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01:18:13

간포생명

かんぽ生命에서 넘어옴
파일:일본우정그룹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지주회사
일본우정
<colbgcolor=#c30b38> 일본우정 일본우정부동산 | 일본우정건축 | 일본우정캐피탈 | 일본우정기업서비스 | JP디지털 | JP투웨이연락처 | 유세이 도전
일본우편 일본우편운송 | 우체국물건서비스 | JP비즈메일 | JP미디어다이렉트 | 일본우편배달 | 일본우편사무실지원 | JP커뮤니케이션스 | 일본우편유지보수 | JP손보서비스 | 세종투신 | 림벨 | 토르 홀딩스 | JP물류 | 일본우정정보기술
<bgcolor=#008c38> 유초은행 JP투신 | JP인베스트먼트 | 유초대출센터 | 일본ATM비즈니스서비스
<bgcolor=#000099> 간포생명 Kanpo System Solutions
}}}}}}}}} ||
간포생명
かんぽ生命 | JP Insurance
파일:간포생명 로고.svg
<colbgcolor=#000098><colcolor=#ffffff> 회사명 株式会社かんぽ生命保険
주식회사 간포생명보험
Japan Post Insurance Co., Ltd.
국가
[[일본|]][[틀:국기|]][[틀:국기|]]
업종 보험업
설립일 2006년 9월 1일
대표자
대표이사 사장
타니가키 쿠니오(谷垣 邦夫)
법인번호 6010001112696
시장정보 도쿄증권거래소 7181
2015년 11월 4일
자본금 5,000억 엔 (2024년 3월 31일)
종업원 수 18,427명 (2024년 3월 31일)
본사 소재지 도쿄도 치요다구 오테마치2쵸메 3-1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역사3. 논란 및 사건·사고

[clearfix]

1. 개요

일본우정그룹 산하의 보험회사. 간포는 민영화 이전 일본우정에서 취급하던 간이생명보험(簡易生命保険 / 簡易保険)상품에서 온 말인데, 약어인 간보(簡保 かんぽ)를 일본어로 읽은 말이다. 원래의 의미를 풀어서 읽어보면 간이생명보험생명보험이 되겠지만, 그런 의미로 쓴 것은 아니고 간포라는 말이 워낙 대중적으로 익숙해져서 아예 고유명사로 삼은 것이다.[1]

2. 역사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일본우정 민영화 정책에 의해 2006년 설립된 보험회사이다. 2007년 10월 1일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파일:nihonyusei1.jpg

일본우정, 유초은행, 간포생명 3사 도쿄증권거래소 상장기념식.

2015년 11월 4일 일본우정, 유초은행과 같이 도쿄증권거래소기업공개를 하여 상장되었다. 상장 이후 간포생명의 지분율은 일본우정 89.0%로 절대 다수의 지분을 일본우정이 가지고 있다. 추후 일본우정 보유분의 구주매출 형식으로 2차 IPO가 예정되어 있다. 장기적으로 66.67%, 의결권을 완전장악하고 있는 최소한의 지분(2/3)까지 내릴 예정.

3. 논란 및 사건·사고

2019년에 간포생명에서 터무니 없는 불완전판매 사건이 터졌다. 현행 간포생명은 과거 일본정부의 공적 공제였던 간이생명보험과는 별개의 법인인데, 노령층을 상대로 마치 구 간이생명보험인 것처럼 접근해 인지 능력이 없는 치매 환자에게 보험을 팔거나, 개악된 보험으로 교체해 판매하거나[2], 한술 더떠 구·신 보험을 이중으로 계약시켜 터무니 없는 납입금을 납부하게 만들었다. 이후 조사한 결과 의심되는 계약 18만 3천여건 중 12,836건의 혐의가 인정되었으며, 이 사건으로 여파로 간포생명은 영업정지 처분을 받고 공식적으로 사죄문을 올렸다. 이 사건으로 무려 4년이나 3개월 마다 금융청에 업무개선계획을 제출해야 했으며 2024년 1월에서야 공식적으로 모든 징계가 끝나고 다시 70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보험 판매가 재개되었다.

[1] 교보생명보험의 '교보'도 유래가 '대한교육보험'이지만 역시 고유명사화된 것이다.[2] 고정 납입금 상품을 갱신형으로 바꾸거나 계약 기간에 따라 납입금이 늘어나는 상품으로 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