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21:44:07

군수군

군종(軍種)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법적 지위
정규군
(정부군)
준군사조직
(경찰)
비정규군
소속 관계
국군
(연방군)
당군 사병
복무 형태
상비군 예비군
군간 관계
연합군 합동군 통합군
일반 편성
육군 해군 공군
특수 편성
헌병대 내무군 공수군 해병대 방공군 전략로켓군
특수군 사이버군 우주군 국경경비대 해안경비대 보안군
민병대 친위대 외인부대 공공부대 무인장비군
기타
군수군 의무군
※ 군종보다는 국직부대에 해당.
}}}}}}}}} ||


1. 개요2. 특성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1. 개요

군종의 하나로 병참을 담당한다. 일반적인 국가의 군대에서는 군수사령부가 해당 임무를 수행하나 독일군의 경우엔 각 군 참모총장 및 구호업무군과 동급의 국방참모총장 직할로 존재한다. 러시아군의 후방총국[1]중국군후근보장부와도 비슷한 점이 있다.

100% 독립 군종은 아니고, 사령관이 각군 참모총장들과 동급일 뿐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구성원들은 여러 군종의 인원들이 배속된다.

중국에서는 기초군(基础军), 일본에서는 전력기반군(戦力基盤軍 せんりょくきはんぐん)으로 번역한다.

2. 특성

육해공의 군정권 중 일부를 위임 받아 군수와 각종 행정 관련 업무를 총괄한다. 기존의 독립된 군수사령부들과 달리 합동 차원에서 군수업무를 챙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독일군에서 군수군사령관은 육군참모총장이나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과 같은 계급을 받는다. 그리고 국방참모차장을 겸직한다. 인원은 합동부대의 성격상 육해공에서 모두 들어오며, 군복 및 계급 체계 등도 각군의 것을 그대로 쓴다. 소속 인원은 2014년 기준으로 4만3천명 수준이다.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하야미 라센진의 만화 대포와 스탬프에서는 병참군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1] 이쪽도 후방총국장은 총참모장과 동급인 실제 군 출신의 현역 육군 대장이 보임되며 군수담당 국방차관직을 겸직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