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국(현대건설)역 | ||
| ||
대화 방면경복궁 ← 1.1 ㎞ | 3호선 (328) | 오금 방면종로3가 1.0 ㎞ → |
역명 표기 | ||
3호선 | 안국 (현대건설) Anguk (Hyundai E & C) 安國 / 安国 / [ruby(安国, ruby=アングク)] | |
주소 |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지하62 (안국동 73-1) | ||
소속 영업사업소 | ||
3호선 | 경복궁영업사업소 안국역 | |
운영 기관 | ||
3호선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
3호선 | 1985년 10월 18일 | |
역사 구조 | ||
지하 4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섬식 승강장 |
1. 개요
수도권 전철 3호선 328번[1].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지하62 (안국동 73-1) 소재.2. 역 정보
|
대합실 |
|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 승강장 |
|
역 안내도 (크게보기) |
2019년 3.1운동 100주년 서울시 기념 사업의 일환으로 안국역에 독립운동 테마역이 조성되었으며, 승강장 안전문에 독립운동가들의 사진과 명언이, 대합실에는 관련 전시물이나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병기역명(현대건설)까지 방송하지만,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에서는 안국 역명만 방송한다.
3. 역 주변 정보
헌법재판소, '계동 현대 사옥'이라고 부르는 현대건설 및 현대엔지니어링 본사, 현대건설 본사 뒤쪽의 대동세무고등학교, 역 동쪽에 있는 공간 사옥, 종로소방서 임시청사, 창덕궁과 창경궁, 조선왕조의 별궁이었던 운현궁, 운현궁 건너편에는 천도교 대본당과 수운회관이 있다.대한민국 최초의 초등학교인 서울교동초등학교가 있고 서울재동초등학교, 대동세무고등학교, 덕성여자중학교, 덕성여자고등학교, 중앙중학교, 중앙고등학교, 서울경운학교 등 총 8개의 학교가 위치해 있다. 또한 '악기의 용산상가'라 할 수 있는 낙원상가가 있는데, 실은 5호선 종로3가역이 더 가깝다. 물론 구파발/대화 쪽에서 3호선을 타고 왔다면, 그냥 여기서 내려서 걸어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 그리고 서울특별시교육청정독도서관(구 경기고등학교)과 헌법재판소가 위치해 있다. 북촌한옥마을도 이 역 근처에 있는데, 2번 출구에서 내려 헌법재판소를 지나서 가회동 방면으로 가다 보면 나온다.(시설들의 자세한 위치는 지도를 참고) 역에서 조금 떨어져 있지만 남쪽의 종각역 쪽으로 조계사가 있다.
6번 출구 바로 앞은 서울종로경찰서이며, 1번 출구 근처에는 덕성여자중학교와 덕성여자고등학교가 있다. 풍문여자고등학교도 있었지만 2017년 3월에 강남구 자곡동으로 이전하고 남녀공학으로 전환하여 풍문고등학교로 바뀌었다.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한 보건복지부 또한 현대그룹 본사 건물에 있었다.
약간 걸어가야 하는 거리에 블루보틀 삼청 카페가 있다.
위 항목에서 보듯이 역 주변에 유독 학교가 많다. 그래서 아침에는 여고생, 여중생들이 많이내리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만약 1970년대에 강남으로 이전한 휘문고등학교와 경기고등학교가 그대로 있었다면 학생 수는 훨씬 많았을 것이다. 참고로 광복 전후에는 안국역 서측의 교차로(인사동, 삼청동 입구)를 '학생 육거리'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리고 이전 휘문고등학교 부지는 현대그룹 본사, 경기고등학교 부지는 서울특별시교육청정독도서관이었다. 창덕여자고등학교 부지에는 헌법재판소가 들어섰다. 그리고 조계사 앞 공원도 원래 중동고등학교, 수송전기공업고등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였다.
역 위의 사거리 교차로가 네 종류의 좌회전 중 동쪽(창덕궁, 현대그룹 본사 사옥) → 남쪽(낙원상가, 남쪽 → 서쪽(종로경찰서,舊 풍문여고)으로의 좌회전만 허용하고 있으며 나머지 두 경우는 안 돼서 P턴, 유턴 등을 통해 가야 했다. 종로02번 마을버스도 이 경우로서 서쪽 → 북쪽(헌법재판소, 북촌 등)을 좌회전으로 바로 못 가고 남쪽으로 우회전 → 유턴 → 북쪽으로 직진을 통해서 갔다.
하지만 서쪽 → 북쪽이 어느새 제한이 풀리어 종로02번 버스도 유턴을 할 필요 없이 바로 좌회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2021년 5월 개관한 노무현시민센터도 이 역에서 가장 가깝다.
2022년 송현광장이 서측에 개방했고, 수년 내 이건희 기증관이 광장 동측에 건설될 예정이다.
안국역 주변에 미술관이 많이 있다.
3.1. 출구 정보
| |
1 | 경복궁 방면 열린송현녹지광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공예박물관 덕성여자중·고등학교 종로문화원 |
2 | 서울재동초등학교 헌법재판소 서울특별시교육청 정독도서관 가회동주민센터 방면 북촌한옥마을 중앙중·고등학교 고려사이버대학교 |
3 | 창덕궁 현대건설 본사 대동세무고등학교 창경궁 서울대학교병원 노무현시민센터 |
4 | 숭실사이버대학교 떡박물관 운현궁 운현초등학교 덕성여자대학교 종로운현캠퍼스 종로1,2,3,4가동주민센터 종묘 서울돈화문국악당 종로소방서 돈의동 서울시도심권50플러스센터 |
5 | 탑골공원(후문) 낙원상가 한국공예문화진흥원 서울특별시 낙원생활문화지원센터 목인박물관 보니장신구박물관 서울노인복지센터 종로세무서 |
6 | 인사동 쌈지길 조계사 서울종로경찰서 종로구청 서울지방국세청 종각역 방면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ef7c1c><bgcolor=#ef7c1c> 연도 ||
||<bgcolor=#ef7c1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47,486명 | |||
1995년 | 47,304명 | ||||
1996년 | 47,965명 | ||||
1997년 | 44,805명 | ||||
1998년 | 42,295명 | ||||
1999년 | 자료없음 | ||||
2000년 | 36,857명 | 비고 | |||
2001년 | 39,902명 | ||||
2002년 | 44,712명 | ||||
2003년 | 46,424명 | ||||
2004년 | 46,037명 | ||||
2005년 | 45,564명 | ||||
2006년 | 45,304명 | ||||
2007년 | 47,660명 | ||||
2008년 | 48,688명 | ||||
2009년 | 50,399명 | }}}}}}}}} | |||
2010년 | 51,848명 | ||||
2011년 | 53,665명 | ||||
2012년 | 55,263명 | ||||
2013년 | 55,517명 | ||||
2014년 | 59,342명 | ||||
2015년 | 56,423명 | ||||
2016년 | 56,272명 | ||||
2017년 | 54,028명 | ||||
2018년 | 52,469명 | ||||
2019년 | 51,621명 | ||||
2020년 | 31,694명 | ||||
2021년 | 32,335명 | ||||
2022년 | 42,852명 | ||||
2023년 | 50,938명 | ||||
2024년 | 53,449명 | ||||
출처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2] |
도심 구간에 있는 역으로 직장인도 많지만 관광객의 비중이 더 높은 역으로서, 한국 관광시장의 성장 여부에 따라 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역이다. 근처에 창덕궁, 인사동길, 북촌한옥마을, 운현궁, 조계사, 삼청동 등 전통을 간직한 유적지 및 문화거리가 널려있어서 서울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꼭 찾는 역들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는데, 그 때문인지 중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어났던 2010년대 초반에 비약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2014년에는 일평균 6만명을 눈앞에 둘 정도로 성장을 했지만 2015년 이후로는 다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5. 승강장
|
3호선 승강장 |
|
1985년 시운전 당시 |
|
3호선 역명판(현대건설 부기전) |
경복궁 ↑ | |||
ㅣ | 하 | 상 | ㅣ |
↓ 종로3가 |
상 | | 경복궁·연신내·구파발·대화 방면 |
하 | 종로3가·충무로·옥수·오금 방면 |
역사 리모델링과 독립운동 테마역 조성과 함께 역 내 기둥의 타일 마감재를 하얀색으로 바꾸었으며, 역명판이 서울남산체로 바뀌었다.
이 역의 구내의 구배는 종로3가 방면으로 5퍼밀 하구배가 있다.
2025년 3월 기준 안전문 유리 역명판이 부분적으로 붙여져 있다. 또한 서울교통공사 관할 역 중에서 마지막으로 붙여진 역이다.
6. 기타
- 일부 대한민국의 오덕들에게는 JMIC가 있는 걸로 더 유명하고, 고스트 메신저 오프닝 영상에서 바리낭자가 걸어가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몇몇 고메덕들 사이에서 성지순례가 한창이었다고 한다. 다만 고증은 틀렸다. 타일 무늬도 다르고 실제 안국역은 섬식 승강장이지만, 애니에서는 상대식 승강장으로 나왔다. 고스트 메신저가 묻힌 뒤로는 뚝 끊겼다. 그래도 아예 묻힌 건 아니라 가끔 보인다고 한다.
- 젝스키스의 Road fighter 뮤직비디오가 이 역에서 촬영된 적도 있다.
- 가끔 역사로 내려가는 계단에 유니세프 목걸이 같은 걸 달고 서명받는 남/녀가 있다. 제대로 확인도 하지 않고 그냥 서명하면 다짜고짜 후원비 명목으로 돈 내고 가라고 하니 주의해야 한다.
- 1호선 종각역, 4호선 혜화역과 함께 성대입구 대접을 받는 역이다. 여기서 나와서 마을버스를 타면 성균관대학교의 언덕길에서 해방된다. 다만 9시 타임에는 이미 종각에서 사람들을 다 채우고 오기 때문에 이 역에서 내려서 타기 매우 힘들다. 그나마 입석으로라도 탈 가능성을 높이고 싶다면 6번출구에서 타야 한다.
- 이 역과 종로3가(3호선) 구간은 3호선에서 가장 악명높은 드리프트 구간이다. 그래서 종로3가로 갈 때 저속으로 출발한다. 지축-구파발 구간보다도 느리게 진행하는데, 지축-구파발 구간은 현재 개량되어 이전보다 빠르게 통과가 가능해졌다.
- 삼청동 방향 출구로 가는 계단 쪽에 미니스톱이 있다.
- 이 역의 1번 출구를 찾기 어렵다. 안 그래도 다른 역들과 달리 한 상가의 벽에 있는데, 위에 다이소 간판도 있어서 얼핏 보면 다이소 가는 길처럼 보인다.
6.1. 대통령 탄핵 심판 관련
헌법재판소와 가장 가까운 역이기 때문에 헌법재판소에서 대통령 탄핵 심판이 있으면 탄핵 찬반 집회에 참석하는 인파로 인해 역이 매우 혼잡해진다.* 2017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으로 인해 헌법재판소가 위치한 안국역은 자연스럽게 탄핵 촉구와 탄핵 반대 집회가 연이어 벌어지게 되었다. 이 때문에 안국역에서는 양측의 동선을 분리하고자 임시 이정표를 붙여줬다.[4] 탄핵 인용이 확정된 이후 탄기국, 박사모 등등이 이 곳에서 경찰과 대치하며 폭력 시위를 벌인 적이 있다.
* 2024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열리게 되면서 또다시 찬반 집회의 성지가 되었다. 이에 따라 다시 한번 이 역 인근이 복잡해질 것으로 전망되어, 이 역의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서울교통공사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도시철도법 제36조[5]를 들어 탄핵선고일 전후로 전면 휴업을 할 수 있음을 3월 14일에 미리 공고하였다. 선고일이 발표된 2025년 4월 1일 12시부로 2~5번 출구[6]가 폐쇄되었고, 선고 전날인 4월 3일 16시부터 휴업을 시작하여 무정차 통과가 시작되었다.4월 3일자 무정차 통과장면 선고 당일인 4월 4일에도 첫차부터 모든 열차가 무정차 통과하였으나 인파가 줄어들면서 다시 16시 32분부로 운행이 재개되었다.
- [안내문 보기]
7. 연계 교통
|
|
|
|
|
|
|
|
8.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f7c1c> 일산선 | 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
서울 지하철 3호선 | 구파발 - 녹번 - 홍제 - 무악재 - 독립문 - 경복궁 - 안국 - 동대입구 - 금호 - 압구정 - 잠원 - 남부터미널 - 매봉 - 대치 - 학여울 - 대청 - 일원 - 경찰병원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개정 전 18번. 현재 3호선의 18번은 삼송역이 가져갔다.[2]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3] 2015년부터 기존 대사관을 철거한 후 같은 자리에 신축하는 공사로 인해 잠시 트윈트리 타워로 이사가면서 안국역과는 살짝 더 멀어지게 되었다.[4] 위 사진에서 '비상국민행동'이라 적혀 있는 곳으로 가면 박근혜 퇴진 범국민행동쪽으로 가는 길이고, '탄기국'이라 적혀있는 곳으로 가면 박근혜 탄핵 반대 집회 쪽으로 가게 된다.[5] 도시철도운송사업자가 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업 또는 폐업하는 절차를 규정한 조문이다. 안국역사가 도시철도시설에 해당되기 때문에(법 제2조) 도시철도법을 근거로 들었다.[6] 안국역사거리 교차로변에 위치한 출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