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13:24:20

연애시대(한국 드라마)

{{{#!wiki style="color:#FFF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10시 드라마
(2006~2010)
파일:연애시대 SBS 로고.png
(2006)
파일:101번째 프러포즈 SBS 로고.png
(2006)
파일:천국보다 낯선 로고.png
(2006)
파일:독신천하 로고.png
(2006)
파일:눈꽃 SBS 로고.png
(2006~2007)
파일:사랑하는 사람아 SBS 로고.png
(2007)
파일:내 남자의 여자 로고.png
(2007)
파일:강남엄마 따라잡기 로고.png
(2007)
파일:왕과 나 SBS 로고.png
(2007~2008)
파일:사랑해 SBS 로고.png
(2008)
파일:식객 SBS 로고.png
(2008)
파일:타짜 SBS 로고.png
(2008)
파일:떼루아 SBS 로고.png
(2008~2009)
파일:홍소장의 가을 로고.png [[재방송|
]]
(2009)
파일:은사시나무 로고.png [[재방송|
]]
(2009)
파일:드라마 자명고 로고.png
(2009)
파일:드림 SBS 로고.png
(2009)
파일:제중원 SBS 로고.png
(2010)
파일:자이언트 로고.png
(2010)
파일:아테나 전쟁의 여신 로고.png
(2010~2011)
9시 드라마
(2009~2011)
파일:천사의 유혹 로고.png
(2009~2010)
파일:별을 따다줘 로고.png
(2010)
파일:오! 마이 레이디 SBS 로고.png
(2010)
파일:커피하우스 SBS 로고.png
(2010)
파일:나는 전설이다 로고.png
(2010)
파일:닥터 챔프 로고.png
(2010)
파일:괜찮아 아빠딸 로고.png
(2010~2011)
파일:파라다이스 목장 로고.png
(2011)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SBS 드라마
연애시대
(2006)
Alone in Love
파일:external/2.bp.blogspot.com/1994203573_Ps5vz9iY_EC97B0EC95A0EC8B9CEB8C80.jpg
장르 멜로
방송 시간 월ㆍ화 / 오후 10:00 ~
방송 기간 2006년 4월 3일 ~ 2006년 5월 23일
방송 횟수 16부작
기획
제작사 옐로우미디어
채널 SBS TV
제작진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연출 한지승
극본 박연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기획
제작
촬영
미술
음악 노영심 }}} }}} }}}
원작 노자와 히사시 〈연애시대
출연 감우성, 손예진, 공형진
스트리밍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SBS | |
파일:세계 지도.svg: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언어, 모방위험)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BS NOW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BS Drama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BS Catch

1. 개요2. 기획의도3. 등장인물4. 방영 목록 및 시청률5. 인기6. 평가7. 수상8. 기타

[clearfix]

1. 개요

이혼한 20대 부부가 이혼한 뒤 오히려 사랑을 느끼고 연애를 시작한다는 내용의 드라마
2006년 4월 3일부터 2006년 5월 23일까지 방영된 SBS 월화 드라마.

2. 기획의도

파일:연애시대 기획의도.jpg
헤어지고 시작된 이상한 연애..

순수한 사랑을 꿈꾸는 은호
가슴 따뜻한 사랑이 그리운 동진
그리고 푼수발랄 지존 지호와 오지랖의 최고봉 준표

사랑의 끈을 놓지 못하는 두 남녀의 색다른 방정식이 시작된다
공식 홈페이지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애시대(한국 드라마)/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방영 목록 및 시청률

<rowcolor=#ffffff> 회차 방영일 시청률(%) 비고
<colbgcolor=#f5f5f5,#2d2f34> 1회 2006.04.03. 10.7
2회 2006.04.04. 10.1
3회 2006.04.10. 10.8
4회 2006.04.11. 10.1
5회 2006.04.17. 10.7
6회 2006.04.18. 11.6
7회 2006.04.24. 10.1
8회 2006.04.25. 11.9
9회 2006.05.01. 12.2
10회 2006.05.02. 11.1
11회 2006.05.08. 13.6
12회 2006.05.09. 13.6
13회 2006.05.15. 12.7
14회 2006.05.16. 12.9
15회 2006.05.22. 12.8
16회 2006.05.23. 16.9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단위 %.
[범례] 최저 시청률최고 시청률

5. 인기

16부의 절반 분량이 사전제작되었으며, 높은 완성도와 매끄러운 스토리, 연기파 배우들의 현실적인 열연으로 아직까지 사람들의 뇌리에 깊게 남아있는 작품이다. 감성적인 대사들과 장면들이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은 명작 중의 하나. 평균 시청률은 10% 중반대로 높은 편은 아니었으나, 꾸준히 상승하는 안정적인 양상을 보이며 최종회 기준 17.4%[1]로 종영하였다.

6. 평가

출생의 비밀, 재벌2세, 복수, 시월드 같은 자극적인 소재들을 중점적으로 다루지 않고도 시청자의 마음을 흔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드라마. 많은 이들이 명작 혹은 인생 드라마로 꼽는 작품 중 하나이다.

대본을 맡은 박연선 작가는 '원작보다 나은 각색'이라는 호평을 시청자로부터 얻으며 이 작품을 계기로 다수의 팬을 확보하게 된다.

영화 감독인 한지승이 드라마 연출을 맡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한지승 특유의 감성적이고 담담하면서도 섬세한 연출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극찬을 받은 이 드라마의 OST를 담당한 음악감독은 당시 한지승의 부인이었던 유명한 피아니스트인 노영심. 마지막에 나온 손예진의 축가 '고마워'는 원래 그녀의 정규앨범 수록곡이었다. 이 드라마의 가장 유명한 BGM인 '보내지 못한 마음[2] 또한 노영심이 작곡하였다. 마지막회에 나온 이문세[3][4]가 부른 '그때 미처 하지 못했던 말' 스윗소로우가 부른 엔딩곡 '아무리 생각해도 난 너를', 보이스 코리아에 출연해서 화제가 된 임진호가 부른 엔딩곡 '만약에 우리'를 비롯해서 모든 OST는 노영심과 프로젝트 그룹 '휴일의 아침'이 이 드라마를 위해 작곡한 노래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난 너를'은 MBC 무한도전을 포함한 여타 매체에 다뤄지면서 인기를 얻었다.[5]

이전까지 여러 악성루머에 시달렸던 배우 손예진은 이 작품에서 보여준 열연으로 많은 안티들을 입 다물게 하며 이미지 변신에 성공하고 많은 여성팬들을 확보했다. 영화 왕의 남자를 찍은 직후 한창 연기에 물이 올라있던 배우 감우성은 이전에도 여러 로맨스 드라마에 출연하여 호평을 받았지만, 이 드라마에서 가장 물오른 연기력을 보여주었다. 배우 이하나는 이 작품이 데뷔작이라 믿기지 않을 만큼 능수능란하게 발랄하면서도 독특한 캐릭터인 유지호를 소화해냈다. 배우 공형진도 씬스틸러로서 활약하며 좋은 연기를 보여주었다. 배우 김갑수는 유은호의 아버지역을 맡아 비중이 많지는 않지만 뇌리에 남는 연기를 선보였다. 김미연 캐릭터를 맡은 배우 오윤아 또한 이 작품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레이싱 걸 이미지를 벗고 배우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신인 배우였던 배우 이진욱 또한 이 작품을 계기로 얼굴을 알리기 시작했다. 배우 진지희 역시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조숙한 조은솔 캐릭터를 맡아 훌륭한 연기를 보여주었다. 그밖에도 서태화, 문정희, 하재숙 등이 열연하며 극의 재미를 더해주었다.

7. 수상

손예진은 이 작품으로 SBS 연기대상에서 여자 최우수연기상을 백상예술대상에서는 TV 여자 최우수연기상을 수상하였다. 공형진과 오윤아는 SBS 연기대상에서 조연상을 수상하였다. 이하나와 이진욱은 SBS 연기대상에서 뉴스타상을 수상했다.

8. 기타



[1] 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126107.html[2] 제 60회 칸 영화제에서 배우 전도연에게 여우주연상을 안겨준 작품 밀양의 도입부에서도 나왔다.[3] 이문세는 OST 부른 인연으로 최종회에 깜짝 출연했다. 그것도 오윤아의 맞선 상대로. 본인이 말하길 손예진을 볼 생각에 기대했는데 카메라 감독하고 웬 꼬마애만 있어서 실망했다고 한다.[4] 이문세는 90년대에 노영심과 친분이 깊었으며, 노영심 2집 앨범에는 이문세와 함께 부른 노래가 실려있는데, 북클릿에 보면 '와, 드디어 나도 이문세와 노래했다, 만세!!'라고 한다.[5] 정형돈과 하하의 어색한 케미를 다룰 때 이 노래가 BGM으로 사용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