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9:28:04

김대중컨벤션센터역

마륵역에서 넘어옴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평동 방면공 항
하저터널 통과 → 2.9 km →
역명 표기
1호선 김대중컨벤션센터
Kim Daejung Convention Center
キム・デジュン コンベンションセンター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지하705 (마륵동)
운영 기관
1호선 광주교통공사
개업일
1호선 2008년 4월 11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金大中컨벤션센터(馬勒)驛 /
Kim Daejung Convention Center(Mareuk) Station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연계 교통6. 기타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14번.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지하705 (마륵동)[1]에 위치해 있다. 이 역부터 평동역까지를 이 역에서 관할한다.

2. 역 정보

파일:170225020839659_thumb_400.jpg
대합실
공사 당시 역명은 지역명을 딴 서창[2]이었으나 인근에 김대중컨벤션센터[3]가 있어서 2007년 6월 1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역이 됐다. 병기역명은 마륵.[4] 이 쪽은 해당 지역의 법정동명. 참고로 로마자 역명은 Kim Dae-jung Convention Center Station. 정말 길다.

대한민국 도시철도 중에서 유일하게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의 이름이 들어간 역이라 개통 당시 적잖은 관심을 받았다.[5] 이것이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전라도에는 김대중역, 김대중공항이 있다’라는 식으로 정치적 목적으로 와전되기도 했는데, 실상은 인근에 위치한 대형 전시장 이름을 역명으로 채택한 것[6]이고 마침 그 전시장 이름에 김대중 前 대통령의 이름이 있었을 뿐이다. 참고로 사람 이름을 딴 역으로는 경춘선 김유정역[7], 용인 에버라인김량장역[8]이 있다. 강감찬을 부역명으로 가진 낙성대역도 있다. 수로왕릉역이나 세종대왕릉역과 같이 국사 속 왕의 이름이 들어간 역도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이 등장하기 전까지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 함께 가장 이름이 긴 역[9]이었으나,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한글로는 10자, 로마자로는 40자)이 등장했으므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도 밀렸다.

JUC 페스티벌이 열리면 코스프레 복장을 한 코스어들이 역에 등장하는 진풍경을 볼수 있다.[10]

2.1. 승강장

파일:external/tv01.search.naver.net/40.jpg
승강장
파일:attachment/김대중컨벤션센터역/conventioncenter.jpg
역안내도
상무
공항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상무·농성·금남로4가·녹동 방면
공항·송정공원·광주송정·평동 방면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 시설물은 500미터 떨어진 김대중컨벤션센터와 몇몇 단독주택, 5.18 기념공원과 상무시민공원 및 조각공원, 결혼식장, 광주를 대표하는 호텔 중 하나인 홀리데이 인 호텔 등이 있으나, 지하철 연계가 그다지 좋지 않아 주말이면 결혼식이나 공원, 김대중컨벤션센터에 방문한 차량들로 혼잡하기도 하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9088><bgcolor=#009088> 연도 ||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bgcolor=#009088> 비고 ||
2008년
~
2015년
자료없음
2016년 2,268명
2017년 2,239명
2018년 2,210명
2019년 2,388명
2020년 1,604명
2021년 1,876명
2022년 2,333명
2023년 2,469명
출처
국토교통부 철도통계

5. 연계 교통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2131)
급행버스 순환01, 좌석02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순환01
세하공영차고지 - 남광주역 - 전남대사거리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시청 - 세하공영차고지
좌석02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광주송정역 - 한국에너지공과대학
}}} ||
간선버스 송정19, 일곡38, 운림50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송정19
도산동 - 광주송정역 - 전남대동문 - 장등공영차고지
일곡38
살레시오고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시청 - 송산유원지
운림50
세하공영차고지 - 염주맨션 - 라인효친 -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
지선버스 첨단20, 상무62, 상무64, 대촌69, 송암73, 대촌270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첨단20
첨단공영차고지 - 광주우편집중국 - 흑석사거리 - 광주월드컵경기장
상무62
상무조각공원 - 동천마을3단지 - 영광통 - 상무조각공원
상무64
세하공영차고지 - 시청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전남대학교 - 비엔날레전시관
대촌69
칠석 - 서창동주민센터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양동시장역
송암73
도산동 - 상무역 - 백운광장 - 서광주역
대촌270
매월공영차고지 - 운천저수지 - 서창동주민센터- 구소
}}} ||
나주버스 160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160
영산포공용터미널 - 광주송정역 - 서구청 - 전남대동문 - 문흥동
}}} ||
함평버스 500번대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500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영광통 - 삼도 - 월야 - 함평
}}} ||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2132)
간선버스 송정19, 운림50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송정19
도산동 - 양동시장역 - 전남대동문 - 장등공영차고지
운림50
세하공영차고지 - 염주맨션 - 라인효친 -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
지선버스 첨단20, 상무62, 대촌69, 송암73, 대촌270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첨단20
첨단공영차고지 - 광주우편집중국 - 흑석사거리 - 광주월드컵경기장
상무62
상무조각공원 - 동천마을3단지 - 영광통 - 상무조각공원
대촌69
칠석 - 서창동행정복지센터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양동시장역
송암73
도산동 - 상무역 - 백운광장 - 서광주역
대촌270
매월공영차고지 - 운천저수지 - 서창동행정복지센터- 구소
}}} ||
나주버스 160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160
영산포공용터미널 - 광주송정역 - 서구청 - 전남대후문 - 문흥동
}}} ||
함평버스 500번대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500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영광통 - 삼도 - 월야 - 함평
}}} ||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북)(2328)
급행버스 순환01, 좌석02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순환01
세하공영차고지 - 남광주역 - 전남대사거리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시청 - 세하공영차고지
좌석02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광주송정역 - 한국에너지공과대학
}}} ||
간선버스 일곡38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일곡38
살레시오고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시청 - 송산유원지
}}} ||
지선버스 상무64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상무64
세하공영차고지 - 시청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전남대학교 - 비엔날레전시관
}}} ||

6. 기타

7. 둘러보기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파일:김대중 투명.svg김대중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AA7B> 일생 일생
발언 행동하는 양심 · 앙망하옵니다
논란 논란
가족 고조부 김익조 · 아버지 김운식 · 아내 이희호 · 아들 김홍일 · 아들 김홍업 · 아들 김홍걸
정책 한일안보협력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햇볕정책 · 대중경제론 · 국민PC · 국립대학구조조정계획 · 2000 남북정상회담
역대 선거 제7대 대통령 선거 · 제13대 대통령 선거 · 제14대 대통령 선거 · 제15대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1964년 국회 필리버스터 · 김대중 납치 사건 ·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 김대중 직선제 반대발언 모함사건 · DJP연합 · 불법 대북송금 사건
기타 동교동계/DJ키즈 · 아크로 닷컴 · DJ로드 · 남프라이즈 · 삼김시대/양김 · 대중경제론 · 김대중컨벤션센터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김대중평화센터 · 김대중도서관 · 김대중대교 · 청년김대중 · 별명 · 슨상님 · 김대중 마이너 갤러리 · 자네가 다 먹어부렀어? · 길위에 김대중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국민의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국민의 정부 참고
}}}}}}}}} ||


[1] 마륵동 170-40[2] 행정동 상의 지역명이자, 1988년 이전에는 광산군 서창면이었다. 광주 편입 이후에도 광산구에 속했다가 1995년에 서구로 편입되었다.[3] 2005년 9월 6일 개관.[4] 2단계 개통 전인 녹동~상무 구간만 운행하던 시절 차내 노선도와 플랫폼 노선도 등에 서창역으로 표시되어 있었으나, 개통 직전 현재의 역명이 확정된 뒤 모두 변경됐다.[5] 개통 후 김대중 前 대통령은 이 역의 개통을 지켜본지 1년 후인 2009년 8월 18일에 세상을 떠났다.[6] 벡스코역, 킨텍스역이 유사 사례이다.[7] 본래 이름은 '신남역'이었으나 소재지인 신남면이 통폐합돼 사라졌고, 이에 춘천시가 김유정문학촌 조성에 발맞춰 역명 변경을 추진해 2004년 이름이 바뀌었다.[8] 동네 이름이 '김량장동'인데, 김량장이라는 지명 자체가 역 인근의 '김량장'이라는 시장에서 따온 것이다. 그리고 김량장이라는 이름 자체가 '김량'이라는 장수가 살던 지역에서 세워진 장이라고 붙은 이름.[9] 한글로 8자(부역명을 포함하면 10자), 로마자로 26자(부역명을 포함하면 32자). 로마자 명칭은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경성대·부경대역, 경기도청북부청사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 이어 5위.[10] 서코행사장 주변의 학여울역, 양재시민의숲역부코행사장 주변의 센텀시티역과 비슷한 모습이다. 환승역인 종합운동장역(서울)도 비슷하다.[11] 운천역, 김대중컨벤션센터역, 상무역[12] 그 이유는, 서구와 광산구를 가르는 영산강을 지하로 통과하고, 두 역 사이에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13] 그래도 가속하며 높은 속도를 유지하는 공항역-김대중컨벤션센터역 구간과 달리 여기서는 아예 엔진을 계속 켜놓지 않고 켰다 껐다 하면서 탄력주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