼 내용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도록 일부만 숨김표 처리할 때도 있다.

대개 글자 수만큼 숨김표를 쓰는 것이 원칙이나, 개인정보 유출 방지 등을 위해 강력한 보안이 필요한 경우 맥락을 통한 내용 유추가 불가능하도록 내용의 글자 수와 복자의 글자 수를 다르게 쓰기도 한다.

본래 글자를 대체하는 것이므로 받침 유무에 따른 조사도 숨김표가 있든 없든 그대로 쓰는 편이지만, 이 역시 바꿔서 숨김의 목적을 강화할 때가 있다.

5. 부호의 명칭

이때 사용되는 부호 중 ‘’는 '동그라미'표, '×'는 '엑스표', '가위표' 또는 '가새표'라고 한다. 해당 기호의 문서에서 보듯 각 기호들은 숨김표 이외의 목적으로도 쓰이고, 각 기호 자체의 이름이 그러하다는 것이다. 즉, ×가 "A × B" 같은 식으로 쓰일 때에는 가위표일 뿐 숨김표는 아니다.

한국어 속어로는 '삐' 또는 '삐리리'라고 부르는데, 이는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방송에서 복자를 읽을 때 특유의 '삐~' 하는 기계음이나 음소거 처리로 소음 검열을 한 것에서 유래한다.

일본어로는 'ちょめちょめ(쵸메쵸메)'라고도 부르며, 일본의 연예인이 말한 것이 유행어가 된 것이 유래라고 한다.

6. 숨김표로 인한 표현

위에서 다루었듯 한국에서는 비속어의 숨김표로 ×를 사용하기 때문에 반대로 ×에 비속어적인 의미가 담기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졸지에 다른 ×표 용법이나 닮은꼴 문자X가 쓰인 것들까지 오해를 사는 경우가 있다.

7. 다른 숨김 방법

8. 여담



[1] 리눅스에서는 비밀번호 글자 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숨김표조차 뜨지 않는다.[2] 다만 □은 빠짐표로 많이 쓰이기 때문에 빠짐표가 쓰이는 상황(역사 문헌 등)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3] 이 때문에 초성을 맞추는 초성퀴즈가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2 (이전 역사)
문서의 r8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