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0> | 광주광역시 | }}} | ||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광주광역시의 수요응답형버스|수요응답 ]] | |||||
순환01-A/B | 좌석02 | 수완03 | |||
매월06 | 진월07 | 첨단09 |
1. 노선 정보
광주광역시 급행간선버스 순환01-A번 | |||||
기점 |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세하공영차고지) | 종점 |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세하공영차고지) | ||
종점 행 | 첫차 | 05:40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22:10 | 막차 | - | ||
평일배차 | 10~17분 | 주말배차 | 16~20분 | ||
운수사명 | 대원시내버스 | 인가대수 | 24대[1] | ||
노선 | 세하공영차고지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계수초교 → 시청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경신여고 → 전남대사거리(동) → 광주역육교 → 교육대 → 산수오거리 → 조선대 → 남광주역 → 남광주농협 → 무등시장입구(남) → 광주국제양궁장 → 원광대한방병원 → 풍암한국아파트 → 마재우체국 → 금호시영아파트 → 운천저수지 → 계수초교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세하공영차고지 | ||||
| |||||
광주광역시 급행간선버스 순환01-B번 | |||||
기점 |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세하공영차고지) | 종점 |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세하공영차고지) | ||
종점 행 | 첫차 | 05:40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22:10 | 막차 | - | ||
평일배차 | 10~17분 | 주말배차 | 16~20분 | ||
운수사명 | 대원시내버스 | 인가대수 | -[2] | ||
노선 | A노선의 역순으로 운행. |
중간 출발 정류장 | |
양 방향 | 남광주역 05:40 |
2. 개요
세하동에서 출발하여 광주 시내[3]를 한 바퀴 도는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A, B)3. 역사
- 상무지구 회차지 문제로 인해 2017년 2월 25일 개편 때 세하공영차고지로 기점을 옮겼다. 또한 상무한국아파트와 운천초교 정류소에 미정차하게 된다.[4][5] 당초 풍암지구 구간을 대촌71번이 다니는 것처럼 직선화하려고 했지만 무산되었다.
- 순환버스임에도 양방향 노선의 번호가 같아 오랫동안 승객들에게 혼란을 줘 왔는데, 이러한 문제를 시에서 파악하고 2020년 11월 1일부터 순환01-A와 순환01-B로 노선 번호를 분리하여 운행한다. (관련기사(1),관련기사(2)) 그러나 다른 순환노선인 상무62번에는 도입되지 않았다.
4. 특징
- 원 형태로 순환하고 있으며, 광주광역시청과 버스터미널, 주요 대학들(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과 주거지역들을 모두 통과하고 있기에 수요가 상당히 높다. 광주 도시철도 문서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과거 광주 도시철도 2호선으로 지으려고 했던 노선의 모양과 거의 일치하며[7], 서울 지하철 2호선 순환선과 비슷한 개념이다.[8] 광주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구간과는 대부분이 겹치기 때문에[9] 해당 구간이 개통되면 노선이 2호선 2단계 구간에 맞춰 재조정되거나 폐지될 수 있다.
- 세하동에서 양방향 버스(내선 A노선, 외선 B노선)가 동시에 출발해 계수초교까지 붙어 운행한 다음 갈라진다. 그래서 특히 세하동 - 계수초교 구간에서 노선번호 뒤에 붙은 알파벳을 잘 보고 타지 않으면 반대로 돌아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알파벳으로 구분하기 전에는 소형 LED 행선판이나 종이 행선판으로 계수초교 이후에 어느 방향으로 가는지를 표시했는데, 문제는 예를 들면 '시청 방향'이라고 띄우면 계수초교->시청->유스퀘어 방향이라는 의미인데, 시청을 한 번 지났으면 다시 시청을 가지 않음에도 '시청 방향'을 띄우고 다니다 보니 방향을 거꾸로 착각하기 쉬웠다. 결국 순환 방향을 알파벳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편 수당 운행 횟수가 가장 적은 노선이다.[10] 사실 어쩔 수 없는 것이 순환01번의 편도 주행 시간이 무려 130분(2시간 10분)이기 때문이다. 덕분에 세하동에서 출발하는 막차 시간도 22:10으로 다른 급행간선/간선에 비해서 빠른 편.
- 서구문화센터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구간은 서구760번, 매월26번을 이용하자. 버스가 같이 온다면 매월26번이 조금 더 빠르게 가는 편이지만, 큰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먼저 오는 버스를 이용하도록 하자. 풍암한국아파트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구간의 경우는 송암47번, 서구763번[11]을 이용하자.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남광주농협 구간에서 경유지가 더 적은 수완03번이 신설되면서 이 노선이 5분 이상 먼저 가고도 따라잡히기 십상이다. 다만 03번에게 많은 수요를 넘겨주면서 앉아갈 확률은 이쪽이 더 높다.[12]
- 한때는 매월06번이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급행 노선 중 유일하게 공영차고지가 기종점인 노선이었으나, 이 노선이 세하공영차고지로 연장되면서 기록은 깨졌다. 동시에 좌석02번과 함께 급행버스 중 유일하게 2017년 개편 때 종점이 연장되었는데, 증차 없이 연장되고 개편 이후 3대나 감차 되어 공식 배차 간격이 17분까지 늘어나게 되었다.[13] 신설 당시 배차 간격이 8~9분이었던 리즈 시절은 이미 옛말이다.
- 이 버스는 순환01-A와 순환01-B가 나눠서 운행하기 때문에 그냥 타면 안 되고, 기사에게 행선지를 물어보거나 무슨 방향인지 확인 후 타야 한다.[16]
4.1. 노선
광주광역시 급행간선버스 순환01A, 순환01B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순환01A (↓) | 순환01B (↑) | ||||
세하동 - | ||||||
서창농협벽진지점 2126 | ↓ | ↑ | 서창농협벽진지점 2125 | |||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북) 2328 |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 2131 | |||||
5.18자유공원 2209 | ↓ | ↑ | 5.18자유공원 2210 | |||
상무금호아파트 2215 | 상무금호아파트 2216 | |||||
계수초교 2230 | ↓ | ↑ | 계수초교 2231 | |||
이하 편도 순환 구간 | ||||||
상무대우아파트 2217 | 한국국토정보공사 2237 | |||||
시청 2232 | ↓ | ↑ | 시청 2233 | |||
버들마을 2192 | 버들마을 2191 |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2002 | ↓ | ↑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2001 | |||
광천치안센터 2004 | 광천치안센터 2003 | |||||
경신여고 4434 | ↓ | ↑ | 경신여고 4435 | |||
신안교 4339 | 신안교 4338 | |||||
전남대사거리(동) 4349 | ↓ | ↑ | 전남대사거리(동) 4348 | |||
광주역육교 4540 | 광주역육교 4541 | |||||
전대동창회관 4558 | ↓ | ↑ | 전대동창회관 4559 | |||
서방사거리 1703 | 서방사거리 4565 | |||||
교육대 1706 | ↓ | ↑ | 교육대 4561 | |||
풍향시장 1708 | 풍향시장 4570 | |||||
산수오거리 1027 | ↓ | ↑ | 산수오거리 1026 | |||
법원입구 1056 | 법원입구 1057 | |||||
살레시오여고 1017 | ↓ | ↑ | 살레시오여고 1018 | |||
조선대 1047 | 조선대 1048 | |||||
남광주역 1141 | ↓ | ↑ | 남광주역 1142 | |||
양림휴먼시아2차 3079 | 양림휴먼시아2차 3078 | |||||
양림휴먼시아1차 3081 | ↓ | ↑ | 양림휴먼시아1차 3080 | |||
남광주농협 3207 | 남광주농협 3208 | |||||
백운우체국 3091 | ↓ | ↑ | 백운우체국 3093 | |||
무등시장입구(남) 3222 | 무등시장입구(남) 3211 | |||||
서남하이츠(국제양궁장) 3225 | ↓ | ↑ | 서남하이츠(국제양궁장) 3226 | |||
원광대한방병원 2251 | 원광대한방병원 2252 | |||||
풍암우미아파트 2262 | ↓ | ↑ | 풍암우미아파트 2263 | |||
풍암한국아파트 2266 | 풍암한국아파트 2267 | |||||
풍암한신아파트 2268 | ↓ | ↑ | 풍암한신아파트 2269 | |||
풍암모아아파트 2258 | 풍암모아아파트 2259 | |||||
마재우체국 2245 | ↓ | ↑ | 마재우체국 2246 | |||
마재대주아파트 2023 | 마재대주아파트 2024 | |||||
서구문화센터 2032 | ↓ | ↑ | 서구문화센터 2031 | |||
금호시영아파트 2009 | 금호시영아파트 2010 | |||||
CBS방송국 2013 | ↓ | ↑ | CBS방송국 2014 | |||
상무중 2079 | 금호초교 2076 | |||||
운천저수지 2088 | ↓ | ↑ | 운천저수지 2089 | |||
상무지구입구 2228 | 상무지구입구 2081 | |||||
상무쌍용금호아파트 2223 | ↓ | ↑ | 농협운천지점 2213 | |||
한국수자원공사 2240 | ||||||
이상 편도 순환 구간 | ||||||
계수초교 2231 | ↓ | ↑ | 계수초교 2230 | |||
상무금호아파트 2216 | 상무금호아파트 2215 | |||||
5.18자유공원 2210 | ↓ | ↑ | 5.18자유공원 2209 | |||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 2131 |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북) 2328 | |||||
서창농협벽진지점 2125 | ↓ | ↑ | 서창농협벽진지점 2126 | |||
세하동 - | ||||||
순환01A (↓) | 순환01B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광주광역시 순환버스 |
[1] 공휴일 20대[2] A번과 차량을 공유한다.[3] 시내라고 하지만 광주광역시가 외곽으로 크게 확장된 현재는 원도심 외곽을 순환하는 형태에 가깝다.[4] 시내버스 노선개편 시행안내, 2017-02-14, 광주광역시북구청[5] 광주, 시내버스 노선ㆍ운행체계 전면 개편, 2016-11-29, 한국일보[6] 순환01번은 서구 구간을 제외한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남광주농협에 이르는 상당히 긴 구간을 수완03번과 공유한다. 이 구간에서는 배차가 많고 더 빨리 가는 수완03번에 승객이 몰리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7] 현재의 대순환선이 아닌 유스퀘어를 지나는 소순환선 시절의 선형이다.[8] 광주광역시 급행버스들이 가진 특징이기도 하다. 1호선을 제외하고 과거에 세웠던 지하철 계획들이 모두 취소되면서 해당 구간 대부분을 시내버스로 운행 중이다.[9] 유덕역, 마재역, 월드컵경기장역, 풍암역을 제외한 1단계 구간의 모든 역에서 만난다.[10] 1대당 왕복 6~7회로 송암72와 공동 1위[11] 서구763번은 현재 운행 중단[12] RH 땐 그냥 01번과 03번 둘 다 터진다. 대신 터미널에서 목적지가 남광주농협 방향이라면 지원25번이 훨씬 빠르다. 자리도 상당히 널널하다.[13] 정체가 심한 출퇴근 시간대에는 배차 간격이 19~20분까지 늘어지기도 한다.[14] 광주 시내버스 대다수 노선이 가스 충전이나 운행 끝나고 소속 회사 차고지로 공차회송을 한다.[15] 가스 충전소도 세하공영차고지에서 상무대로 쪽으로 가다 보면 상무CNG충전소가 있어서 충전소 문제도 없다.[16] 예를 들어 세하동이나 김대중컨벤션센터-유스퀘어는 전남대, 광천치안센터 방향인 순환01-A번을 타야 하고, 순환01-B를 타면 남구쪽으로 가서 타면 안 된다. 역으로 유스퀘어에서 마륵역이나 종점을 가려고 하면 순환01-B를 타야 한다.[17] 운천저수지에서 하차 후 도보이용[18] 상무지구입구 또는 농협운천지점에서 하차 후 도보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