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가 있는 문장 부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배경 음영: 한글 맞춤법 부록에 수록되지 않은 문장 부호 | |
동아시아 (CJK) 문장 부호 |
1. 개요
— |
MacOS에서는 [Option]+[Shift]+ [-]로 입력할 수 있다.
출판물에서는 em dash(—)[2]를 쓰며 TeX에서 하이픈을 -로, en dash를 \-\-로, em dash를 \-\-\-로 쓰기 때문에 그 영향을 받아 인터넷 상에서 따로 표기 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하이픈 여러 개를 쓰는 방식으로 대체 하기도 한다. Microsoft 365에선 \-\-로 삽입할수 있다.[3]
유니코드에서 en dash(–)는 U+2013, em dash(—)는 U+2014이다.
이것이 2개, 3개인 것도 있는데, 각각 '⸺', '⸻'이며 유니코드는 U+2E3A, U+2E3B이다.
2. 용법
2.1. 한글 맞춤법 규정
다음은 2017년 3월 28일에 개정된 한글 맞춤법에 따른 용례이다.줄표는 기본적으로 제목에 붙어있는 부제목용으로 사용되며, 삽입구를 표시하는 쉼표를 대신해서 사용될 수 있다.
- 제목 다음에 표시하는 부제목의 앞뒤에 쓴다. 다만 뒤에 있는 줄표는 때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4]
- ‘환경 보호 ― 숲 가꾸기 ―’라는 제목으로 글짓기를 했다.
- 김 교수는 ‘풍성한 언어생활 ― 표준어와 방언’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할 예정이다.
- 기본적으로 줄표의 앞뒤를 띄어 쓰는 게 원칙이나, 붙여 쓰기도 허용한다.
- 이번 토론회의 제목은 ‘역사 바로잡기―근대의 설정―’이다.
- [쉼표]문장 중간의 삽입구에서 쉼표나 소괄호 대신에 쓰일 수 있다.
- 나는, 솔직히 말하면, 그 말이 별로 탐탁지 않아.
→ 나는 ― 솔직히 말하면 ― 그 말이 별로 탐탁지 않아. - [쉼표]그 삽입구 안에 또 다른 쉼표가 있다면 쉼표 대신 줄표를 쓴다.
- 이건 내 것이니까, 아니, 내가 처음 발견한 것이니까, 절대로 양보할 수 없다.
→ 이건 내 것이니까 ― 아니, 내가 처음 발견한 것이니까 ― 절대로 양보할 수 없다.
2.2. 서구권에서의 사용
- em dash의 경우, 영어에서 삽입의 용법으로 쓰여, 영어에서는 줄표가 사용 된 구절은 앞뒤가 컴마로 이루어진 관계구, 절과 크게 다를 바 없다. 혹은 콜론을 대신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어느 쪽이든, 단순 컴마와 콜론보다 극적이고 친근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학술 논문보다는 교양서나 소설에서 자주 사용된다.
- Complete switch-over to digital radio is very important—though some conservative radio listeners may oppose it—since digital convergence is crucial in the media field.
디지털 컨버전스[7]가 미디어 분야에서 중대사항이 된 이래로, 디지털 라디오로의 완전한 전환은—비록 몇몇 보수적인 라디오 청자들이 반박할지도 모르겠지만—굉장히 중요하다. - 또한 지명과 지명을 연달아 이을 때도 사용된다.
2.3. 그 외의 용법
- 인용문의 출처를 표시 할 때, 그리고 머뭇거림이나 말의 끊어짐, 여운, 강조, 호흡, 리듬감을 표현 할 때에도 쓰인다. 아래의 예와 같이, 특히 나스체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부호기도 하다.
- "여자는 죽이고 남자는 겁탈했소." ―케이건 드라카
- 아아───── 오늘 밤은 이렇게나 달이, 아름─────답다─────[8]
- 노인은 이제 원장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데 무엇 때문에 그는 이 섬에서 아무것도 이루어낼 수가 없으며, 아무것도 이루어냄이 없이 섬을 떠나려는 그를 모른 척하고만 있는 것인가―.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 두 가지 이상의 어휘가 합쳐진 단어를 원래 어휘로 병기할 때 나머지 종류의 어휘를 줄여 쓰기위해 사용할 수 있다.
- 순항 미사일(巡航─)
- 제삿밥(祭祀─)
- 소설에서 마음 속의 생각을 나타낼 때 사용 하기도 한다. 예) ─아마도 나는─
3. 한국어 화자들의 읽는 법
발화시 다음과 같이 한다.- 줄표의 제대로된 용법, 예컨대 "풍성한 언어생활 ― 표준어와 방언"의 경우 줄표 부분에서 잠시 뜸을 들이는 식으로 표현한다.
- 한편, 숫자와 숫자 사이에 쓰인 가지번호에서의 붙임표를 읽을 때 일본어 ダッシュ(닷슈) 또는 ダーシ(다시)의 영향을 받아 보통 '다시'라고 읽기도 한다.
이는 본 문서의 줄표(dash)와는 무관하다.dash를 일본에서 읽은 게 ダッシュ다. 과거 한국 식자들도 ダッシュ가 dash라는 것 정도는 알고 있었을 것이고, 시간이 흐르며 현대 한국에서 '다시'라는 일본식 발음에서 'dash'를 떠올리지 못하게 된 사람들이 늘어났으나, 여전히 '다시'의 원본이 dash임을 아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버스 번호, 계좌 번호 등에 사용 된다.[9] 따라서 '다시'가 줄표인지 잘 몰라서 다시하자는 의미로 오해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히 발생하기도 한다.예시 국립국어원의 입장
4. 여담
- 한국에선 프라임 (′) 기호를 읽을 때 다시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는 프라임이라 부르는 게 맞으며, 대시는 줄표를 가리키는 게 맞다. 다만, 영국에서 과거에 프라임을 대시라고 읽는 경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영어권 포럼에 따르면, 이는 Oxford English Dictionary VIII (1970), Longm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1985)와 같은 사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이 영향인지 프라임을 대시로 읽는 경우는 인도나 호주 영어에서도 발견된다고. 한국도 이에 영향을 받아 프라임을 대시로 읽은 것으로 보인다.
- 한국에서 작품의 부제목을 표기 할 때 줄표를 쓰는 것이 표준임에도, 쌍점(만화, 영화 등)과 괄호(음악계)에 비해 사용률이 매우 낮다.
[1] PageDown 2회 → 5.[2] em 은 M의 폭을 뜻하며 en은 N의 폭을 뜻한다. 폰트에 따라 그 폭이 문자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는 있다.[3] 이것 외에도 화살표도 가능한데 \=\=\>로 가능하다.[4] 참고로 일본어에서는 물결표를 쓰기도 한다.[쉼표] 쉼표항목에 나와있는 내용[쉼표] [7] 한 기기에 모든 정보통신기술을 묶은 형태의 융합 상품을 의미한다.[8] 이 문자는 줄표가 아닌 Box Drawings Light Horizontal(U+2500)이다.[9] 예시로 지하철 타는 문 위치를 말 할 때 보통 3-4로 와 이런식으로 할 때 사용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