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8 08:07:11

고양이 당인전 테얀데에/적 메카

고양이 당인전 테얀데에에 나오는 1화성 괴수들을 소개한다.

1. 개요
1.1. 1화1.2. 2화1.3. 3화1.4. 4화1.5. 5화1.6. 6화1.7. 7화1.8. 8화1.9. 9화1.10. 10화1.11. 11화1.12. 12화1.13. 13화, 14화1.14. 15화1.15. 16화1.16. 17화1.17. 18화1.18. 19화1.19. 20화1.20. 21화1.21. 22화1.22. 23화1.23. 24화1.24. 25화1.25. 26화1.26. 27화1.27. 28화1.28. 29화1.29. 30화1.30. 31화1.31. 32화1.32. 33화1.33. 34화1.34. 35화1.35. 36화1.36. 37화, 38화1.37. 39화1.38. 40화1.39. 41화1.40. 42화1.41. 43화1.42. 44화1.43. 45화1.44. 46화1.45. 47화1.46. 48화1.47. 49화1.48. 50화1.49. 51화1.50. 52화, 53화

1. 개요

카라카라 일족에서 매 화마다 만들어내는 메카. 보통 이름에 ~~ 넘버링 호 가 붙는다. 이들의 공통적인 외모상 특징은 입이 까마귀 부리 모양이다.

성우는 타카기 와타루, 시오야 코조, 등이 맡아서 했다.

1.1. 1화

1.2. 2화


오미츠의 오빠이자 초밥집을 하는 마츠키치를 붙잡아 강제로 태워 에도로폴리스 주민들을 초밥으로(...) 만든다.

1.3. 3화

1.4. 4화

1.5. 5화


이 메카들은 일본의 전통 예능물 다이카구라에서 활동한 오소메 브라더스라는 콤비에서 디자인을 따 왔다.

1.6. 6화

1.7. 7화

1.8. 8화

1.9. 9화

1.10. 10화

등장 메카 없음

1.11. 11화

1.12. 12화

등장 메카 없음

1.13. 13화, 14화

우주까지 날아가 햇빛을 가려서 냥키들이 태양열 동력원을 못 받게 만들어서 처음으로 패배를 안겨준 메카이다. 물론 다음 화에서는 냐고킹과 토리츠쿤의 등장으로 다른 기체들과 똑같이 폭발 엔딩을 맞는다.

1.14. 15화

콘노카미의 모습을 본떠 만든 메카. 패미컴으로 나온 동명의 게임에서는 5스테이지의 보스로 나온다.

1.15. 16화

엄청나게 빠른 타조형 메카. 너무 빨라서 콘노카미나 카라카라 일족도 제대로 컨트롤하지 못한다. 카라카라 일족의 메카임에도 냥키와의 전투가 없어서 터지지도 않았고, 이후 회차에서도 26화의 절호조와 함께 시선강탈용 엑스트라로 등장한다. 심지어 언제나의 모자와 친분을 쌓기까지 한다.

게임판에서는 일반 잡몹으로 등장한다.
길막용 메카. 가마로 위장하고 있다가 냥키의 길을 막는데는 성공하지만 별다른 전투도 못해보고 길만 막다가 터진다...

1.16. 17화

1.17. 18화

1.18. 19화

1.19. 20화

1.20. 21화

너구리형 메카로, 등장 메카 중에서도 인상적인 활약을 남겼다. 직접적인 전투능력은 없지만 세뇌와 언변의 달인으로, 에도로폴리스의 시민 전체를 세뇌시켜 쇼군을 향한 시위를 참여하게 한다.[1] 또한 냥키를 상대로도 언변으로 친분을 쌓은 뒤 뒷통수를 치거나, 세뇌를 걸어서 서로 싸우게 하는 등 일회성 메카치고는 무서운 성과를 낸다. 다만 수동 태엽으로 움직이는 시간제한 메카라는 단점 때문에 결국 폭파된다. 어설픈 무력보다는 심리전이 훨씬 무섭다는 것을 보여준 강적.
여담으로 이 녀석은 카라카라 일족의 메카 특징인 까마귀 부리가 없다.

1.21. 22화

물에 바보 액기스를 뿌려 물을 마시면 바보가 되게 하는 메카.
해당 에피소드는 카라마루가 피자캣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에피소드다. 냥키 3인방보다 훨씬 일을 잘했으며 본인도 일이 적성에 맞아 즐기면서 일했다. 심지어 장래희망이 피자캣의 까마귀산지점 개점으로 바뀔 정도로... 그러다보니 피자캣 사람들과 정이 들어버려서[2] 작전을 수행하기 전 마주친 부타로(?)에게 "피자 캣에 돌아가면 알려주십시오. 오늘 밤에는 절대로 물을 먹지 말라고..." 라면서 피자캣 사람들을 구해주려고 했다.

1.22. 23화


일본의 프로레슬러 겸 배우였던 스트롱 콘고[3] 의 패러디.

1.23. 24화

1.24. 25화

1.25. 26화

란마 1/2의 패러디다. 그래서 성우도 여자 란마 성우인 하야시바라 메구미. 참고로 주인공인 얏타로의 성우인 야마구치 캇페이가 남자 란마 성우다. 이를 이용한 패러디는 등장하지 않았다.
게임판에서도 등장하긴 하는데 3대 맞으면 죽는 양산형 잡몹으로 격하되었다. 본체에서 증식하는 부하 로봇으로 볼 수도 있지만...

1.26. 27화


철인 28호의 패러디.

1.27. 28화

1.28. 29화

1.29. 30화

아카시야 산마의 패러디이다.

1.30. 31화

1.31. 32화

1.32. 33화

1.33. 34화

타츠아시 1호가 다리, 에도마에 5호가 오른팔, 하이센스 9호가 왼팔, 지아게야 3호가 머리, 사사니시키 4호가 동체가 되어 합체한 메카. 이제까지 만들어온 메카의 장점만 따와서 야심차게 제작했지만 냥키와는 만나보지도 못하고 오미츠선에서 완파된다.

1.34. 35화

1.35. 36화

전원 교복을 입고 있으며 "청춘은 폭발이다!"가 말버릇. 게임판에서도 자폭하는 적으로 등장한다.

1.36. 37화, 38화

별도의 메카는 아니고 일종의 강화복. 카라마루가 장착해서 처음으로 얏타로의 네코메 슬래쉬를 격파하는데 성공하지만 38화에서 3인의 합동 필살기에 당한다.

1.37. 39화

뉴욕에서 진행되는 에피소드여서인지, 미국인이 일본 하면 떠올리는 각종 이미지를 뒤섞은 듯한 느낌이다.

1.38. 40화

UF 0호의 안에 들어있던 낙지형 메카.

1.39. 41화

1.40. 42화

1.41. 43화


일본어 발음으로 '야규 쥬우고', 즉 야규 쥬베를 모티브로 한 들소형 메카. 폭발 시 쇠고기 조각을 흩날린다.

1.42. 44화

루팡 3세의 패러디이다. 말끝마다 후지코타령까지 충실히(?) 재현했다.

1.43. 45화

매달린 사람의 금전운을 무한대로 올려주어 부자로 만들어준다. 이름의 어원은 오사카벤으로 장사가 잘 되는 지 또는 잘 지내는지 묻는 말이다. 얏타로가 이 메카의 힘으로 벼락부자가 되며, 길거리에 사람들을 모아놓고 돈을 뿌리는 기행을 저지르기도 한다.
모우카리맛카 3호를 제작하고 남은 부품으로 만든 소형 메카. 모우카리맛카 3호와는 반대로 매달린 사람을 가난하게 만든다. 보치보치덴나 또한 오사카벤이며 위의 모우카리맛카에 긍정도 부정도 아닌 대답을 할 때 쓰이는 관용어이다. 키츠네즈카 콘노카미가 이 메카 때문에 알거지가 되어 고생하기도 한다.
모우카리맛카 3호와 보치보치덴나 3호가 합체한 메카. 폭주하여 매달린 사람을 코인으로 만들어 버린다. 이름의 어원은 '동전(ぜに)'

1.44. 46화

1.45. 47화

1.46. 48화

아버지 3호가 파워업한 모습. 우스꽝스러운 아저씨의 모습을 한 아버지 3호를 베자 그 안에서 쭉쭉빵빵한 여성의 모습을 한 아버지 걸 3호가 튀어나왔다.

1.47. 49화

이름의 어원은 하와이 왕국의 초대 왕인 카메하메하

1.48. 50화

1.49. 51화

등장 메카 없음

1.50. 52화, 53화

파일:attachment/hwcj1.jpg
거대한 성(城) 형태의 메카로 본 작품의 최종 메카. 사이즈부터 에도로폴리스 막부를 능가한다. 성에 탑재된 유도 광선으로 하라호로히레하레 혜성의 궤도를 바꿀 수 있다. 소재는 1980년대 일본의 인기 예능프로그램 『풍운! 타케시성』과 유명 애니메이션 『우주전함 야마토』에 나오는 반사위성포에서 따왔다.

[1] 이 때 도쿠가와 이엣이엣을 향한 악성 루머(잘 때 코를 골거나 이를 많이 갈거나 등등)를 퍼뜨리는데, 분명 막 퍼트린 루머였지만 우사 공주의 말에 의하면 황당하게도 전부 사실이라고 한다.[2] 냥키 3인방은 정체를 들키지 않기 위해 얏타로는 부타로, 스카시는 곤스케, 프루룬은 바바린이라는 가명을 써야 했다.[3] 본명은 코바야시 쇼조. 링네임은 스트롱 코바야시. 우리나라에서는 초전자 바이오맨몬스터(초전자 바이오맨)로 유명하다.[4] 시기를 보다시피 당시 미츠이시 코토노는 이제 데뷔를 시작한 신인 성우였다. 이때는 나이가 20대 초반이여서 이 성우의 흔히 알고 있는 목소리와는 거리가 먼 청량한 목소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