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2 17:34:24

킨텍스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INTEX역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부역명이 '킨텍스'였던 수도권 전철 3호선의 309번역에 대한 내용은 대화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킨텍스역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운정 방면
운 정

← 6.7 km
GTX-A
(X102)

(미개통)
동탄 방면
대 곡

6.9 km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KINTEX
한자 킨텍스
간체자 韩国国际会展中心
가나 キンテックス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1753
운영 기관
GTX-A 지티엑스에이운영(주)
개업일
GTX-A 2024년 12월 예정
역사 구조
지하 7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파일:킨텍스역.png
킨텍스역 조감도.

KINTEX Station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승강장5. 연계 교통
5.1. 원시티 103동 앞 정류소5.2. 포레나 201동 앞 정류소5.3. 원시티 201동 앞 정류소5.4. 힐스테이트 102동 앞 정류소5.5. 포레나 202동 앞 정류소5.6. 현대모터스튜디오 앞 정류소
6. 일평균 승차량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GTX A선 X102번.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태극로에 위치해 있다. 킨텍스 원시티 아파트 103동 지하에 들어선다. 왜 아파트 지하에 들어서는지는 밑의 문단 참고.

2. 역 정보

파일:article232323.jpg
2016년 1월 언론보도로 KINTEX역을 킨텍스 1/2 전시장 쪽으로 붙여달라는 논의가 있다고 보도되었다. 기사 원래 킨텍스역이 종착역으로 계획되던 시절에는 현대백화점 킨텍스점-레이킨스몰 앞에 계획이 됐다. 그러나 운정3지구 연장을 하게 되면서 운정 급회전을 할 구간이 부족해져서 현대백화점-레이킨스몰에다가 역을 놓기가 어려워졌다.

국토교통부에서는 킨텍스 제1전시장과 제2전시장 사이의 한류월드로에다가 역을 놓든가, 킨텍스 원시티 아파트 단지 내부에 역을 놓든가 둘 중 하나를 정해야 했다. 킨텍스 전시장 측과 여기에 출자한 KOTRA에서는 '당연히' 킨텍스 1-2 전시장 사이의 한류월드로 사이를 요구했다. 그런데 킨텍스 원시티 아파트를 개발하면서 원시티를 개발하는 시행사 측이 기부채납 형식으로 역 부지 + 교통부담금을 무상제공하면서 킨텍스 원시티 103동에 킨텍스역이 들어서게 됐다. 한류월드로 지하에 지으려면 국토교통부가 돈을 내야하는데 원시티 아파트 103동 지하에 들어서게 되면 공짜로 역이 들어서게 되니까 말이다. 참고로 킨텍스역 건설비는 160억 원, 토지보상비까지 합칠 시 550억 원으로 전망된다. 킨텍스 원시티 측에서는 분양대금에 이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역 부지를 무상으로 정부에 제공했다. 무상제공으로 지하철역을 가져가버린 원시티 아파트측에 대해, 당황한 킨텍스와 KOTRA에서는 고양시청과 고양시의회에 킨텍스역을 원시티 103동 위치에서 한류월드로 지하로 이전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제출시켰다. 그러나 이 결의안은 2018년 8월 30일 반대 다수로 부결됐다.[1] 결국 2019년 11월 현재 킨텍스 원시티 103동 지하에 킨텍스역 공사를 하고 있다.

다만 전시장으로써의 킨텍스의 미래를 생각해보면 이는 일개 아파트의 접근성을 위해 킨텍스의 접근성을 해친 행위로도 볼 수 있는데, 역이 킨텍스사거리 지하에 지어지게 되면서 킨텍스 입구까지 직선거리만 500~600m 정도가 떨어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기존에 킨텍스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였던 3호선 대화역도 킨텍스에서 500m 정도 떨어져 역과의 접근성이 좋지 않다는 평가를 계속 들어 왔던 것을 생각하면, 이용객에겐 거의 도돌이표나 다름없다. 다만 킨텍스역이 생기면 도로 횡단을 안해도 되는데다가, 제2킨텍스의 경우 대화역에서 거의 1km 가까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거리가 확연히 줄어들며 전동 킥보드와 전기자전거 서비스의 보급으로 이런 단점이 많이 상쇄되었다. 실제로 앱을 통해 살펴보면 이 근처는 고양시 공용자전거 서비스 TAZO와 사설 전기자전거(elecle), 그 외 각종 킥보드 서비스들의 천국이다.[2]

현재로써는 역 유치의 의의인 킨텍스 접근성, 일산 시민들의 서울~강남 교통난 해소에 둘 다 부합하는지는 미지수인데, 앞선 문단처럼 킨텍스 사거리로 역이 이동하면서 킨텍스에 대한 접근성도 대화역에 비해 그리 메리트가 크지 않게 되었고, 착공 후보였던 두 위치 모두 사실상 원시티, 장성마을, 대화마을, 문촌마을 일부분 등 도보로 접근할 수 있는 주거단지를[3] 제외하면 일산신도시 도심에서 접근할수 있는 교통수단이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이 점은 원시티 안의 교통 인프라가 조금 더 확충되면 어느 정도 해소 될 수 있겠지만, 연계 교통에 대해서는 더 확충될지는 역사가 완공되고 지켜봐야 할 듯 하다. 한참 공사중인 지금 시점에선 역 위치 변경은 불가능하니, 두마리 토끼를 애매하게 전부 놓친 상황.

그렇지만 킨텍스역 동측으로 EBS 본사, JTBC 스튜디오, 빛마루 방송지원센터를 비롯한 업무, 방송 시설과 CJ라이브시티를 위시한 문화, 공연 시설이 들어오고 있고, 현 위치가 양쪽에서 이용하기 용이한 중간 위치에 해당하며, 2025년까지 일산테크노밸리와 장항택지지구, 일산방송밸리가 들어서는데 거기에 킨텍스지원단지까지 합치면 거의 일산신도시 절반 만한 면적이 주거지와 상업시설로 들어차게 된다. 해당지역에 대한 교통대책이 인천2호선 일산테크노밸리역(그나마도 2028년 예정) 이외에는 전무함을 고려하면 장차 큰그림으로는 나쁘다고만 보기는 어렵다.[4]

파일:kintex_stn_update.jpg

2022년 8월 5일 기준 공사 현황.출처 킨텍스 제2전시장에는 환기구가 설치된다.


2023년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은 킨텍스역에서 킨텍스 제1-제2전시장 하부까지 연결하는 무빙워크 등 대책을 제시해 킨텍스역에서 킨텍스 접근성을 높이라고 지시하였다.

3. 역 주변 정보

KINTEX가 주변에 위치해 있다. 철도교통을 이용하기 불편했던 킨텍스 입주기업, 전시 행사 등의 방문객들의 편의가 개선될 예정이다. 킨택스 주변 상가로는 이마트 킨텍스점[5],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킨텍스점이 있고, 현대백화점 킨텍스점과 레이킨스몰 안에 영화관메가박스 킨텍스도 있다.

또한, 북동쪽으로 직선거리 600m 가량 거리에 고양 원마운트가 위치해 있으며, 그 너머에 한화 아쿠아 플라넷과 일산 호수공원 노래하는 분수대가 위치해 있다.

또한, 1km 정도 떨어진 곳에 3호선 대화역[6]이 있는데, 만일 킨텍스 1, 2전시장 사이 정도로 출구를 길게 뽑아내어 뚫어준다면 도보 20분 거리 정도 걸리는 소프트 환승을 고려해 볼 만은 하다. 하지만 2023년 현재에 이르러서는 각종 버스노선들이 커버를 잘 쳐주고 있기 때문에[7] 한두푼이 아닌 공사비 예산을 투입할 일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사실 어차피 앞 역인 대곡역에서 일산선(3호선)과 GTX-A 노선이 서로 만나기 때문에 서울에서 GTX를 타고 대화역으로 간다면 여기 말고 대곡역에서 갈아타면 된다.

4. 승강장

운정
2 1
대곡
1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연신내·삼성·성남·동탄 방면
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운정 방면

5. 연계 교통

GTX 개통 이전인 2023년 기준이며, 개통 이후에는 버스 노선들이 이보다 더 확충될 것이다.

5.1. 원시티 103동 앞 정류소

010}}} - 아쿠아리움, 빛마루 방면089}}} - 소노캄, 원시티, 이마트킨텍스점 방면999}}} - 풍산역, 식사동, 신원마을 방면1100}}} - 행신동, DMC, 숭례문 방면M7646}}} - 동구청, 당산역, 영등포 방면

5.2. 포레나 201동 앞 정류소

010}}} - 암센터, 마두역, 약산마을 방면080}}} - 주엽역, 백마역, 식사동 방면089}}} - 주엽역, 마두역, 화정 방면999}}} - 백병원, 대화역, 서구청 방면

5.3. 원시티 201동 앞 정류소

062}}} - 대화역, 대화마을, 가좌마을 방면082A}}} - 주엽역, 백석역, 풍동 방면

5.4. 힐스테이트 102동 앞 정류소

062}}} - 이마트킨텍스점 방면M7731}}} - 합정역, 홍대입구역, 공덕역 방면

5.5. 포레나 202동 앞 정류소

010}}} - 암센터, 마두역, 약산마을 방면062}}} - 대화역, 대화마을, 가좌마을 방면080}}} - 주엽역, 백마역, 식사동 방면082A}}} - 주엽역, 백석역, 풍동 방면999}}} - 백병원, 대화역, 서구청 방면

5.6. 현대모터스튜디오 앞 정류소

089}}} - 주엽역, 마두역, 화정 방면1100}}} - 서구청, 가좌마을, 송포초 방면M7646}}} - 킨텍스, 대화마을, 가좌마을 방면M7731}}} - 대화역, 탄현역, 덕이동 방면

6. 일평균 승차량

7. 둘러보기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a6292>
명칭 미고시
'''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고양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02574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KTX BI.svg 행신 · 대곡
무궁화호 대곡 · 원릉
파일:Seoulmetro3_icon.svg 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대곡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지축
파일:GJLine_icon.svg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한국항공대 · 향동
파일:SeohaeLine_icon.svg 탄현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킨텍스 · 대곡 · 창릉
서부선 고양시청 · 화정 · 창릉 3 · 창릉 · 창릉 1 · 향동지구
도로 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선 · 평택파주선 · 인천국제공항선 · 양재고양선
국도 1(통일로) · 39(호국로) · 77(자유로)
지방도 78 · 98 · 356 · 357(제2자유로) · 359 · 363 · 367
버스 고양종합터미널 · 화정터미널[1] · 일산터미널
고양BRT · 고양시의 버스 목록 · 고양시의 마을버스
공유자전거 피프틴[2] · TAZO · 쏘카일레클 · 카카오 T 바이크
공유킥보드 BEAM · Lime · SWING · 씽씽 · 지쿠터 · 킥고잉[3]
경기도의 교통
[1] 2023년 5월 31일 운영 종료
[2] 2021년 6월 1일 부로 사업 종료
[3] 2023년 12월 28일 부로 고양시 서비스 철수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킨텍스KOTRA 33.33%, 경기도청 33.33%, 고양시청 33.33%로 출자하여 의결권을 1:1:1로 행사한다. 즉 킨텍스에서 재정지출이 발생하면 출자사인 고양시에서도 예산을 작성해서 시의회 의결 후에, 추가예산을 지출해야 한다.[2] 다만 Swing과 Lime은 원시티 안으로 못 들어간다.[3] 이 부분도 역사가 바로 위치한 위시티를 제외하면 도보로 15분 이상 소요된다.[4] 물론 일산신도시 절반만한 추가면적을 커버한다는 말은 해당 지구 조성 완료 이후에도 일산신도시의 1/3밖에 커버하지 못한다는 말과 다름이 없다. 또한, 3호선을 중심으로 긴 선형으로 개발된 일산신도시 구 시가지 특성상, 출퇴근 시간의 정체를 고려하면 기존과 같이 일산서구를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차라리 3호선&중앙선 전철 연계가 가능한 대곡역 이용이 압도적으로 유리할 전망이다. 결과적으로 기존 일산신도시 주민들이 요구했던 서울과의 연계교통 추가 요구는 정작 일산신도시에 없는 대곡역이 예전과 다를 것 없이 충족시키게 된다.[5] <더 타운몰> 형태이지만, 다른 지점과는 달리 내부에 '이마트(대형마트)'가 없다. (23년 1월에 철수)[6] 애초에 이 역은 부역명이 킨텍스다.[7] 킨텍스 원시티 문서의 교통 부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