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K 홍백가합전 토리(トリ)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 <tablealign=center><tablewidth=90> 하얀색 칸 | }}} : 오토리(大トリ) }}} | ||||||
<rowcolor=#FFF> 연도 | 회차 | 紅組 | 白組 | ||||||
<rowcolor=#FFF> 가수 | 곡 | 가수 | 곡 | ||||||
<colbgcolor=#FDF5E7,#333> 1951년 | <colbgcolor=#FDF5E7,#333> 쇼와 26년 | <colbgcolor=#FDF5E7,#333> | |||||||
1952년 | 쇼와 27년 | ||||||||
1953년 1월 | 쇼와 28년 | ||||||||
1953년 12월 | 쇼와 28년 | ||||||||
1954년 | 쇼와 29년 | ||||||||
1955년 | 쇼와 30년 | ||||||||
1956년 | 쇼와 31년 | ||||||||
1957년 | 쇼와 32년 | ||||||||
1958년 | 쇼와 33년 | ||||||||
1959년 | 쇼와 34년 | ||||||||
1960년 | 쇼와 35년 | ||||||||
1961년 | 쇼와 36년 | ||||||||
1962년 | 쇼와 37년 | ||||||||
1963년 | 쇼와 38년 | ||||||||
1964년 | 쇼와 39년 | ||||||||
1965년 | 쇼와 40년 | ||||||||
1966년 | 쇼와 41년 | ||||||||
1967년 | 쇼와 42년 | ||||||||
1968년 | 쇼와 43년 | ||||||||
1969년 | 쇼와 44년 | ||||||||
1970년 | 쇼와 45년 | ||||||||
1971년 | 쇼와 46년 | ||||||||
1972년 | 쇼와 47년 | ||||||||
1973년 | 쇼와 48년 | ||||||||
1974년 | 쇼와 49년 | ||||||||
1975년 | 쇼와 50년 | ||||||||
1976년 | 쇼와 51년 | ||||||||
1977년 | 쇼와 52년 | ||||||||
1978년 | 쇼와 53년 | ||||||||
1979년 | 쇼와 54년 | ||||||||
1980년 | 쇼와 55년 | ||||||||
1981년 | 쇼와 56년 | ||||||||
1982년 | 쇼와 57년 | ||||||||
1983년 | 쇼와 58년 | ||||||||
1984년 | 쇼와 59년 | ||||||||
1985년 | 쇼와 60년 | ||||||||
1986년 | 쇼와 61년 | ||||||||
1987년 | 쇼와 62년 | ||||||||
1988년 | 쇼와 63년 | ||||||||
1989년 | 헤이세이 원년 | ||||||||
1990년 | 헤이세이 2년 | ||||||||
1991년 | 헤이세이 3년 | ||||||||
1992년 | 헤이세이 4년 | 赤とんぼ〜どこかに帰ろう | |||||||
1993년 | 헤이세이 5년 | ||||||||
1994년 | 헤이세이 6년 | ||||||||
1995년 | 헤이세이 7년 | ||||||||
1996년 | 헤이세이 8년 | ||||||||
1997년 | 헤이세이 9년 | ||||||||
1998년 | 헤이세이 10년 | ||||||||
1999년 | 헤이세이 11년 | ||||||||
2000년 | 헤이세이 12년 | ||||||||
2001년 | 헤이세이 13년 | ||||||||
2002년 | 헤이세이 14년 | ||||||||
2003년 | 헤이세이 15년 | ||||||||
2004년 | 헤이세이 16년 | ||||||||
2005년 | 헤이세이 17년 | ||||||||
2006년 | 헤이세이 18년 | ||||||||
2007년 | 헤이세이 19년 | ||||||||
2008년 | 헤이세이 20년 | ||||||||
2009년 | 헤이세이 21년 | その先へ 〜紅白スペシャルヴァージョン〜 | |||||||
2010년 | 헤이세이 22년 | 生きてゆくのです♡ feat. ザ紅白スペシャルブラスバンド | This is love '10 SPメドレー | ||||||
2011년 | 헤이세이 23년 | SMAP AID 紅白SP | |||||||
2012년 | 헤이세이 24년 | SMAP 2012'SP | |||||||
2013년 | 헤이세이 25년 | Joymap!! | |||||||
2014년 | 헤이세이 26년 | 2014 Thanks Medley | |||||||
2015년 | 헤이세이 27년 | ||||||||
2016년 | 헤이세이 28년 | 嵐×紅白スペシャルメドレー | |||||||
2017년 | 헤이세이 29년 | ||||||||
2018년 | 헤이세이 30년 | 嵐×紅白スペシャルメドレー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특별기획 | ||||||||
<rowcolor=#FFF> 가수 | 곡 | ||||||||
}}} | |||||||||
2019년 | 레이와 원년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アイノカタチメドレー | ||||||
}}} | 嵐×紅白スペシャルメドレー | ||||||||
2020년 | 레이와 2년 | ||||||||
2021년 | 레이와 3년 | 明日へ 2021 | 道標 〜紅白2021ver.〜 | ||||||
2022년 | 레이와 4년 | ||||||||
2023년 | 레이와 5년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紅白スペシャル2023 | ||||||
}}} | 「HELLO〜想望」 紅白スペシャルメドレー | ||||||||
2024년 | 레이와 6년 | ||||||||
}}}}}}}}} |
ギンギラギンにさりげなく[]긴기라긴니 사리게나쿠라고 읽는다.] 화려하지만 자연스럽게 | |
네 번째 싱글 | |
<colbgcolor=#ffe198> 발매일 | <colbgcolor=#FFFFFF> 1981년 9월 30일 |
레이블 | RCA 레코드 |
작사, 작곡 | 다테 아유미[2], 츠츠미 쿄헤이 |
판매량 | 816,310장 |
최고 순위[3] | 1위 |
연간 순위[4] | 21위(1981년), 37위(1982년) |
1. 개요
1981년 9월 30일에 발매된 콘도 마사히코의 4번째 싱글이다. B면은 <사랑의 NON STOP 투어링 로드>.2. 상세
1980년대 일본에서[5] 이름을 날렸던 쟈니스 소속 아이돌 가수 콘도 마사히코의 4번째 싱글이자 그를 대표하는 곡이다. 사실 콘도 마사히코가 그렇게 가창력이 뛰어난 가수는 아니지만[6], 당시 컨셉을 잘 잡아서 일본에서 80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는 등 큰 인기를 끌었다.일본 가요 청취가 터부시되던 당시 한국에서도 이 노래를 접한[7] 젊은층들이 암암리에 듣고 다녔다고 한다.# 원곡은 1981년 발매되었지만 한국에서는 대략 1983년 부산에 상륙, 1984년에는 어찌어찌해서 서울에서 유행한 댄스곡으로 소위 로라장 음악 중 하나였다.[8]
물론 당시 일본 대중음악 청취는 불법이었기 때문에, 원곡은 TV, 라디오 등 방송에선 전혀 나오지 않았지만, 길거리 리어카 음반판매상을 통해 불법복제(...)한 카세트 테이프로 음성적으로 유통되어 디스코 클럽이나 롤러장에서 많이 들을 수 있었다. 반대로 말하면 그 외 장소에선 들을 수 없었기에 또 엄청 대중적이라고 보긴 어렵다.[9]
아무튼 그 시절 한국 인기에 관해 2020년대 기사에서 꾸준히 언급될 정도로 임팩트를 남겼긴 하다. # # #
아래 영상 썸네일에서도 볼 수 있는 콘도 마사히코의 점퍼와 헤어밴드 패션 역시 인기를 끌었다.
3. 여담
- 1984년 5월 함윤상이 발표한 '빨주노초파남보'라는 곡이 이 곡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있다. 다만 해당 영상 반론 측에선 편곡 리듬이 비슷할 뿐 멜로디가 다르기 때문에 표절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 룰라의 표절곡인[10] 천상유애가 베낀 곡 중 하나이다. 정확히는 콘도 마사히코와 같은 쟈니스 그룹 "닌자"의 "오마츠리 닌자(お祭り 忍者)"와 이 곡 "긴기라긴니 사리게나쿠"를 섞어서 만든 것이 천상유애.[11] 김부용의 히트곡인 '풍요 속 빈곤'과 비슷한 케이스라고 보면 된다.
- 2024년 4월 9일에 방송된 MBN의 한일 음악대결 컨셉의 예능 프로그램인 한일가왕전 2회에서 일본 측의 참가자인 스미다 아이코[12]가 1:1 라이벌전에서 커버하였다. 이때 김다현이 선곡한 박양숙의 곡인 어부의 노래와 맞붙었으나 아쉽게도 패배하고 말았는데, 본방이후 단독 영상의 조회수가 무려 200만에 달하는 등 스미다 아이코가 이겼어야 했다는 반응이 압도적이다.[13] 심지어 성원에 힘입어 오피셜 채널에 한시간 버전도 업로드되는 등 기염을 토하며 떡상을 이어가고 있다. 2024년 10월 20일자로 700만회를 돌파하였다.
- 유튜브에서 공식채널에서조차도 제목을 긴기라'기'니 사리게나쿠라고 적고 있는데, 긴기라'긴'니 사리게나쿠가 옳다.
4. 음원 및 가사
무대 영상 |
|
[] [2] 본명은 조충래(趙忠來)로 1950년 2월 9일에 야마구치현에서 태어나 2023년 11월 24일에 죽었으며 소설 「기관차 선생님」으로 유명하다.[3] 오리콘, 더 베스트 텐 기준.[4] 오리콘 기준.[5] 참고로 일본 거품 경제는 80년대 후반이지 초반이 아니다.[6] 좋게 말해서 그런거고, 안티들에겐 음치라고 까이는 수준이다.[7] 지역상 주로 일본과 가까운 부산, 마산같은 경남 지역에서 접하기 쉬운 편이었다.[8] 김준호가 기막힌 외출 시즌1 5화에서 롤라장을 회상할 때 부를 정도였다.[9] 이 노래 외 80년대 한국에서 유행한 일본 노래로 블루라이트 요코하마, 고이비또요, 푸른 산호초 등이 있었다.[10] 룰라는 가수였고 작곡가는 따로 있다.[11] 이 점이 잘 안 알려져서 천상유애가 오마쓰리 닌자만 표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악의 신에서 이상민이 직접 천상유애 사건을 거론하는데, 부르는 멜로디는 긴기라긴니 사리게나쿠의 멜로디인데 자막으로는 "오마츠리 닌자"라고 나왔다.[12] 공교롭게도 작사가인 조충래(趙忠來)와 동향이다.[13] 해당 무대 영상이 화제가 된 후 MBN Entertainment 채널에 해당 무대의 앞뒤 방송분을 포함한 영상이 올라왔는데, 썸네일에 아예 '대중픽으로 미친 떡상중' 이라고 공식 인정(?)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