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이버대학교 高麗사이버大學校 KOREA CYBER UNIVERSITY | ||
| ||
교훈 | 창조 · 봉사 | |
상징 | 동물 | 호랑이 |
교색 |
| |
국가 | ||
분류 | 원격대학 | |
개교 | 2001년 2월 20일 한국디지털대학교 | |
총장 | 제7대 이원규 | |
법인 |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 |
주소 | 계동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06 (계동) |
안암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안암동5가) | |
홈페이지 및 소셜 미디어 |
1. 개요
고려사이버대학교(高麗사이버大學校, KOREA CYBER UNIVERSITY)는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소속의 정규 4년제 원격대학이다.2. 상세
- 설립은 2000년 11월 인가, 개교는 2001년 2월 20일, 교명은 2010년 한국디지털대학교에서 고려사이버대학교로 변경
- 설립자: 김병관 박사, 초대 총장: 김중순 박사
- 현재 총장: 제7대 이원규(취임 2025년)
3. 재학생 현황 (2025년 4월 1일 기준)
- 전체 재학생 수: 10,301명: 재학생의 연령 분포는 20대가 34.8%로 가장 많고, 이어서 30대 28.6%, 40대 18.3%, 50대 13.9%, 60대 이상 3.0%, 10대 이하 1.3%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거주자가 33.4%, 서울 28.7%, 인천 6.2%, 부산 3.2%, 대전과 대구 각 2.4%, 기타 지역 및 해외 거주자가 4.8%를 차지하고 있다.
- 최종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47.0%로 가장 많고, 전문대학 졸업 25.5%, 대학교 졸업 21.4%, 대학원 졸업 이상은 6.1%이다. 직업별로는 재직자 비율이 79.4%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무직자 0.5%, 기타 20.1%로 나타난다.
4. 입학 및 학사 제도
- 수강 신청: 정규학기 최소 9학점 ~ 최대 18학점 (직전 평점 3.75 이상 시 최대 24학점)
- 강의 및 평가 체계: 매 학기 15주의 100% 온라인 강의, 중간·기말 시험 포함 온라인 진행
- 졸업 요건: 총 132학점 이상 이수, 조기졸업 가능 (신입 기준 3년, 편입 기준 약 1.5년) 단, 조건 충족 필요
5. 주요 연혁 및 발전
- 2001년: 7개 학과, 입학생 796명으로 출범 및 김중순 박사 초대 총장(1~4대) 취임식
- 2010년: 교명 변경 - 한국디지털대학교 → 고려사이버대학교
- 2013년: 융합정보대학원 개원
- 2017년: 제 5대 총장 김진성 박사 취임
- 2021년: 제 6대 총장 김진성 박사 취임
- 2020년대: AI·데이터과학부, 소방안전학부 등 신설 및 학부 체제 전환
- 2023 - 2025년: 대한민국 소비자신뢰대표브랜드 대상, 교육브랜드 대상 등 다수 수상
- 2025년: 제 7대 총장 이원규 박사 취임, AI 기반 교육혁신 비전 강조
6. 캠퍼스
6.1. 계동캠퍼스
- 고려사이버대학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에 위치하고 있다.[1][2] 4층 규모의 다용도 건물인 화정관이 있는데, 지하 1층에서는 주로 IT관련 쪽의 시설이 들어서 있다. 그 외에도 지하주차장, 대강당 등이 위치해 있다.
- 1층은 주로 행정업무 관련된 시설이 있고 2층은 교수님들의 연구실 및 강연에 관련된 시설이 있다. 마지막으로 3층에는 총장실 및 대회의실 등이 위치해 있다. 또한 2017년 10월부터 기존 중앙중학교/중앙고등학교에서 사용하던 인촌기념도서관 건물을 인촌관으로 리모델링하여 사용 중이다.
6.2. 안암캠퍼스
- 2015년 12월부터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광장에 미디어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 고려대 공개된 도서관을 사용해도 된다. SK미래관 출입도 가능하다. 특별히 제약이 없으므로 공개도서관을 이용해 보자.
7. 학부·대학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려사이버대학교/학부·대학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려사이버대학교/학부·대학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 부속기관
- 융합정보대학원, 미래교육원 등 8개 부속기관, 산학협력단 산하의 AIㆍ빅데이터연구소 등 7개의 연구소를 갖추고 있는 종합 대학교로 운영되고 있다.
8. 고려대학교와의 관계
- 같은 고려중앙학원의 소속이며, 고려사이버대학교 개교 후에 최초로 협정관계를 맺은 대학이기도 하다. 또한 고려사이버대학교로 개명한 이후, 대학 로고가 고려대학교 호랑이로 바뀌었다. 교훈은 고려대학교의 "자유, 정의, 진리"가 아닌, "창조, 봉사"로 독자적인 교훈을 쓰고 있다.
- 고려사이버대 재학생이라면, 본인 학생증 지참 하에 고려대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다. (재학생에 한해서만 이용가능) 고려사이버대학교 졸업생은 고려대학교 교우에 포함되지 않으며, 서로 별개의 학교다. 고대웨딩홀, 고대 장례식장 이용도가능하다. 학교만 다를 뿐 같은 학교법인 소속이라 고려대학교의 시설 이용이 전부 가능하다.
9. 주요 특징 및 서비스
- 2001년 국내 1호 사이버대학 설립
- 고려대학교와 동일 재단(고려중앙학원) 소속, 고려대 도서관·의료원·교우회관 등 인프라 일부 공유
- 수업·시험·졸업까지 100% 온라인, 신입생 3년·편입생 1.5년 조기졸업 가능
- 24개 전공과 융합 커리큘럼 기반 학부 운영, 비전공자도 석사 진학 가능한 융합정보대학원 보유
- 직장인·군인·주부·고졸자 대상 폭넓은 장학제도 운영
- 실무형 AI·코딩 과정, 국제탐방 실습, CUK ON 특강 등 활발한 학생 활동
- ‘Quick Korean’ 등 무료 한국어 교육 및 해외 탐방 실습 기회 제공
10. 출신 인물
- 고영빈 : 문화예술경영학 학사
- 곽재홍 : 디자인학 중퇴
- 김영웅 : 법학, 사회복지학 학사
- 리현 : 학사
- 변승주 : 학사
- 붐 : 융합경영학 학사
- 신영재 : 정보관리서비스학 학사[3]
- 신지예 : 문화콘텐츠학 학사
- 신현지 : 실용어학부 실용외국어학 학사
- 양향자 : 인문학 학사[4]
- 오병윤 : 사회복지학 학사
- 우신구 : 사회복지학 학사
- 전제향 : 사회복지학 석사
- 홍덕
- 홍남희 : 세무회계학, 사회복지학 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