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21:08:13

Ϝ(x)


정수론
Number Theor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공리
페아노 공리계 · 정렬 원리 · 수학적 귀납법 · 아르키메데스 성질
산술
나눗셈 약수·배수 배수 · 약수(소인수) · 소인수분해(목록 · 알고리즘) · 공배수 · 공약수 · 최소공배수 · 최대공약수
약수들의 합에 따른 수의 분류 완전수 · 부족수 · 과잉수 · 친화수 · 사교수 · 혼약수 · 반완전수 · 불가촉 수 · 괴짜수
정리 베주 항등식 · 산술의 기본정리 · 나눗셈 정리
기타 유클리드 호제법 · 서로소
디오판토스 방정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피타고라스 세 쌍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미해결)
모듈러 연산
모듈러 역원 · 2차 잉여 · 기약잉여계 · 완전잉여계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 합동식 · 페르마의 소정리 · 오일러 정리 · 윌슨의 정리
소수론
수의 분류 소수 · 합성수 · 메르센 소수 · 쌍둥이 소수(사촌 소수 · 섹시 소수) · 페르마 소수 · 레퓨닛 수
분야 대수적 정수론(국소체) · 해석적 정수론
산술함수 뫼비우스 함수 · 소수 계량 함수 · 소인수 계량 함수 · 약수 함수 · 오일러 파이 함수 · 폰 망골트 함수 · 체비쇼프 함수 · 소수생성다항식
정리 그린 타오 정리 · 페르마의 두 제곱수 정리 · 디리클레 정리 · 소피 제르맹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골드바흐 추측(미해결)(천의 정리) · 폴리냑 추측(미해결) · 소수 정리
기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윌런스의 공식
}}}}}}}}} ||

약수의 합에 따른 자연수의 분류
Divisibility-based sets of integer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1a470><colcolor=#fff> 자기 자신과의 비교 과잉수 완전수 부족수
일부의 합 사슬 주기 1 주기 2 주기 3 이상
진약수의 합 완전수 <colbgcolor=#fff,#1c1d1f> 친화수 <colbgcolor=#ddd,#333> 사교수
비자명 진약수의 합 <colbgcolor=#000> 준완전수 혼약수 준사교수
진약수의 합의 약수 초완전수 ? ?
기타 반완전수 괴짜수 불가촉 수 }}}}}}}}}



1. 개요
1.1. 함수의 이름 표기1.2. 이용
2. 그래프

1. 개요

1.1. 함수의 이름 표기

함수의 이름은 고대 그리스 문자에서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되던 Digamma를 사용하였다.[1]

1.2. 이용

수학적으로 쓰일 일은 없는 함수이지만, 완전수와 관련된 난제들, 즉 "홀수 완전수는 존재하는가?" 와 같은 문제들과 같은 흐름을 가지고 있는 함수이다. 하지만(당연한 소리지만) 완전수는 값이 [math(2x)]가 되어야 하니 완전수는 될 수 없다.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math(Ϝ(x) = \displaystyle\sum_{d|x}^{}\dfrac 1d = 2x-1)]

대충 무슨 뜻이냐면 :
[math(x)]의 약수의 역수의 합이 [math(2x-1)]가 된다.
그리고 그 내용을 나는 [math(Ϝ(x))]에 담겠다.
정도가 되겠다.

문제 형식으로 하자면 다음과 같다:

1. 다음 함수 [math(Ϝ(x))]를 만족하는 [math(x)]의 값은?

<보기>
함수 [math(Ϝ(x))]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math(Ϝ(x) = \displaystyle\sum_{d|x}^{}\dfrac 1d = 2x-1)]

예시로 한번 숫자를 찾아보겠다.
일단 완전수인 6[2]을 예시로 하자면:
1, 2, 3, 6을 역수로 표현하였을때 각각
[math(\dfrac 11, \dfrac 12, \dfrac 13, \dfrac 16)]가 되는데, 그것들을 더하면 2가 된다.[3]
그러므로 6은 [math(x)]의 값이 될 수 없다.

2. 그래프

복소평면에서 근사적으로 확장한 결과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나타냈을때는 이렇게 짤 수 있다:[4]
복소평면 그래프 출력 코드 예시 【 펼치기 · 접기 】
#!syntax py
# Second function: F(z) = sum(1/d for d|z)
# Approximate divisor sum for complex numbers by using integer real parts

# Restrict the real part to integers for divisor calculation
real_int = np.arange(-10, 11, 1)  # Integer range for real part
imag_int = np.arange(-10, 11, 1)  # Integer range for imaginary part
real_grid, imag_grid = np.meshgrid(real_int, imag_int)
z_discrete = real_grid + 1j * imag_grid

# Function to calculate divisor sum for integers
def divisor_sum(n):
    if n == 0:  # Divisor sum not defined for 0
        return 0
    divisors = [d for d in range(1, abs(int(n)) + 1) if n % d == 0]
    return sum(1 / d for d in divisors)

# Apply the divisor sum to real parts only (as an approximation)
F_z_discrete = np.vectorize(divisor_sum)(np.real(z_discrete).astype(int))

# Plot the approximation
fig, ax = plt.subplots(figsize=(8, 6))
c = ax.contourf(real_grid, imag_grid, F_z_discrete, levels=50, cmap='inferno')
fig.colorbar(c, ax=ax)
ax.set_title("Approximation of F(z) = sum(1/d for d|z) using Re(z)")
ax.set_xlabel("Re(z)")
ax.set_ylabel("Im(z)")
plt.show()


[1] 고대 그리스어에서 쓰이던 문자로, 특수한 경우에서만 사용되었다. '6'을 뜻한다.[2] 6은 진약수가 1, 2, 3이고, 그것을들 더하였을때 6이 나오므로 완전수가 맞다.[3] ([math(\dfrac {12}{6})])[4] 약수에 기반한 합으로 정의되어 있어서 이를 복소수 영역으로 확장하려면 추가적인 해석이 필요하기 때문에 완벽한 결과가 나오지 못할 수 있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