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21:39:31

분당신도시

파일:LH 심볼.svg 대한민국 정부의 신도시 계획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a3cd39> 1기 [[분당신도시|
분당신도시
경기 성남시
]] | [[일산신도시|
일산신도시
경기 고양시
]] | [[중동신도시|
중동신도시
경기 부천시
]] | [[평촌신도시|
평촌신도시
경기 안양시
]] | [[산본신도시|
산본신도시
경기 군포시
]]
2기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
경기 수원시·용인시
]] | [[판교신도시|
판교신도시
경기 성남시
]] | [[운정신도시|
운정신도시
경기 파주시
]] | [[양주신도시|
양주신도시
경기 양주시
]] | [[한강신도시|
한강신도시
경기 김포시
]] | [[위례신도시|
위례신도시
서울 송파구·경기 하남시·성남시
]] | [[아산신도시|
아산신도시
충남 아산시·천안시
]] | [[동탄1신도시|
동탄1신도시
경기 화성시
]] | [[동탄2신도시|
동탄2신도시
경기 화성시
]] | [[검단신도시|
검단신도시
인천 서구
]] | [[도안신도시|
도안신도시
대전 서구·유성구
]] | [[고덕국제신도시|
고덕국제신도시
경기 평택시
]]
3기 [[왕숙신도시|
왕숙신도시
경기 남양주시
]] | [[교산신도시|
교산신도시
경기 하남시
]] | [[계양신도시|
계양신도시
인천 계양구
]] | [[창릉신도시|
창릉신도시
경기 고양시
]] | [[대장신도시|
대장신도시
경기 부천시
]] | [[광명시흥신도시|
광명시흥신도시
경기 광명시·시흥시
]] | [[의왕군포안산신도시|
의왕군포안산신도시
경기 의왕시·군포시·안산시
]] | [[진안신도시|
진안신도시
경기 화성시
]]
대한민국 정부(국토교통부) 관장 신도시만 기재. 참고: 국토교통부 신도시 정책자료
}}}}}}}}} ||

1기 신도시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분당신도시
盆唐新都市
Bundang New Town
}}}
<colbgcolor=#a3cd39><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성남시
면적 19.62㎢

1. 개요2. 역사
2.1. 개발 이전2.2. 개발 추진2.3. 시 승격 문제
3. 주거 환경
3.1. 아파트 목록
3.1.1. 중앙3.1.2. 북부3.1.3. 남부
3.2. 정비사업3.3. 재건축
4. 상세
4.1. 마을 구분
4.1.1. 구 돌마면 지역4.1.2. 구 낙생면 지역
5. 교통
5.1. 철도5.2. 버스
5.2.1. 시외버스5.2.2. 시내버스
5.3. 도로
6. 주요 유통 및 상권, 보건, 주민편의시설7. 창작물에서의 등장8. 이야깃거리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분당신도시 관련 각종 사진 자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attachment/1369113195.jpg
파일:attachment/분당신도시/bundang.jpg
분당신도시 개발계획도
파일:분당정자동.jpg
파일:attachment/59555.jpg
분당신도시의 풍경.[1]
파일:attachment/P1410394.jpg
파일:정자일대.jpg
분당신도시의 야경[2] }}}}}}}}}
경기도 성남시에 조성된 1기 신도시이다.

2. 역사


2.1. 개발 이전

신도시가 들어서기 전에는 "성남 남단녹지"라고 불리던 곳으로, 수도권 지역을 수요로 하는 오이밭, 참외밭이 많았던 전형적인 농촌 지역이었다.

광주군 시절 돌마면(야탑, 이매, 서현, 분당, 수내, 정자)과 낙생면(구미, 금곡)에 속했으며, 1973년 성남시 분리 승격 이후 돌마출장소 관할 지역이 되었다. 1976년부터 1989년까지 총 13년 동안은 ‘남단 녹지’라는 이름의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었다. 그래서 논과 밭이 매우 많았으며, 소규모 공장들도 곳곳에 산재해 있었다. 참고로 율동공원의 분당저수지는 원래 농업용 저수지였다.

카더라로 1974년 박정희 전 대통령헬리콥터를 타고 전국을 순시하던 중, 현재의 분당·판교 지역을 지나면서 “앞으로 요긴하게 쓰일 땅이니 개발하지 말고 보존하라.”라고 했다고 한다. # 비단 이런 이유뿐만 아니더라도 이 당시에는 쌀자급이 국가적 과제였던 시대였고, 또한 녹화사업이 진행된지 오랜 세월이 흐르지 않았던지라 원래 민둥산이었던 산골짜기 지역에 개발하는 것이 만만하다는 인식이 강했으며, 산골짜기는 사유지가 별로 없었기 때문에 성남 본시가지가 돌마를 제치고 개발이 된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1970년대 중후반부터 1980년대에 이르는 기간까지는 성남 본시가지에 직장을 두던 서민들이 싼 전월세비에 구 돌마지역에 주거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은 이상한 소리로 들릴지 모르겠지만 분당지구 개발 이전만 하더라도 성남 본시가지의 집값이 분당보다 비쌌던지라 돈 아낄려는 서민들이 분당에서 살았던 것이다. 어쨌든 돌마지역의 집주인들은 신도시 개발 발표가 났던 1988년 올림픽 이후에 묻지마 땅 투기가 벌어지는 바람에 돈 방석에 앉게 되어 원도심 주민들과의 경제력이 역전된다.

2.2. 개발 추진

1989년 4월 27일 일산과 함께 신도시 개발계획이 발표되었으며, 당시 노태우 정부는 분당신도시를 추진하면서 10만 가구, 약 39만 명을 수용할 목표를 잡고 추진하게 되었다. 1991년 10월 1일부터 1996년 4월까지 약 5년간 차례대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 입주가 이루어졌다. #

분당신도시의 개발 목표 중 하나가 ‘한국형 신도시의 새로운 모델 제시’였다. 이 때문인지 신도시 개발 등을 관장하는 공기업인 한국토지공사와 대한주택공사가 모두 분당신도시로 본사를 이전했고[3][4] 서현동에 ‘분당시범단지[5]를 조성하였으며, 정자동에 주택전시관 및 주택공원을 조성했다.



시범단지 아파트의 모델하우스가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었을 때 하루에만 무려 8만 명이라는 인파가 몰렸다고 한다. 차가 너무 막혀서 하다 못해 주변에 차를 두고 모델하우스까지 걸어가는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일반인들에게 모델하우스를 단 나흘만 공개했다고 한다. 시범단지 4개 단지의 모델하우스가 모두 같은 곳에 나란히 있었던 것도 원인 중 하나다.

2.3. 시 승격 문제

원래는 성남시에서 분리하여 독자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설치될 예정이었으나 199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도농통합으로 상징되는 행정구역 통합 기조에 따라 결국 백지화되었다.[6] 또한 1990년대 초반에 분당신도시 주민들이 분당 지역에 서울 전화(02) 편입을 요구한 적이 있었으나 물론 정부와 성남시에서 거절했다. 또한 성남 본시가지 주민들도 당시 분당지구를 왕래하는 소요가 많았던 만큼, "성남 발전을 위해 땅을 내주고 성남시 세금을 퍼줬는데, 분당의 독립 요구는 지역 이기주의" 역시 결사반대. 분당시범단지에 입주한 부녀회 주도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 시기 입주민들 사이에서는 아직도 본인들을 분당시, 분당시민이라고 부를 정도로 갈등의 골이 꽤 깊었던 사건이다.[7] 분당신도시가 완공된 지 30년이 넘어가고 성남시의 집중 투자로 인해 지역 갈등은 많이 희소된 편이나, 이 시기의 기억이 남아 있는 초창기 입주민들에게는 아직까지도 "성남"이라는 단어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편.

분당시 승격이 무산된 이후에도 성남시경기도는 물론 전국적으로도 분당을 독립시에 준(准)해 대우하는 경향이 남아 있다. 예를 들면,

물론 대우만 독립된 행정구역에 준한다는 것이지, 엄연히 행정구역상으로는 성남시의 일부에 속해 있을 뿐이다. 분당구자치구와는 달리 자치권이 없는 구이며[10], 일개 성남시 소속 관청일 뿐이다. 또한 원도심 지역인 성남 본시가지를 대체하여, 분당이 성남의 신도심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11] 그래서 강경한 분당구 분리론자 입장에서는 분당을 성남의 신시가지 취급하는 것을 매우 불쾌해한다. 그들 입장에서는 둘은 엄연히 다른 도시기 때문.

한편 분당이 엄연히 성남의 일부라는 것을 알 수 있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

마이너한 주장으로 성남시를 분할하지 말고 성남시의 이름을 "분당시" 혹은 "판교시"로 바꾸자는 의견도 있다.#

참고로 성남시는 분당시 분리 주장을 철회한 반대급부로 직할시 승격을 추진하였으나 이는 최종적으로 무산되었다. 또한 신도시 주민 행정 편의를 위해 분당구청을 개청하였고, 여수지구를 준공하여 시청을 이전하게 된다.

3. 주거 환경

면적은 19.6㎢[13]이다. 이곳에 들어선 주택은 아파트 88,700가구, 연립주택이 6,400가구, 단독주택이 3,200가구로 모두 97,500가구에 달하며 인구 규모는 39만 명에 달한다.

개발 초기에 사용하던 ‘천당강남 아래 분당’이라는 슬로건에서 알 수 있듯이 기본적인 주거 환경이 우수한 지역이다. 분당신도시 개발의 핵심 목적은 서울 지역의 아파트 수요를 흡수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1989년 계획 당시 서울을 대체할 만큼 우수한 주거 환경을 가진 신도시를 목표로 설계되었고, 결과적으로 2023년 현재의 기준으로 봐도 신도시들 중에서 교통, 인프라가 좋은 편이다.

녹지 비율은 20%대로 대표적인 2기 신도시들에 비해 비교적 낮은 편이다.[14] 분당을 관통하고 있는 탄천, 수내동의 중앙공원, 서현동 인근의 율동공원이 대표적인 산책로이다. 1기 신도시의 공원녹지는 도시 전체에 네트워크 형식의 녹지, 산책로를 배치하는 형태가 아니라, 도심 중앙에 큰 주제공원을 배치하는 형태였다.

수인분당선을 이용하여 분당신도시 곳곳을 오갈 수 있으며 서울 강남, 왕십리 등지와 용인, 수원, 안산, 인천까지 갈 수 있다. 다만 수인분당선은 강남 일부 구간의 많은 역 개수와 성남 지역으로 돌아가는 선형 등으로 인하여 접근성이 썩 좋지는 않다. 또한 신분당선을 이용하면 강남역, 수지구, 광교로 빠르게 갈 수 있다. 강남을 위주로 서울로 연결되는 광역버스도 많은 편이다.

분당신도시는 다른 경기 남부의 신도시 지역들에 비해서는 비교적 평균 연령대가 높은 편이다. 1991년경 청약 신청한 분당신도시 원년 멤버 평균은 30~40대였는데, 그 원년 멤버들이 노년층이 되어서도 분당 자체가 삶의 질이 높은 곳이다 보니 아직도 계속 살고 있는 비율이 높다. 그래서 도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재건축 및 리모델링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다만 판교테크노밸리를 비롯한 IT 위주의 첨단 산업 일자리가 집중되어 분당 인근에서 일하는 젊은층이 많은 데다가 인근 경기 남부 일대가 워낙 젊은 지역이다 보니 2021년 기준 노령화 지수는 99로 서울 평균(168)은 물론이고 서울에서 노령화 지수가 가장 낮은 서초구(112)보다 낮을 정도라서 전국적으로 보면 고령화 문제에서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전망이 그나마 약간 덜 어두운 편이다.

3.1. 아파트 목록

3.1.1. 중앙

<rowcolor=#fff> 구역 단지명 세대수 동 개수 입주 시공사
시범단지 시범단지 삼성 한신 1781 33 1991년 9월 삼성종합건설 | 한신공영
시범단지 우성 1874 29 1991년 9월 우성건설
시범단지 한양 2419 32 1991년 10월 (주)한양
시범단지 현대 1695 29 1991년 9월 현대산업개발
효자촌 효자촌 현대 710 14 1992년 5월
효자촌 동아 648 15 1992년 11월 공영토건
효자촌 임광 732 14 1992년 7월 임광토건
효자촌 삼환 632 14 1992년 5월 삼환기업
효자촌 미래타운 160 4 1994년 8월 (주)대우 | 대창기업 | 화성산업 | 럭키개발
효자촌 그린타운[15] 872 11 1994년 8월 화성산업 | 럭키개발
효자촌 그린타운[16] 902 11 1994년 8월 (주)대우 | 대창기업
효자촌 정도연립 144 7 1995년 11월 -
효자촌 대명 144 6 1995년 6월 대명종합건설
장안타운 장안타운 건영 1688 27 1993년 12월 (주)건영
샛별마을 샛별마을 라이프 796 9 1993년 7월 라이프주택개발
샛별마을 동성 582 9 1992년 6월 (주)동성
샛별마을 우방 811 12 1994년 3월 (주)우방
샛별마을 삼부 588 14 1992년 7월 삼부토건
양지마을 양지마을 1단지 금호 918 16 1992년 4월 금호건설
양지마을 2단지 청구 768 13 1992년 10월 청구건설
양지마을 3단지 금호 5단지 한양 814 13 1992년 5월 금호건설 | (주)한양
양지마을 5단지 한양 1430 21 1992년 5월 (주)한양
양지마을 6단지 금호 청구 286 2[17] 1992년 11월 금호건설 | 청구건설
양지마을 6단지 한양 176 1[18] 1993년 3월 (주)한양
파크타운 파크타운 대림 749 9 1993년 5월 대림산업
파크타운 서안 798 10 1993년 5월 서안건설
파크타운 삼익 639 10 1993년 5월 삼익주택
파크타운 롯데 842 12 1993년 5월 롯데건설
푸른마을 푸른마을 벽산 804 17 1992년 6월 벽산건설 | 벽산개발
푸른마을 신성 630 11 1992년 6월 SG신성건설
푸른마을 쌍용 1164 22 1992년 6월 쌍용건설
한솔마을 한솔마을 1단지 청구 858 14 1994년 4월 청구건설
한솔마을 2단지 LG 598 11 1995년 6월 LG건설
한솔마을 3단지 한일 416 7 1993년 10월 한일건설
한솔마을 4단지 주공 1651 17 1994년 5월 (주)신원
한솔마을 5단지 주공 1156 12 1994년 10월 대양건설 | 두산개발
한솔마을 6단지 주공 1039 12 1995년 10월 신태진건설
한솔마을 7단지 주공 1688 12[19] 1994년 8월 -
느티마을 느티마을 3단지 공무원 770 12 1994년 11월 신원종합개발
느티마을 4단지 공무원 1006 16 1994년 11월
상록마을 상록마을 1,2단지 라이프 750 13 1994년 6월 라이프주택개발
상록마을 3단지 우성 1762 27 1995년 1월 우성건설
상록마을 4단지 568 8 1995년 5월 임광토건 | 보성주택
정든마을 정든마을 동아 1단지 300 7 1995년 4월 동아건설
정든마을 동아 2단지 706 8 1995년 5월
정든마을 우성 4단지 270 6 1995년 1월 우성건설
정든마을 신화 5단지 564 8 1995년 6월 신화건설
정든마을 한진 6단지 298 6 1995년 6월 한진건설
정든마을 한진 7단지 382 5 1994년 12월
정든마을 한진 8단지 512 9 1995년 6월
정든마을 우성 6단지 706 8 1994년 6월 우성건설

3.1.2. 북부

<rowcolor=#fff> 구역 단지명 세대수 동 개수 입주 시공사
이매촌 이매촌 1단지 금강 588 7 1992년 7월 금강종합건설
이매촌 2단지 한신 1184 12 1993년 11월 한신공영
이매촌 3단지 동신 460 9 1992년 10월 (주)동신주택
이매촌 5단지 동부 코오롱 264 4 1993년 6월 동부건설 | 코오롱건설
이매촌 6단지 청구 710 13 1992년 8월 청구건설
이매촌 7단지 성지 304 4 1992년 9월 성지건설
이매촌 8단지 진흥 832 13 1993년 4월 진흥기업
이매촌 9단지 동신 458 10 1992년 10월 (주)동신주택
이매촌 10단지 삼성 1162 27 1994년 4월 삼성건설
이매촌 11단지 삼환 572 10 1994년 9월 삼환기업
아름마을 아름마을 1단지 건영 706 12 1992년 12월 (주)건영
아름마을 2단지 한성 240 8 1992년 11월 (주)한성
아름마을 3단지 태영 414 8 1992년 11월 (주)태영
아름마을 4단지 두산 삼호 1132 24 1992년 9월 두산건설 | (주)삼호
아름마을 5단지 풍림 876 16 1993년 8월 풍림산업
아름마을 6단지 선경 370 5 1993년 10월 선경건설
아름마을 7단지 효성 388 7 1994년 12월 효성중공업
탑마을 탑마을 1단지 선경 976 16 1992년 8월 선경건설
탑마을 2단지 대우 654 12 1992년 12월 (주)대우
탑마을 3단지 타워빌 630 11 1993년 6월 남광토건 | 경향건설 | 기산건설 | 진덕산업
탑마을 5단지 타워빌 536 9 1993년 6월
탑마을 6단지 벽산 646 12 1994년 2월 벽산건설
탑마을 7단지 경남 884 16 1994년 2월 경남기업
탑마을 8단지 주공 701 9 1993년 5월 삼성종합건설
목련마을 목련마을 주공 1단지 1459 11[20] 1993년 6월 -
목련마을 한신 264 5 1994년 12월 한신공영
목련마을 한일 278 4 1995년 10월 한일건설
목련마을 영남 294 4 1995년 9월 영남건설
목련마을 SK 272 5 1998년 3월 SK건설
매화마을 매화마을 공무원 1단지 562 6 1995년 10월 삼익주택
매화마을 공무원 2단지 1185 17 1995년 7월 경남기업 | 삼익주택
매화마을 주공 3단지 851 16 1993년 5월 효성중공업
매화마을 주공 4단지 643 7 1993년 5월 신화건설
장미마을 장미마을 1단지 동부 1134 21 1993년 2월 동부건설
장미마을 1단지 코오롱 1082 18 1993년 2월 코오롱건설
장미마을 8단지 현대 2136 25 1993년 4월 현대산업개발

3.1.3. 남부

<rowcolor=#fff> 구역 단지명 세대수 동 개수 입주 시공사
청솔마을 청솔마을 1단지 서광 영남 408 6 1995년 7월 서광건설 | 영남건설
청솔마을 1단지 계룡 492 6 1996년 6월 계룡건설산업
청솔마을 2단지 유천화인 624 8 1995년 11월 유천건설
청솔마을 3단지 한라 768 10 1995년 12월 한라건설
청솔마을 5단지 공무원 474 8 1994년 11월 건영종합건설
청솔마을 6단지 주공 1250 9 1994년 10월 -
청솔마을 7단지 성원 454 9 1994년 8월 성원건설
청솔마을 8단지 대원 820 14 1994년 5월 (주)대원
청솔마을 9단지 주공 1020 6 1995년 9월 현대산업개발
청솔마을 10단지 동아 204 4 1995년 2월 동아건설
까치마을 까치마을 1단지 대우 롯데 선경 976 16 1995년 11월 (주)대우 | 롯데건설 | 선경건설
까치마을 2단지 주공 768 9 1995년 4월 국제종합건설
까치마을 3단지 신원 882 14 1995년 8월 신원종합개발
까치마을 4단지 롯데 선경 1124 16 1995년 7월 롯데건설 | 선경건설
하얀마을 하얀마을 주공 5단지 779 7 1995년 8월 (주)한양
하얀마을 주공 6단지 1489 14 1996년 9월 -
무지개마을 무지개마을 1단지 대림 778 11 1995년 7월 대림산업
무지개마을 2단지 LG 888 14 1995년 8월 LG건설
무지개마을 3단지 신한 건영 964 12 1996년 2월 (주)신한 | 건영종합건설
무지개마을 4단지 주공 563 5 1995년 11월 신원종합개발
무지개마을 5단지 청구 932 13 1995년 7월 청구건설
무지개마을 6단지 건영 208 4 1995년 8월 (주)건영
무지개마을 7단지 라이프 222 4 1995년 11월 라이프주택개발
무지개마을 8단지 제일 172 3 1995년 7월 제일건설
무지개마을 9단지 동아 132 3 1995년 6월 공영토건
무지개마을 10단지 삼성 건영 498 8 1996년 2월 삼성물산 | (주)건영
무지개마을 11단지 금강 216 3 1995년 9월 금강주택
무지개마을 12단지 주공 905 9 1995년 7월 두산개발 | 인풍종합건설

3.2. 정비사업

2021년 2월 23일, 정자동 한솔마을 주공 5단지가 1기 신도시 최초로 리모델링 사업계획을 승인받았다. 다만 수직증축은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에서 안전성을 이유로 반대해 수평증축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4월 27일, 구미동 무지개마을 주공 4단지가 1기 신도시에서 한솔마을 주공 5단지에 이어 2번째로 리모델링 사업계획을 승인받았다. 한솔마을 5단지처럼 처음에는 수직증축을 시도했으나, 승인이 어려워져서 수평증축과 별동 신설로 계획을 변경하여 승인받았다. 성남시에서 공공리모델링으로 기금과 분담금을 줄이기 위한 여러 지원도 발표해서 리모델링 사업에 추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기사

2022년 4월, 정자동 느티마을 공무원 3, 4단지가 리모델링 사업계획을 승인받았다.

2022년 5월, 야탑동 매화마을 공무원 1단지가 리모델링 사업계획을 승인받았다.

2022년 12월, 무지개마을 주공 4단지가 가장 먼저 이주 절차를 밟기 시작했다. 따라서 이곳은 1기 신도시 최초의 리모델링 아파트 단지가 될 예정이다.[A]

2023년 3월 24일, 정자동 느티마을 공무원3단지의 이주개시가 공고됐으며 2023년 4월~8월 주민들의 이주가 진행됐다.[A]

3.3. 재건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당신도시/재건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상세

파일:분당신도시 계획도.jpg

1989년 집값 안정 대책으로 일산과 함께 신도시로 지정되었다. 777사령부제15특수임무비행단 활주로 문제로 이런 기이한 형태의 부지에 신도시를 짓게 된다. 부지 형태의 특이성과 고저차이, 하천 등의 환경 문제로 국토개발연구원에서도 난항을 겪던 찰나 분당개발 4인방[23]이라고 불리던 현대산업개발, 한신공영, 한양주택, 우성건설이 계획도와 함께 분당을 4개 블록을 쪼개 개발하겠다고 제안했다고 한다. 그러나 과도한 사기업 중심으로 흘러갈 것을 우려, 국토개발연구원이 직접 설계를 하게 된다.

구조를 보면 상업시설이 전부 북동쪽으로 치우쳐 붙어있는데 설계자 중 하나였던 안건혁 현 한아도시연구소 소장에 따르면 차후에 서울공항 활주로 문제를 해결하고 판교신도시가 개발될 것이라 판단하여 연계계발을 염두에 두고(!) 이렇게 계획했음을 밝혔다. 그러나 판교신도시는 분당과 상관없이 경계와 거리를 두고 상업지구를 선형이 아닌 핵으로 개발했다. 과거의 계획가가 후일을 고려하여 현명하게 지었음에도 후대에서 연계를 끊어먹은 셈이다. 만약 성공했다면 하천을 끼고 상업지구가 발달한 도시계획학에서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그림이 나왔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지도상 행정구획이 동물 을 닮았다는 말을 분당구민들은 종종하는데, 실제로 분당의 옛 명칭인 '돌마(突馬)'는 지형이 말 형상이 돌출된 모양이라는 데서 붙은 이름이다.

4.1. 마을 구분

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서술. 행정동 명칭은 2000년 10월 18일자로 대대적으로 변경한 것이다. 그래서 초림역과 백궁역이 2002년에 각각 수내역정자역으로 변경되었다.

4.1.1. 구 돌마면 지역

4.1.2. 구 낙생면 지역

금곡동구미동은 구 광주군 낙생면 지역(일부 용인군 수지면)으로, 분당신도시 타 지역과는 달리 판교신도시 일대와 역사를 공유한다. 행정구역과 법정구역이 일치하지 않는다. 금곡동의 일부는 행정동 구미동 소재. 구미동 일부는 행정동 금곡1,2동 소재.

5. 교통

5.1. 철도

5.2. 버스

5.2.1. 시외버스

야탑동에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이 있다.

5.2.2. 시내버스

5.3. 도로

6. 주요 유통 및 상권, 보건, 주민편의시설

7. 창작물에서의 등장

8. 이야깃거리

초창기에 다른 이름이 붙여질 뻔했다. 당시만 해도 성남시 돌마출장소 지역이었는데, 분당지구는 '돌마'(突馬)라고 불리웠고 분당은 분당동만을 일컫는 지명이었다. 또한 분당(盆唐)의 한자지명 중 당(唐)이라는 글자가 너무나도 중국스럽다성남 본시가지의 지역 유지들이 신평, 신성[49] 등 새 이름을 짓거나, 기존 명칭인 돌마신도시로 부르자는 등 다른 지명을 요구했다.# 하지만 "천당 아래 분당"이라는 마케팅 문구에 혹한 분당의 주민들과 입주민들이 "분당"이라는 지명을 강력히 요구하여 분당신도시 개명은 없던 일이 되었다.

9. 관련 문서



[1] 왼쪽은 정자동 탄천변, 오른쪽은 분당동 한국지역난방공사 본사의 모습이다.[2] 왼쪽은 서현역 AK플라자, 오른쪽은 정자동 일대의 모습이다(네이버 본사 그린팩토리 건물도 보인다.).[3] 이후 2009년 한국토지주택공사로 통합되어 정자동에 있던 구 한국토지공사 본사가 한국토지주택공사 본사가 되고, 구미동에 있던 구 대한주택공사 본사는 한국토지주택공사 오리사옥이 되었다. 그러나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혁신도시) 정책에 따라 경상남도 진주시로 본사를 이전했다.[4] 또한 이밖에도 한국전기통신공사(현 KT), 한국가스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전기공(현 한전KPS), 한국디자인진흥원 등 공기관 본사들이 분당신도시에 새롭게 자리잡았다. 다만 한국가스공사와 한전기공은 혁신도시 사업으로 각각 대구와 전남으로 이전했다.[5] 이름답게 1기 신도시의 모든 아파트 단지 중에서 가장 먼저 입주를 시작했다. 1991년 10월 1일 1차 입주 시작, 1991년 11월 21일 2차 입주 시작.[6] 참고로 현 분당구청 부지도 원래 새로 출범할 시청의 부지였으며, 게다가 자체 2개구(북구, 남구)분구 계획도 추가되어 구청 부지 2곳도 따로 있었다. 성남시에서는 단순히 분당구 분구를 대비한 부지이고, 시청 자리는 성남시청 이전 후보지였다고 설명하고 있다. 같은 1기 신도시일산신도시가 조성된 고양군에서의 일산시 분리 계획도 마찬가지로 폐기되고 고양군이 통째로 승격하는 것으로 바뀌었다.[7] 당연하다면 당연한 것이, 물론 본시가지에서 분당으로 이주한 성남 주민들도 많지만 분당시범단지는 애초에 성남 토박이가 아닌 강남3구에서 넘어온 사람들이다. 서울시민들 사이에서는 성남 본시가지, 즉 광주대단지 사건 이후 성남에 대한 이미지가 매우 나빴는데, '성남시'라는 이미지를 받아들일 수 없었을 것이다. 당연히 해당 사건을 직접 겪은 본시가지 주민 입장에서는 분당주민들의 이런 편견 어린 시선에 기가 찰 노릇.[8] 그 외 예외로는 일산이나 마산 정도가 있다. 논산시의 경우엔 강경경찰서가 있었으나 논산경찰서로 개명되었다.[9] 공항버스 5100 등 인천공항~성남간 버스[10] 성남이 광역시였다면 얘기가 달라지는데 분당구가 자치구가 되고 분당구청장을 직접 선출, 또한 성남광역시의회와는 별개로 분당구의회가 구성된다.[11] 분당신도시의 초창기 지명 후보 중 하나도 신성(남)이었다.[12] 전통적으로 성남남부라고 하면 성남 본시가지중원구 영역을 일컫는 말로, 분당지역은 제외된다.[13] 평으로 환산하면 약 600만 평.[14] 동탄신도시의 녹지비율 28%. 판교신도시의 녹지비율 35%. 광교신도시의 녹지비율 41%.[15] 화성럭키[16] 대우대창[17] (가),(나)동은 한개의 동으로 분류한다.[18] (가),(나)동은 한개의 동으로 분류한다.[19] 711동,712동 추가 건설[20] 111동 추가 건설[A] 2024년 현재 리모델링 공사 진행중[A] 2024년 현재 리모델링 공사 진행중[23] 이 4인방이 결국 분당시범단지의 설계 공모도 참여하고 시공도 참여하게 된다.[24] 행정구역상으로는 분당구가 아닌 중원구 여수동.[25] 2단지(한신아파트) 일대는 버스 정류장 명칭인 '이매촌한신.서현역.AK플라자'으로 유명하다.[이매+사송] [수내+정자] [28] 2015년 정자1동에서 분동.[29] 4단지(임광·보성아파트) 포함.[불곡+정자] [31] 애초에 분당선이 분당신도시를 겨냥하고 건설된 것이다.[32] 1차 구간(강남역~정자역)이 분당선의 급행 역할을 해주고 있으며 판교신도시광교신도시와 연결돼있다.[33] 서판교IC는 분당신도시 지역과 너무 이격되어 있어 논외.[34] 대왕판교로는 분당신도시 관내로는 들어오지 않지만, 돌마로, 서현로 등을 통해 간접 연결됨.[35] 옛 명칭 여성문화회관. 성남시 중앙도서관 밑 산턱에 존재함[36] 서울의 탑골공원과 동명의 다른 공원. 야탑3동에 위치함[37] KT분당본사타워 내부에 위치. 금곡공원 국민체육센터가 지어지기 전까지 스포츠 시설이 부족했던 수내동, 정자동 일대의 주민들이 자주 이용했다.[38] 기본적으로 업무 건물로서 유통시설이나 보건 시설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나, 인근 주민들과 자사 직원들을 위한 문화시설을 "네이버 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조성해 도서관 시설과 카페, 기념품샵 등 문화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분류 외적으로는 경부고속도로 서울톨게이트에서 가장 눈에 띄는 데다 브랜드 자체의 인지도가 높아 "이 건물 보이면 서울 다 옴" 식의 랜드마크 역할도 하는 것으로 인터넷 상에 많이 알려져 있다.[39] 1997년에 대한주택공사 분당신사옥으로 처음 지어졌다가 2009년 토공과 주공의 합병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로 재탄생, 2015년 본사가 진주시로 이주하면서 LH 경기남부지역본부로 활용중.[40] 김성수 감독에 따르면 원래 배경은 제주도였으나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평화롭고 풍족한 주거촌 신도시에서 사태가 발생하면 더욱 충격적일 것이라고 판단하여 배경을 분당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정확하게는 성남시를 배경으로 했다고 밝혔으나, 영화에서는 분당구가 아닌 독립된 분당로 등장한다. 참고로 분당신도시에서 촬영하기는 힘들어 양산신도시에서 주로 촬영했다고 한다.[41] 서현역 현대오일뱅크 신도시 주유소.[42] 서현역 KFC 앞 광장[43] 주인공 예승이의 학교가 수내초등학교다.[44] 정자로 일부, 탄천 보도교 및 SK 건물 일부.[45] 주인공 이동진(감우성 역)이 뺀질나게 드나들던 던킨도너츠가 정자 분당파크뷰 점이다.[46] 작중에 성남버스터미널이 등장하였으며, 실제로 야탑동에 위치한 성남종합버스터미널에서 촬영이 이뤄졌다.[47] 작중 배경은 서울로 묘사되었으나, 실제 촬영의 일부가 성남시에서 이뤄졌었고, 분당신도시에서는 서현역 메가박스 일대, 율동공원이 등장했다.[48] 가사 中 “엄마가 좋아한 분당에서 다시 살게 해주고 싶었어.”가 있다. 당시 보컬은 윤종신이다.[49] 새로운 도시(新城)라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라고 되어 있으나, 사실상 새로운 성남(新城南)을 뜻하는 지명이었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