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해양환경공단 역대 이사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해양오염방제조합 이사장 (1997~2008) | ||||||
<nopad> 문민정부 | |||||||
초대 우완식 | 2대 김선동 | 3대 이차환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4대 이동원 | 5대 박재영 | 6대 이용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해양환경관리공단 이사장 (2008~2018)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이용우 | 2대 곽인섭 | 3대 장만 | 4대 박승기 | ||||
해양환경공단 이사장 (2018~현재)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4대 박승기 | 5대 한기준 | 6대 강용석 | }}}}}}}}} |
<colcolor=#fff> 제6대 해양환경공단 이사장 강용석 姜龍錫 | |||
| |||
<colbgcolor=#00529b> 출생 | 1966년 | ||
경상북도 상주시 | |||
현직 | 해양환경공단 이사장 | ||
재임기간 | 제6대 해양환경공단 이사장 | ||
2024년 7월 29일 ~ 현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29b><colcolor=#fff> 학력 | 상주고등학교 (졸업)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사학 / 학사) | |
경력 | 제37회 행정고시 합격 해양수산부 해양개발과장 해양수산부 해양영토과장 해양수산부 국제협력총괄과장 대통령비서실 해양수산비서관실 선임행정관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 국립해양조사원장 해양수산부 정책기획관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 해양환경공단 이사장 (제6대 / 윤석열 정부)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공공기관인이다.2. 생애
1966년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태어나 상주고등학교,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사학과를 졸업하였다.한양대를 졸업한 뒤 제37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직하였고 이후 주로 해양수산부 및 국토해양부에서 재직하며 과장, 국장을 거쳐 윤석열 정부 시기 실장직에 올라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을 역임하였으며 해당 보직을 끝으로 2024년 3월 공직에서 퇴임하였다.
2.1. 해양환경공단 이사장
2024년 7월, 해수부 산하 공공기관인 해양환경공단의 이사장으로 임명되었다.#2024년 8월 1일 2024년도 하반기 해저에 쌓인 폐기물을 수거 및 처리하고 항행 방해요소를 제거해 선박의 안전한 운항 여건을 조성하는 '해양침적폐기물 정화사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8월 22일 '제3차 해양환경 지식 나눔 온라인 특강'을 진행했다.
2024년 9월 14일부터 18일까지 추석 연휴 기간을 해양오염사고 대응 특별기간으로 지정하고 24시간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9월 30일 미국환경자원협회가 주관하는 '2024년 방사능분야 국제숙련도평가'에서 최수우기관으로 선정되었다.#
2024년 11월 14일 '2024년 공단, 해양경찰연구센터 연구개발 공동 워크숍'을 개최해 기관 간 협업을 통해 기술발전 및 연구개발 현황에 대해 논의했다.# 12월 3일 한국환경공단과 '내수면 발(發) 수질오염사고 대응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2024년 12월 30일 신년사를 하며 탄소중립,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향상, 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로 해양오염사고 대응역량을 향상시키겠다고 발언했다. 2025년 1월 25일부터 30일까지 설 연휴 기간 동안 해양오염사고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