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22:57:06

가면라이더 기츠(가면라이더)/폼/기본 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가면라이더 기츠(가면라이더)/폼
파일:가기츠 로고.png
가면라이더 기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1f2023> 장착자 <colbgcolor=#fff,#191919> 우키요 에이스
기본 폼 (매그넘 폼 · 부스트 폼) · 중간 폼 · 최종 폼 · 궁극 폼 · 레전드 라이더
신체 부위
벨트 디자이어 드라이버
확장 무장 매그넘 슈터 40X · 부스트라이커 · 기츠 버스터 QB9
관련 문서 가면라이더 X 기츠 · 가면라이더 둠즈 기츠
}}}}}}}}} ||

1. 개요2. 기본 폼 - 매그넘부스트 폼3. 대형
3.1. 좀비 폼3.2. 닌자 폼3.3. 몬스터 폼3.4. 파워드 빌더 폼
4. 소형
4.1. 암드 해머4.2. 암드 워터4.3. 암드 애로우4.4. 암드 실드4.5. 암드 클로4.6. 암드 프로펠러

1. 개요

가면라이더 기츠1호 라이더가면라이더 기츠의 폼 체인지 중 대형 & 소형 레이즈 버클을 장착한 형태를 서술하는 문서.

2. 기본 폼 - 매그넘부스트 폼

<colcolor=black,#ddd> 레이와 가면라이더의 1호 라이더 기본 폼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레이와 1기
파일:가제로원 로고.png 가면라이더 제로원
라이징 호퍼
파일:가면라이더 세이버 로고.png 가면라이더 세이버
브레이브 드래곤
파일:revice logo.png 가면라이더 리바이 & 바이스
렉스 게놈
파일:가기츠 로고.png 가면라이더 기츠
매그넘부스트 폼
파일:갓챠드 마크.png 가면라이더 갓챠드
스팀호퍼
파일:가면라이더 가브 로고.png 가면라이더 가브
팝핀구미 폼
← 헤이세이 1호 라이더 기본 폼 }}}}}}

파일:매그넘부스트기츠.png 파일:기츠 부스트매그넘 폼.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설정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매그넘부스트 폼 설정화.png 파일:부스트매그넘 폼 설정화.png }}}}}}}}}
매그넘부스트 폼 부스트매그넘 폼
<colcolor=#000><colbgcolor=#D9D9D9> 신장 205.2cm
체중 88.7kg
펀치력 2.4t / 23.4t
킥력 58.5t / 5.8t
도약력 한 번에 78m / 15.2m
주력 100m 2.7초 / 7.5초
첫 등장[1] 극장판 가면라이더 리바이스 배틀 패밀리아
여명 F: 라이더로의 초대장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1)

디자이어 드라이버매그넘 & 부스트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기츠의 기본 폼. 두 버클 중앙에 이어지는 금색 링과 특별 변신음을 통해서도, 매그넘부스트가 알맞는 조합임이 나타난다.

파일:기츠매그넘부스트.gif

기츠와 궁합이 좋은 매그넘 버클, 에이스가 특히 능숙하게 다루는 부스트 버클을 함께 활용해 원거리는 매그넘으로 커버하고 부스트로 출력이 강화되어 기본 폼임에도 상당히 강력하다. 수치 상의 스펙은 부스트 버클이 있는 쪽에 몰아넣었는지 부스트 버클이 있는 하반신의 킥력은 매우 높은 반면, 원래도 근거리에 특화된 편은 아닌 매그넘 버클 쪽의 펀치력은 웬만한 헤이세이 1기 1호 라이더보다도 훨씬 낮은 2톤이다.

공식적으로는 기본 폼이지만, 부스트 버클 특유의 희소성 때문에[2] 작중 등장 횟수는 겨우 12번 밖에 안 된다. 레이와 1호 라이더의 기본 폼 중에서는 최저 기록. 심지어 사용할 기회가 생기는 순간에도 따로따로 사용하는 일이 더 많다. 그래도 여러 매체에서는 항상 매그넘부스트로 등장하여 존재감이 없진 않지만, 본편에서는 사실상 매그넘 폼이나 부스트 폼이 기본 폼으로 보일 정도로 출현이 정말 적다. 그나마 나올 때마다 눈에 띄는 활약은 해주는 게 위안.[3]

영화 가면라이더 기츠 4명의 에이스와 검은 여우에서는 미등장. 제로원의 라이징 호퍼와 함께 가면라이더 시리즈 중 이례적인 케이스로 기본 폼이 여름 극장판에 등장하지 않았다. 본 영화에서의 비중은 원네스 카드의 일러스트에 간접 출연한 게 끝(...).

전체적인 활약상은 다음과 같다.

매그넘부스트 폼의 활약상 [펼치기/접기]
* 리바이스 극장판 - 선행등장. 기프테리언 투 2마리를 가볍게 쓰러뜨렸다.
  • 1화(여명 시즌) - 부스트 폼에서 부스트매그넘 폼으로 체인지하며 첫 등장했고 리볼브 온으로 매그넘부스트 폼이 등장했다.[4] 여명 시즌의 최종 보스인 슬러그 포트리스 쟈마토를 쓰러트렸다.
  • 5화(해후 시즌) - 케이와에게 매그넘과 부스트 버클을 양도받아 등장. 나고와 함께 트럼프 쟈마토를 쓰러트렸다.
  • 6화(해후 시즌) - 미치나가의 회상을 통해 잠깐 등장.
  • 15화(모략 시즌) - 에이스의 복귀와 동시에 오랜만에 재등장. 부스트 폼을 하체로 리볼브 온 한 상태에서 매그넘 버클을 장착해 변신해 대량의 쟈마토를 일소했다.
  • 무비 배틀로얄 - 초반에는 부스트가 당첨된 피버 슬롯 버클을 아래로 리볼브 온 하고 상체에 매그넘 버클을 장착해서 변신. 이후 시커와의 대결 장면에선 제대로 부스트 버클이 장착되었다.
  • 21화(괴리 시즌) - 택배원 쟈마토 일부를 섬멸. 이후 부스트 폼으로 체인지했다.[5]
  • 24화(괴리 시즌 스폐셜) - 매그넘 폼으로 싸우다 진이 부스트 버클을 지원해줘서 부스트매그넘 폼으로 재등장. 일반 쟈마토들은 물론이고 쟈마토 라이더조차 뛰어난 격투술과 다리에 위치한 아머드 건을 활용해 일방적으로 몰아붙이다 매그넘부스트 폼으로 리볼브 온했다.
  • 32화(통곡 시즌) - 돌아온 진에게 부스트 버클을 받고 버파와의 대결에서 변신. 작중 처음으로 미변신 상태에서 매그넘부스트 폼으로 변신했으며 버파 좀비 폼과 호각으로 전투하다가 필살기를 정통으로 맞아 작중 최초로 변신해제 당한다.[6]
  • 33화 ~ 34화 (모정 시즌) - 드디어 3화 연속 출연을 달성하였다. 부활한 에이스가 평소의 변신 포즈를 생략하고 변신하면서 등장한 이후 치라미가 변신한 글레어 2를 압도한다.
  • 49화 (여명 시즌) - 육신을 벗고 완전한 창세의 신으로 거듭난 우키요 에이스가 변신한 상태로 재등장. 변신음이 약간 변화해 뒤에 'FOR DESIRE'라는 구호가 붙었다. 에이스가 신이 된 영향인지 리가드 오메가와 호각 이상으로 싸웠고 매그넘 슈터 40X부스트라이커를 동시에 사용했다.
  • 최강 케미 갓챠 대작전 - 영화 초반부 미변신 상태에서 변신. 얼마 안 가 매그넘몬스터 폼으로 체인지. 곧 바로 다시 매그넘부스트로 돌아온다. 중반부에 제그드라실을 상대할 때 등장. 제그드라실의 공간 조작 능력을 보고 레이저부스트 폼으로 체인지하고, 후반부에 기츠 킬러를 상대할 때 매그넘부스트 폼으로 변신했지만 기츠 킬러가 넓은 곳으로 이동하자 부스트 폼으로 체인지하여 부스트라이커로 추격한다.[7] 부스트 폼으로 싸우는 도중에 한 번 더 매그넘부스트 폼으로 변신하고 갓챠드가 스타 갓챠드로 변신한 후에 기츠 나인으로 변신하고 등장 종료, 기츠가 나온 영상 매체 중 가장 오래 나왔다.

여담으로 배우가 변신한 장면 보다 슈트 입은 슈트액터가 변신한 횟수가 더 많다.[8][9]

2.1. 매그넘 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기츠(가면라이더)/폼/매그넘 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부스트 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기츠(가면라이더)/폼/부스트 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대형

3.1. 좀비 폼

파일:기츠좀비상반신.png 파일:가면라이더 기츠 좀비 폼 (하반신).png
상반신 하반신
<colbgcolor=#842bd7><colcolor=#000> 신장 205.2cm
체중 92kg
펀치력 2.8t
킥력 6t
도약력 한 번에 6m
주력 100m 8.2초
첫 등장 해후 II: 좀비 사냥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3)

디자이어 드라이버좀비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

버클 장착시 ZOMBIE 아이콘이 떠오르며, 어웨이킹 키를 조작하면 드라이버에서 맹독인 poi-zom이 흘러나오고 poi-zom이 아이콘을 녹여버린다. 이후 좀비 폼의 아머로 재구성된 뒤 기츠에게 장착되어 변신이 완료된다.

3.2. 닌자 폼

파일:기츠닌자상반신.png 파일:기츠닌자 하체.png
상반신 하반신
<colbgcolor=#7aaf4d><colcolor=#000> 신장 205.2cm
체중 81.6kg
펀치력 2.7t
킥력 5.8t
도약력 한 번에 20.2m
주력 100m 5.3초
첫 등장 해후 VI: 최종보스와 깡통차기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7)

디자이어 드라이버닌자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

버클 장착시 NINJA 아이콘이 떠오르며 쿠나이 스타터를 조작하면 드라이버에서 수리검 5개가 튀어나와 N-I-N-J-A순으로 아이콘을 파괴한다. 이후 거대한 수리검이 순간이동마냥 연기를 품으면서 사라지고 닌자 폼의 아머로 변형되면서 기츠에게 장착되어 변신이 완료된다.

3.3. 몬스터 폼

파일:기츠 몬스터 폼.png 파일:기츠 몬스터 폼 하체 설정화.png
상반신 하반신[A]
<colbgcolor=#2244dd><colcolor=#000> 신장 205.2cm
체중 88.8kg
펀치력 8.8t
킥력 18.5t
도약력 한 번에 6.5m
주력 100m 7.7초
첫 등장 해후 F: Wake up! 몬스터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9)

디자이어 드라이버몬스터 레이즈 버클 혹은 피버 슬롯 레이즈 버클(=몬스터)을 장착해 변신한 폼.

버클 장착시 MONSTER 아이콘이 떠오르며, 라우트 클랩 멧을 조작하면 드라이버에서 주먹 형태의 에너지체가 2개 튀어나와 위 아래로 아이콘을 내려찍어 파괴한다. 이후 몬스터 폼의 아머로 변형된 뒤 기츠에게 장착되어 변신이 완료된다.

3.4. 파워드 빌더 폼

파일:기츠 파워드빌더.png 파일:기츠 파워드빌더 폼 하체 설정화.png
상반신 하반신[A]
<colbgcolor=#FFE302><colcolor=#000> 신장 205.2cm
체중 128.6kg
펀치력 5.9t
킥력 12.2t
도약력 한 번에 4.8m
주력 100m 9초
첫 등장 괴리 II: 브라보! 쟈마볼 대결!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18)

디자이어 드라이버파워드 빌더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22]

기간트 소드는 열차전대 토큐저의 메인 1호 메카 토큐오의 건널목 검, 기간트 해머는 해적전대 고카이저의 등장 빌런 친위대원 다이란드의 자이언트 해머를 재도색, 그리고 기간트 블래스터는 가면라이더 카부토젝트루퍼의 머신건 블레이드와 기사룡전대 류소우저키시류넵튠 섀도 랩터의 쿠라야미 건을 결합 개조했다.

4. 소형

4.1. 암드 해머

파일:기츠해머.png 파일:기츠 해머(하반신 설정화).png
상반신 하반신[A]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장 205.2cm
체중 79.1kg
펀치력 1.8t
킥력 4.5t
도약력 한 번에 6m
주력 100m 7.9초
첫 등장 해후 III: 승리 조건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4)

디자이어 드라이버에 해머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 레이즈 해머를 장비한다.

4.2. 암드 워터

파일:기츠 암드 워터.png 파일:기츠 암드 워터..png
상반신 하반신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장 205.2cm
체중 79.1kg
펀치력 1.8t
킥력 4.5t
도약력 한 번에 6m
주력 100m 7.9초
첫 등장 해후 I: 보물찾기와 도적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2)

디자이어 드라이버워터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 레이즈 워터를 장비한다.

4.3. 암드 애로우

파일:기츠애로우.png 파일:기츠 애로우(하반신 설정화).png
상반신 하반신[A]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장 205.2cm
체중 79.1kg
펀치력 1.8t
킥력 4.5t
도약력 한 번에 6m
주력 100m 7.9초
첫 등장 해후 III: 승리 조건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4)
디자이어 드라이버애로우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 레이즈 애로우를 사용한다.

4.4. 암드 실드

파일:기츠실드.png 파일:기츠 실드(하반신 설정화).png
상반신 하반신[A]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장 205.2cm
체중 79.1kg
펀치력 1.8t
킥력 4.5t
도약력 한 번에 6m
주력 100m 7.9초
첫 등장 해후 II: 좀비 사냥
(가면라이더 기츠 에피소드 3)

디자이어 드라이버실드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 레이즈 실드를 장비한다.

4.5. 암드 클로[A]

파일:기츠클로.png 파일:가면라이더 기츠 암드 클로.png
상반신 하반신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장 205.2cm
체중 79.1kg
펀치력 1.8t
킥력 4.5t
도약력 한 번에 6m
주력 100m 7.9초

디자이어 드라이버클로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 레이즈 클로를 장비한다.

4.6. 암드 프로펠러

파일:기츠프로펠러.png 파일:기츠 프로펠러(하반신 설정화).png
상반신 하반신[A]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장 205.2cm
체중 79.1kg
펀치력 1.8t
킥력 4.5t
도약력 한 번에 6m
주력 100m 7.9초
첫 등장 가면라이더 THE WINTER MOVIE 갓챠드 & 기츠 최강 케미★갓챠 대작전
디자이어 드라이버프로펠러 레이즈 버클을 장착해 변신한 폼. 레이즈 프로펠러를 장비한다.



[1] 전자는 매그넘부스트 폼, 후자는 부스트매그넘 폼.[2] 드랍률도 낮고, 한 게임 당 한 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까지 있다.[3] 기본 폼임에도 불구하고 강화 폼 급의 강함이나 활약상을 가진 것은 세이버의 원더 콤보와 유사하다. 주역라이더의 타이틀 폼임에도 등장 빈도가 낮고 강화 폼 이상의 강함과 활약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오즈타토바 콤보와도 유사점이 있다. 이 쪽은 변신 아이템의 소유권 이전 문제로 변신하지 못할 때가 있다는 설정, 스토리적 유사점과 엠블렘이 새겨진 원 주변에 테두리에 금테가 둘러진다는 디자인적 유사점도 있다.[4] 리볼브 온을 하면 라이더 코어 ID도 함께 뒤집혀야 하는데 리볼브 온 직전에만 뒤집힌 모습이 보여지다가 완전히 변형된 뒤엔 원위치로 돌아왔다. 중요한 설정은 아니지만, 리볼브 온 과정에서 코어도 다시 반바퀴 더 돌아가는 모양.[5] 당시 같이 싸우던 가면라이더 로포 부스트 폼이 리볼브 온한 직후에 이쪽도 리볼브 온을 한다. 정황상 부스트 폼의 상/하반신 슈트가 각각 하나씩밖에 없다는 어른의 사정 때문인 듯.[6] 전투 시에는 부스트의 배기관이나 가속 능력 등을 쓰지 않고 매그넘 폼처럼 총격과 근접전을 병행하며 전투했다. 물론 에이스 본인은 미치나가가 갖고있는 비전 드라이버를 손에 넣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진심으로 싸운게 아니라서 애매하다.[7] 부스트 폼으로 체인지 한 이유는 아마 안전상의 문제 때문에로 보인다.[8] 에이스 배우 칸 히데요시가 변신한 횟수: 4회(32화, 33화, 최강 케미 갓챠 대작전 2회)[9] 슈트액터 나카타 유지, 카지 코타로가 변신한 횟수: 7회 (리바이스 극장판, 1화, 5화, 무비대전(피버 버클 사용), 15화, 24화, 최강 케미 갓챠 대작전)[10] 15화 주황빛의 레이저를 발사하는 바리에이션이 등장.[11] 다른 대형 버클처럼 앞에 음성이 나오는데, 좀비의 신음소리 같으면서도 GRAB! CRUSH OUT! 으로도 들리는 몬더그린이 있다.[12] 3화에서 이 기술을 시전할 때 묘비에 피격자인 가면라이더 다판 / 스미다 카나토이름이 적혀 있다.[13] 4화에서 사용. 좀비 쟈마토 수십 마리를 붙들어 나고를 도와주었다.[14] 첫 등장에서 나이트 쟈마토의 캔을 발로 찼지만 잡아버리는 바람에 실패로 넘어갔다.[15] 9화에 등장.[A] 본편 미등장.[FEVER] 피버 슬롯 레이즈 버클 장착 시.[FEVER] [19] 이전 전투에서 확인해둔 깡통의 위치를 블루 기츠 아이의 약점 표시 기능으로 재확인, 그곳을 정확하게 맞춰 나이트 쟈마토를 날려버렸다.[FEVER] [A] [22] 시커와 달리 기간트 버클 보관을 위한 기간트 컨테이너 버클은 레이즈 버클 홀더에 차고 있다.[23] 장착한 기간트 버클 / 웨폰 레이즈 버클 / 소형 버클의 이름. 버클에 따라 SWORD / HAMMER / BLASTER / SHOOTER / DUELER / BREAKER / ARMS로 음성이 달라진다.[A] [25] 트리거를 누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물이 발사되는 걸 보아 워터 레이즈 버클의 수도꼭지와 무장인 레이즈 워터의 수도꼭지는 서로 연결됐다고 추측할 수 있다.[26] 3화에서는 이것을 이용해 빈 방의 문에 레이즈 워터를 꽂아 방에 가득 물을 채우고 물이 다 채워졌을 때 무장을 빼 엄청난 양의 물로 좀비 쟈마토 다수를 익사시켰다.[A] [A] [A] [A]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31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