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나라의 행정구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북송 | |||
경기로 | 경동동로 | 경동서로 | 하동로 | |
경서남로 | 경서북로 | 하북서로 | 하북동로 | |
양절로 | 복건로 | 회남동로 | 회남서로 | |
형호남로 | 형호북로 | 강남동로 | 강남서로 | |
이주로 | 기주로 | 재주로 | 성도부로 | |
광남동로 | 광남서로 | 영흥군로 | 진봉로 | |
남송 | ||||
양절동로 | 양절서로 | 회남동로 | 회남서로 | |
형호남로 | 형호북로 | 강남동로 | 강남서로 | |
이주로 | 기주로 | 동천부로 | 성도부로 | |
광남동로 | 광남서로 | 복건로 | 경서남로 | |
기타 행정구역 | ||||
연산부로 | 운중부로 | }}}}}}}}} |
광남로 | 廣南路
1. 개요2. 역사3. 행정구역
3.1. 광남동로(廣南東路)
3.1.1. 광주(廣州)3.1.2. 소주(韶州)3.1.3. 순주(循州)3.1.4. 조주(潮州)3.1.5. 연주(連州)3.1.6. 매주(梅州)3.1.7. 남웅주(南雄州)3.1.8. 영덕부(英德府)3.1.9. 하주(賀州)3.1.10. 봉주(封州)3.1.11. 조경부(肇慶府)3.1.12. 신주(新州)3.1.13. 덕경부(德慶府)3.1.14. 남은주(南恩州)3.1.15. 혜주(惠州)
3.2. 광남서로(廣南西路)3.2.1. 정강부(靜江府)3.2.2. 용주(容州)3.2.3. 옹주(邕州)3.2.4. 융주(融州)3.2.5. 상주(象州)3.2.6. 소주(昭州)3.2.7. 오주(梧州)3.2.8. 등주(藤州)3.2.9. 공주(龔州)3.2.10. 심주(潯州)3.2.11. 유주(柳州)3.2.12. 귀주(貴州)3.2.13. 경원부(慶遠府)3.2.14. 빈주(賓州)3.2.15. 횡주(橫州)3.2.16. 화주(化州)3.2.17. 고주(高州)3.2.18. 뇌주(雷州)3.2.19. 흠주(欽州)3.2.20. 백주(白州)3.2.21. 울림주(鬱林州)3.2.22. 염주(廉州)3.2.23. 경주(瓊州)3.2.24. 남녕군(南寧軍)3.2.25. 만안군(萬安軍)3.2.26. 길양군(吉陽軍)
1. 개요
광남로는 송나라의 최상위 행정구역인 로(路) 중 하나로 오늘날 광둥성과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을 관할했다.2. 역사
광남로는 당나라 때 영남도(嶺南道)라는 이름이었는데, 영남은 오령산맥 남쪽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862년 영남도는 영남동도와 영남서도로 각각 분할되었다. 당나라가 멸망한 뒤 남한 정권이 이곳에 할거하였으며, 971년 남한이 멸망한 뒤 송나라의 영토가 되었다. 997년, 송나라에서 행정구역을 구획할 때 광남로를 광남동로와 광남서로로 분할하였으며, 이것이 오늘날 광동성과 광서성이라는 명칭의 시초가 되었다.3. 행정구역
3.1. 광남동로(廣南東路)
3.1.1. 광주(廣州)
남해군(南海郡). 도독부(都督府)로 청해군절도사(淸海軍節度使)가 부임하였다. 972년 함녕현(咸寧縣), 몽화현(蒙化縣), 유수현(游水縣)이 폐지되었다. 1107년 수부(帥府)로 승격되었다. 광남동로병마검할(廣南東路兵馬鈐轄)가 경략안무사(經略安撫使)를 겸임하였다.- 현
3.1.2. 소주(韶州)
시흥군(始興郡). 군사주였다.- 감
- 영통감(永通監)
3.1.3. 순주(循州)
해풍군(海豐郡). 군사주였다.3.1.4. 조주(潮州)
조양군(潮陽郡). 군사주였다.3.1.5. 연주(連州)
연산군(連山郡). 군사주였다.- 현
- 계양현(桂陽縣), 양산현(陽山縣), 연산현(連山縣)[14]
3.1.6. 매주(梅州)
의안군(義安郡). 군사주로 본래 조주(潮州) 정향현(程鄕縣)이었으나 남한 때 공주(恭州)를 설치한 뒤 971년 매주로 개칭되었으며, 1073년 폐지되었다가 1082년 부활하였다. 1120년 군명을 받았다. 1136년 정향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144년 다시 설치되었다.- 현
- 정향현(程鄕縣)0
3.1.7. 남웅주(南雄州)
본래 웅주로 군사주였으나 971년 혼동을 피하기 위해 남(南)을 붙였다.- 현
- 보창현(保昌縣), 시흥현(始興縣)[15]
3.1.8. 영덕부(英德府)
진양군(眞陽郡). 본래 영주(英州)로 군사주였으며, 1120년 군명을 받았다. 영종의 잠번이 이곳에 있었기에 1195년 부로 승격되었다.- 현
- 진양현(眞陽縣)), 함광현(浛光縣)[16]
3.1.9. 하주(賀州)
임하군(臨賀郡). 군사주였다. 971년 탕산현(蕩山縣), 봉양현(封陽縣), 풍승현(馮乘縣)이 폐지되었다. 본래 광남동로 관할이었으나 1108년 광남서로 관할이 되었다.- 현
- 임하현(臨賀縣), 부천현(富川縣), 계령현(桂嶺縣)
3.1.10. 봉주(封州)
임봉군(臨封郡). 군사주였다. 1137년 폐지되어 두 현이 덕경부 관할이 되었다가 1140년 다시 설치되었다.- 현
- 봉천현(封川縣), 개건현(開建縣)[17]
3.1.11. 조경부(肇慶府)
고요군(高要郡). 본래 단주(端州)로 군사주였다가 1100년 흥경군(興慶軍)이라는 군액을 받았다. 1118년 조경부로 승격되고 군액도 조경군(肇慶軍)으로 고쳤다.- 현
- 고요현(高要縣), 사회현(四會縣)[18]
3.1.12. 신주(新州)
신흥군(新興郡). 군사주였다. 972년 평흥현(平興縣)이 폐지되었다.- 현
- 신흥현(新興縣)[19]
3.1.13. 덕경부(德慶府)
진강군(晉康郡). 본래 강주(康州)였으며, 군사주였다. 972년 주와 열성현(悅城縣), 진강현(晉康縣), 도성현(都城縣)이 폐지되어 단계현(端溪縣)에 통폐합되고 서주(端州) 관할이 되었으나 다시 설치되었다. 고종의 잠번이 이곳에 있었기 때문에 부로 승격되었고 1144년 영경군절도사(永慶軍節度使)를 두었다.- 현
- 단계현(端溪縣), 상수현(瀧水縣)[20]
3.1.14. 남은주(南恩州)
은평군(恩平郡). 군사주였다. 옛 명칭은 은주(恩州)로 하북로의 은주와 글자가 같았으며, 972년 은평현(恩平縣)과 두릉현(杜陵縣)을 폐지하였다. 1048년 혼동을 피하기 위해 남(南)을 붙였다.- 현
- 양강현(陽江縣), 양춘현(陽春縣)[21]
3.1.15. 혜주(惠州)
박라군(博羅郡), 군사주로 1120년 박라군이라는 군명을 받았다.- 현
- 귀선현(歸善縣), 해풍현(海豐縣), 하원현(河源縣), 박라현(博羅縣)
3.2. 광남서로(廣南西路)
1107년 융주(融州), 유주(柳州), 의주(宜州), 평주(平州), 윤주(允州), 종주(從州), 정주(庭州), 부주(孚州), 관주(觀州)가 검남로(黔南路)로 분할되고 융주가 수부(帥府)로 승격되었다. 1109년 검남로가 광남서로에 통폐합되어 광서검남로(廣西黔南路)가 되었다가 1110년 다시 광남서로가 되었다.3.2.1. 정강부(靜江府)
시안군(始安郡). 분래 계주(桂州)로 정강군절도사(靜江軍節度使)가 파견되었다. 1107년 대도독부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수부로 승격되었다. 광남서로병마검할(廣南西路兵馬鈐轄)이 경략안무사를 겸임하였다. 고종의 잠번이 이곳에 있었기에 1133년 정강부로 승격되었다. 1258년 광서제치대사(廣西制置大使)로 개칭되었다가 폐지되었고 다시 광남서로경략안무사(廣西南路經略安撫使)가 되었다.- 현
3.2.2. 용주(容州)
보령군(普寧郡). 하도독부(下都督府)로 영원군절도사(寧遠軍節度使)가 파견되었다. 972년 흔도현(欣道縣), 위룡현(渭龍縣), 능성현(陵城縣)을 폐지하였다.3.2.3. 옹주(邕州)
영령군(永寧郡). 하도독부(下都督府)로 건무군절도사(建武軍節度使)가 파견되었다. 972년 낭령현(朗寧縣), 봉릉현(封陵縣), 사룡현(思龍縣)이 폐지되었다.- 채(砦)
- 태평채(太平砦)[32]
- 금장
- 진내금장(鎭乃金塲)[33]
- 기미주
3.2.4. 융주(融州)
융수군(融水郡). 본래 군사주였다가 청원군절도사(淸遠軍節度使)가 파견되는 주가 되었다. 1102년 무양채(武陽砦)와 나성보(羅城堡)를 설치하였다. 1103년 낙선채(樂善砦)를 설치하고 나성보를 폐지하였다. 1105년 융수현(融水縣) 왕구채(王口砦)에 평주(平州)를 설치했다가 1111년 평주를 폐지하고 왕구채, 융강보(融江堡), 문촌보(文邨堡), 심강보(潯江堡), 임계보(臨溪堡)를 융주에 두었지만 나중에 다시 되돌렸다. 1108년 수부(帥府)로 승격되었다가 다음해에 하도독부(下都督府)가 되었다. 1134년 평주를 왕구채(王口砦)로 격하하고 관주(觀州)를 고봉채(髙峰砦)로 격하했다.- 현
- 융수현(融水縣)[34]
- 채(砦)
- 융강채(融江砦), 고봉채(髙峰砦)임계보(臨溪堡、文邨、潯江三堡,。
- 보
- 임계보(臨溪堡), 문촌보(文邨堡), 심강보)潯江堡)
- 기미주
- 낙선주(樂善州)
3.2.5. 상주(象州)
상군(象郡). 경덕(景德) 연간에 방어주로 승격되었다. 1262년 치소를 내빈현(來賓縣) 봉래(蓬萊)로 옮겼다.3.2.6. 소주(昭州)
평락군(平樂郡). 군사주였다. 972년 영평현(永平縣)을 폐지하였다.3.2.7. 오주(梧州)
창오군(蒼梧郡). 군사주였다.- 현
- 창오현(蒼梧縣)[41]
3.2.8. 등주(藤州)
감의군(感義郡). 군사주였다. 970년 영풍현(寧風縣), 감의현(感義縣), 의창현(義昌縣)을 폐지하였다.- 현
- 담진현(鐔津縣), 잠계현(岑溪縣)[42]
3.2.9. 공주(龔州)
임강군(臨江郡). 군사주였다. 972년 양천현(陽川縣), 무림현(武林縣), 수건현(隨建縣), 대동현(大同縣)이 폐지되었다. 1111년 주가 폐지되어 심주(潯州)에 통합되었다가 1113년 다시 복구되었다. 1136년 다시 폐지되어 심주로 통폐합되었다.- 현
- 평남현(平南縣)[43]
3.2.10. 심주(潯州)
심강군(潯江郡). 군사주였다. 972년 황화현(皇化縣)이 폐지되고 주가 폐지되어 계평현이 귀주(貴州) 관할이 되었다가 973년 다시 설치되었다.- 현
- 계평현(桂平縣)
3.2.11. 유주(柳州)
용성군(龍城郡). 군사주였다. 1265년 치소를 유성현(柳城縣)의 용강(龍江)으로 옮겼다.3.2.12. 귀주(貴州)
회택군(懷澤郡). 군사주였다.- 현
- 울림현(鬱林縣)[46]
3.2.13. 경원부(慶遠府)
용수군(龍水郡). 본래 의주(宜州)로 군사주였다으며 군액이 없었다가 1119년 경원군(慶遠軍)이라는 군액을 받았다. 1036년 애산현(崖山縣)을 폐지하였다. 하지현(河池縣)이 통폐합되었다. 1265년 도종의 잠저가 이곳에 있었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경원부(慶遠府)로 승격되었다.- 감
- 부인감(富仁監), 부안감(富安監)
3.2.14. 빈주(賓州)
안성군(安城郡). 군사주였다. 972년 주가 폐지되어 낭야현(琅琊縣)과 보성현(保城縣)도 같이 폐지되고 영방현(嶺方縣)이 옹주(邕州) 관할이 되었다. 973년 영방현에 다시 주를 설치하였다.3.2.15. 횡주(橫州)
영포군(寧浦郡). 군사주였다. 972년 악산현(樂山縣)과 종화현(從化縣)이 폐지되고 난주(巒州) 영정현(永定縣)이 횡주에 통폐합되었다.- 현
- 영포현(寧浦縣), 영정현(永定縣)[54]
3.2.16. 화주(化州)
능수군(陵水郡). 군사주였다. 본래 변주(辯州)였으나 980년 화주로 개칭되었다. 개보(開寶) 연간에 능라현(陵羅縣)이 폐지되었다.3.2.17. 고주(高州)
고량군(高凉郡). 군사주였다. 972년 양덕현(良德縣)을 폐지하였다. 1004년 두주(竇州)에 통폐합되고 치소를 무명현(茂名縣)으로 옮겼으며, 1006년 다시 설치되었다.3.2.18. 뇌주(雷州)
해강군(海康郡). 군사주였다.3.2.19. 흠주(欽州)
영월군(寧越郡). 군사주였다. 972년 준화현(遵化縣), 흠강현(欽江縣), 내정현(內亭縣)이 폐지되었으며, 1023년 치소를 남빈채(南賓砦)로 옮겼다.3.2.20. 백주(白州)
남창군(南昌郡). 군사주였다. 972년 남창현(南昌縣), 건녕현(建寧縣), 주라현(周羅縣)을 폐지하였다. 1111년 폐지되어 울림주(鬱林州) 관할이 되었다가 1113년 복구되었다. 정강의 변 이후 다시 울림주에 통폐합되었다.- 현
- 박백현(博白縣)[64]
3.2.21. 울림주(鬱林州)
울림군(鬱林郡). 군사주였다. 개보(開寶) 연간에 울평현(鬱平縣), 흥덕현(興德縣)을 폐지하였다. 996년 치소를 옮겼다. 1111년 백주(白州)를 폐지하여 박백현(博白縣)을 관할에 두었다가 1113년 복구되었다. 정강의 변 이후 백주를 다시 울림주에 통폐합했다.3.2.22. 염주(廉州)
합포군(合浦郡). 군사주였다. 972년 봉산현(封山縣), 채룡현(蔡龍縣), 대렴현(大廉縣)을 폐지하고 치소를 장사장(長沙塲)으로 옮겼으며, 석강현(石康縣)을 설치했다. 981년 태평군(太平軍)으로 개편되고 치소를 해문진(海門鎭)으로 옮겼다가 998년 복구되었다.3.2.23. 경주(瓊州)
경산군(瓊山郡). 본래 군사주였다가 정해군절도사(靖海軍節度使)가 부임하는 주가 되었다. 1107년 여모산(黎母山)에 진주(鎭州)를 설치하고 정해군이라는 군액을 내렸다. 1111년 진주가 폐지된 뒤 군액은 경주로 돌아갔다.3.2.24. 남녕군(南寧軍)
본래 담주(儋州)였던 지역으로 1073년 군으로 격하되어 창화군(昌化軍)이 되었다. 1136년 만안군, 길양군과 함께 현으로 격하되어 경주에 통폐합되었다가 1144년 복구되었다. 단평(端平) 연간에 남녕군이 되었다.3.2.25. 만안군(萬安軍)
옛 명칭은 만안주(萬安州)로 군명(郡名)은 만안군(萬安郡)이었으나 1070년 군으로 격하되었다. 1136년 군을 폐지하고 경주 소속 만녕현(萬寧縣)으로 격하했으며 군사가 지현사를 겸했으나 1143년 복구되었다.3.2.26. 길양군(吉陽軍)
본래 애주(崖州)였던 지역으로 1073년 군으로 격하되어 주애군(朱崖軍)이 되었다가 1117년 길양군이 되었다. 1136년 영원현(寧遠縣)으로 격하되었다가 1143년 복구되었다.[1] 수나라 때 설치된 현이었으며, 상강현(常康縣)으로 고쳤다가 972년 다시 남해현이 되었다.[2] 972년 남해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51년 다시 설치되었다.[3] 972년 증성현에 통폐합되었다가 973년 다시 설치되었다.[4] 본래 의령현으로 972년 신회현에 통폐합되었다가 973년 다시 설치되었다. 태평흥국(太平興國) 연간에 신안현으로 개칭되었다. 1072년 진으로 격하되어 신주(新州) 신흥현(新興縣)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 다시 설치되었다. 1094년 다시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다시 현으로 부활하여 광주 관할이 되었다.[5] 1152년 동완현 향산진을 현으로 승격하였다.[6] 972년 낙창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00년 다시 설치되었다.[7] 1121년 설치되었다가 1129년 폐지되었다.[8] 1166년 곡강현의 숭신향(崇信鄕), 낙창현의 의화향(依化鄕)을 분할하여 주두진(洲頭津)에 설치하였다.[9] 1121년 뇌향현(雷鄕縣)으로 개칭되었다가 1131년 복구되었다.[10] 동진 때 설치된 현으로 치소를 장락현으로 옮겼다.[11] 1071년 흥녕현에서 분할하여 설치하였다.[12] 해양현에서 분할하여 설치한 현으로 1132년 해양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138년 다시 설치되었다.[13] 1121년 해양현의 3개 향을 분할하여 설치하였다. 1132년 해양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138년 다시 설치되었으며, 치소를 길백촌(吉帛邨)으로 옮겼다.[14] 1146년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1148년 다시 설치되었다.[15] 원래 소주(韶州) 관할이었으나 971년 남웅주 관할이 되었다.[16] 971년 광주에서 연주(連州) 관할이 되었다가 973년 영주 관할이 되었다.[17] 972년 봉천현에 통폐합되었다가 973년 다시 설치되었다.[18] 원래 광주(廣州) 관할이었으나 1073년 강주 관할이 되었다.[19] 1003년 치소를 주성 서쪽으로 옮겼다.[20] 본래 상주(瀧州) 소속이었으나 상주가 폐지된 뒤 강주 관할이 되었다.[21] 1073년 춘주(春州)를 폐지한 뒤 동릉현(銅陵縣)이 양춘현에 통폐합되었다.[22] 1061년 모화현(慕化縣)이 임계현에 통폐합되었다.[23] 당나라 때 전의현(全義縣)이 설치되었다. 후진 때 부주(溥州)가 설치되었다가 963년 폐지되었다. 태평흥국(太平興國) 연간에 흥안현이 되었다.[24] 1071년 진으로 격하되어 여포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25] 본래 의령진(義寧鎭)으로 마씨(馬氏)가 상주하여 설치되었다. 972년 광주 신회현에 통폐합되었다가 973년 다시 설치되었다.[26] 당나라 때 풍수현(豐水縣)이었다. 1071년 진으로 격하되어 여포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정강의 변 이후 폐지되었다.[27] 972년 수주(繡州)를 폐지하고 상림현(常林縣), 아림현(阿林縣), 나수현(羅繡縣)이 보령현에 통폐합되었다.[28] 972년 순주(順州)를 폐지하고 용호현(龍豪縣), 온수현(溫水縣), 용화현(龍化縣), 남하현(南河縣)을 육천현에 통폐합하였다. 975년 치소를 공평으로 옮겼다가 994년 다시 옛 온수현으로 옮겼다.[29] 972년 우주(禺州)를 폐지하고 아석현(峨石縣), 부래현(扶萊縣), 나변현(羅辨縣), 능성현(陵城縣)을 북류현에 통폐합하였다.[30] 1035년 여화현(如和縣)을 선화현에 통폐합하였다.[31] 1035년 낙창현(樂昌縣)을 무연현에 통폐합하였다.[32] 영평채(永平砦), 태평채, 고만채(古萬砦), 횡산채(橫山砦)가 있었으나 《원풍구역지(元豐九域志)》에 의하면 태평채만 기재되었는데, 나머지는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33] 1073년 설치되었다.[34] 972년 나성현이 설치되었다가 1074년 무양현(武陽縣)과 나성현(羅城縣)을 진으로 격하하여 융수현에 통폐합했다.[35] 엄주(嚴州) 관할이었으나 엄주가 폐지된 뒤 상주 관할이 되었다. 974년 엄주 귀화현(歸化縣)이 통폐합되었다.[36] 1073년 내빈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정강의 변 이후 폐지되었다.[37] 1008년 치소를 주성 동쪽으로 옮겼다.[38] 1072년 몽주(蒙州)가 폐지되고 동구현(東區縣)과 몽산현(蒙山縣)이 입산현에 통폐합되었다.[39] 972년 부주(富州)가 폐지되고 소주 관할이 되었으며, 사근현(思勤縣), 마강현(馬江縣)이 용평현에 통폐합되었다. 1075년 오주(梧州) 관할이 되었다가 1085년 다시 소주 관할이 되었다. 선화 연간에 소평현(昭平縣)으로 개칭되었다가 1179년 다시 용평현이 되었다.[40] 976년 치소를 북향(北鄕) 용저시(龍渚市)로 옮겼다가 1264년 복구하였다.[41] 1071년 융성현(戎城縣)을 진으로 격하하여 창오현에 통폐합하였다.[42] 1071년 남의준(南儀州)을 현으로 격하하여 주에 통폐합하였다[43] 972년 사명주(思明州)의 무랑현(武郞縣)이 소속되었다. 1057년 무랑현이 폐지되어 통폐합되었다.[44] 1069년 상현(象縣)을 낙용현에 통폐합하였다.[45] 후량 시기엔 용성현(龍城縣)이었으며 1006년 용성현으로 고쳤다[46] 수나라 시기에는 울평현(鬱平縣)이었으며 971년에 개칭되었다.[47] 994년 유주(柳州) 낙조현(洛曹縣)이 의주 관할이 되었다가 1063년 용수현에 통폐합되었다. 1075년 회원군(懷遠軍)의 고양현(古陽縣)과 회원채(懷遠砦)의 미곤현(迷昆縣)이 진으로 격하되었고 사립채(思立砦)가 용수현에 통폐합되었다. 회원채(懷遠砦)와 사립채(思立砦)가 있었다.[48] 1107년 덕근채(德謹砦), 언강보(堰江堡)와 함께 융주(融州)에 통폐합되었다가 1125년 다시 설치되었다. 덕근채(德謹砦)가 있었다.[49] 1043년 기미주인 지흔주(芝忻州), 회은주(歸恩州), 멱휴주(糸虧州) 등에 현을 설치하였다.[50] 1075년 환주(環州)에서 의주 관할이 도었고 치소를 대계채(帶溪砦)로 옮겼으며 진녕주(鎭寧州) 예단현(禮丹縣)을 통폐합하였다. 1083년 다시 치소를 옮겼다. 보의채(普義砦), 대계채(帶溪砦), 진녕채(鎭寧砦)가 있었다.[51] 정강의 변 이후 설치되었다.[52] 본래 옹주(邕州)의 기미주였다가 1020년 현으로 설치되었다.[53] 972년 옹주에서 소속되었고 징주(澄州)의 지벌현(止戈縣), 하수현(賀水縣), 무우현(無虞縣)이 상림현에 통폐합되었다.[54] 973년 난주(巒州) 무령현(武靈縣)과 나죽현(羅竹縣)을 폐지하여 영정현에 통폐합했다. 1071년 영포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8년 다시 설치되었고 뒤에 이름을 영순현(永淳縣)으로 고쳤다[55] 본래 나주(羅州) 소속이었으나 주가 폐지되어 972년 화주 관할이 되었다.[56] 1167년 오천현 서향西鄕)을 분할하여 설치하고 석성강(石城岡)에서 지명을 땄다.[57] 당나라 때 신의현(信儀縣)이었으나 태평흥국(太平興國) 연간에 의(儀)를 의(宜)로 고쳤다. 1071년 두주가 폐지되어 고주 관할이 되었다.[58] 972년 파주(潘州)에서 고주 관할이 되었다.[59] 관두채(冠頭砦)가 있었다.[60] 972년 폐지되었다가 1149년 다시 설치되었다.[61] 972년 폐지되었다가 1171년 다시 설치되었다.[62] 돌보채(咄步砦)가 있었다.[63] 당나라 때 보경현(保京縣)이었으며, 송나라 때 안경현(安京縣)으로 고쳤다가 경덕(景德) 연간에 안원현이 되었다. 여홍채(如洪砦), 여석채(如昔砦)가 있었다.[64] 정강의 변 이후 울림주 관할이 되었다.[65] 뇌주(牢州)의 현이었다가 뇌주가 폐지되면서 울림주의 현이 되었으며, 뇌주의 정천현(定川縣), 탕천현(宕川縣)과 당주(党州) 용산현(容山縣), 회의현(懷義縣), 무강현(撫康縣), 선뢰현(善牢縣)이 남류현에 통폐합되었다.[66] 개보 연간에 울평현(鬱平縣)과 흥덕현(興德縣)을 흥업현에 통폐합했다.[67] 2개의 채(砦)가 있었다.[68] 본래 상락주(常樂州)였으나 송대에 현으로 격하되어 염주의 현이 되었다.[69] 1071년 사성현(舍城縣)을 통폐합했다. 감은책(感恩柵)과 영전장책(英田塲柵)이 있었다.[70] 972년 애주(崖州)를 폐지하고 사성현, 문창현(文昌縣)과 함께 경주의 현이 되었다.[71] 당나라 때 설치된 현으로 1109년 만안군(萬安軍)의 현이 되었다가 뒤에 다시 복구되었다.[72] 수대에 의륜현(義倫縣)이었던 현으로 태종 조광의의 피휘를 위해 의(義)를 의(宜)로 고쳤다.[73] 1073년 폐지되었다가 1080년 복구되었다. 창화채(昌化砦)가 있었다.[74] 1073년 폐지되었다가 1081년 복구되었다.[75] 뒤에 이름을 만안현(萬安縣)으로 고쳤다.[76] 1074년 진(鎭)으로 격하되었다가 1080년 복구되었다. 1136년 경주의 현이 되었다가 1143년 복구되었다.[77] 1073년 임천진(臨川鎭)으로 격하되었다가 1136년 다시 현이 되어 경주에 속했으며 1143년 길양군의 현이 되었다.[78] 1073년 등교진(藤橋鎭)으로 격하되어 경주에 속했다가 1136년 복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