兒 아이 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儿,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児 | |||||||
일본어 음독 | ジ, (ニ) | ||||||
일본어 훈독 | こ, ちご, やや | ||||||
儿 | |||||||
표준 중국어 | ér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兒는 '아이 아'라는 한자로, '어린아이'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선 U+5152에 배정되어 있다.兒는 상형자에 속한다. 이 한자는 네이버 국어사전에 따르면 이는 젖니와 머리의 아직 열려 있는 혈을 표현한 모양이라고 한다.
童과 같은 '아이'라는 뜻을 가진 한자이다.
대륙 표준 중국어에서 글자 뒤에 붙어 앞 글자의 음절이 er로 끝나게 할 때가 있다. 이를 얼화(兒化)라고 한다.또한 这儿(여기), 那儿(거기)의 예처럼 장소의 뜻을 첨가한다.
대륙과 달리 대만 표준중국어에서는 얼화를 선호하지 않는다. 앞서 말했던 这儿, 那儿의 경우도 대만에서는 這裡, 那裡라고 많이 말하며 이쪽이 표준이다.
3. 용례
3.1. 단어
- 건아(健兒)
- 고아(孤兒)
- 고아원(孤兒院)
- 기형아(畸形兒)
- 남아(男兒)
- 문제아(問題兒)
- 미숙아(未熟兒)
- 미아(迷兒)
- 미아보호소(迷兒保護所)
- 부랑아(浮浪兒)
- 부적응아(不適應兒)
- 불량아(不良兒)
- 불운아(不運兒)
- 사생아(私生兒)
- 산아(産兒)
- 산아제한(産兒制限), 산아조절(産兒調節), 조산아(助産兒)
- 소아(小兒)
- 신생아(新生兒)
- 쌍생아(雙生兒)
- 아녀자(兒女子)
- 아동(兒童)
- 결식아동(缺食兒童), 아동권리보장원(兒童權利保障院), 아동노동(兒童勞動), 아동문학(兒童文學), 아동방(兒童房), 아동복(兒童服), 아동복지법(兒童福祉法), 아동심리학(兒童心理學), 아동학(兒童學), 아동 학대(兒童 虐待)
- 아명(兒名)
- 아해(兒孩)
- 여아(女兒)
- 영아(嬰兒)
- 우량아(優良兒)
- 유랑아(流浪兒)
- 유아(乳兒/幼兒)
- 유아교육(幼兒敎育), 유아기(幼兒期), 유아원(幼兒園)
- 육아(育兒)
- 입양아(入養兒)
- 저능아(低能兒)
- 지진아(遲進兒)
- 탁아소(託兒所)
- 태아(胎兒)
- 패륜아(悖倫兒)
- 풍운아(風雲兒)
- 행운아(幸運兒)
3.2. 고사성어/숙어
- 남아수독오거서(男兒須讀五車書) 남자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
- 돈아(豚兒) 자신의 아이를 낮춰 부르는 말
3.3. 인명
- 견적아(甄翟兒)
- 김연아(金姸兒)
- 뇌약아(雷弱兒)
- 당새아(唐賽兒)
- 문은아(文恩兒)
- 백아(白兒)[1]
- 보오르추(孛斡兒出)
- 손아섭(孫兒葉)[2] - 葉(잎 엽)을 보고 의아해할 수 있는데, 葉은 지명이나 인명에 사용될 경우 '섭'으로 읽기도 한다. '쇠 금/성 김'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된다.
- 오윤아(吳允兒)
- 오아린(吳兒璘)
- 조보아(曺寶兒)[3]
- 카부토 코우지(兜 甲児)
- 코다마 요시오(児玉 誉士夫)
- 코다마 유스케(児玉 裕輔)
- 코마 엔지(古間 円児)
- 키리시마 에이지로(切島 鋭児郎)
- 후지카와 큐지(藤川 球児)
- 하리마 켄지(播磨 拳児)
- 한유아(韓柔兒)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3.7. 표준 중국어에서
베이징 방언에서 단어 끝부분에 r 발음이 첨가되는 현상이 있는데, 이를 '얼화'(儿化)라고 부른다. 발음만 들어보면 거의 영어식 er처럼 비슷하게 들리지만 다소 차이가 있는 편이다. 얼화는 받침 ㄹ과 같은 권설음이고 영어식 er은 치경음에 가깝다. 실제로 받침 ㄹ이 중국 현지인에겐 얼화로 들리는데 서울 발음을 shouer로 표기하는 것이 그 예.[4]이 얼화를 兒의 간체자인 儿으로 표기하며, 마지막 음절의 끝 성모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얼화 규칙이 달라진다. 얼화 규칙
고유명사에서는 얼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외래어에도 이 얼화를 사용하지 않는다.[5]
얼화는 관화 전체의 특징이라기보다는 관화의 일부인 베이징 방언(북경어)의 특징이라서, 관화 사용 지역이라도 지역에 따라 얼화의 출현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같은 관화 사용자라도 베이징 사람들에게는 얼화가 매우 빈번하지만, 대만 사람들에게는 얼화가 매우 드물거나 없다.
4. 유의자
5. 상대자
- 丈(어른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