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0 18:06:50

정부군



군종(軍種)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법적 지위
정규군 준군사조직
(법집행기관)
비정규군
소속 관계
국군
(연방군 · 정부군 · 관군)
당군 사병
(용병)
복무 형태
상비군 예비군
군간 관계
연합군 합동군 통합군
일반 편성
육군 해군 공군
특수 편성
헌병대 내무군 공수군 해병대 방공군 전략로켓군
특수군 사이버군 우주군 국경경비대 해안경비대 보안군
민병대 친위대
(공화국 수비대)
의무군 공공부대
(경찰예비대)
신속대응군 무인장비군
기타
군수군 외인부대
국방군 인민군
※ 군종보다는 합동부대, 특수 신분 혹은 고유명칭에 해당.
}}}}}}}}} ||

1. 개요

정부군(, Governmental Armed Forces)은 '정부에 소속된 군대'이다.

2. 개념

정규군과 의미가 비슷하지만 동의어는 아니다. 정규군은 법적으로 공인된 군대를 가리키는 말로서 정부군을 포괄하는 상위 개념어이다. 따라서 정부군이 아니지만 정규군에 해당하는 경우도 있는데, 예컨대 다수의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당군·인민군이 사실상 정부군의 역할을 한다.

정부군은 어떤 정부에 속한 군대를 뜻하며, 관군, 국군, 연방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정부에는 중앙정부, 연방정부, 지방정부 등 여러 층위와 형태가 있으므로, 단순히 "정부군"이라고만 하면 그것이 단방제 국가의 중앙정부 군대인지, 연방제 국가의 연방정부 군대인지, 지방정부의 군대인지 알 수 없다. 연방국가에서는 지방군을 두지 않더라도 연방정부의 군대를 국군이나 정부군이라고 부르기보다는 주로 연방군이라고 한다. 지방정부가 군대를 보유를 하는 것을 허용하는 국가지방정부의 군대를 지방군이라고 한다. 미국주방위대를 예로 들 수 있다.

민병대라도 법적으로 명시되고 정부의 통제를 받는 군사조직인 경우 정부군에 속한다. 옛 국민위병이나 주방위군 등이 대표적이며, 의병도 이 범주에 속한다.

개념적 엄밀성이 아니라 일상어에서의 사용에 관하여, 정부군이라는 표현은 보통 내전이 벌어지고 있는 국가에서 반군과 대조되는 말로써 정부가 통제하고 있는 군대를 지칭할 때 사용한다. 국제 사회에서는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정통성이 있는 정부군 측을 지지하므로 반군 측은 어려운 상황에 처해지기도 한다.

3. 창작물

각종 매체에서는 내전 중인 국가의 정부군은 반란군에 비해 장비나 보급 수준은 훌륭하지만 매우 무능하거나 사기가 별로인 것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다. 마냥 창작물적 과장이라 하기도 힘든 게 정부가 유능했다면 애초에 내전이 일어나지도 않았을 것이며, 정부가 무능하여 나라 사정이 엉망인 경우 군대만 멀쩡한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이 "유능하다."라는 의미가 정치, 경제를 잘해서 국민이 정부를 지지하게끔 한다는 의미도 있으나 아예 반항하지 못하도록 철저히 통제해서 반대 세력이 형성되지 못하게 하는 것을 의미 할 수도 있다. 민족, 종교, 이념 등 다른 국민을 억지로 통합한 상황에서는 아무리 통제를 한다고 해도 결국 반대세력이 생겨날 수밖에는 없기 때문이다.

3.1. 악튜러스

작중 등장하는 군사세력 중 하나이다.

738년 에 닥친 메테오와 레이그란츠 본 하인베르그의 쿠데타 이후 레이그란츠를 따르는 정부군을 말한다. 제국력 739~740년 기준 공화국의 동부지역과 왕국마르튀니를 장악했으며 공화국 서부지역을 장악했던 프리셀로나와 대립하고 있다.

거점은 엘하이브 요새이며 기타 주력이 마르튀니, 메르헴 방면에 몰려있다. 전력확보를 위해서 병력을 강제적으로 차출하고, 장악지역 운영도 미숙했던지 좋은소리는 듣지 못한다. 초반에는 압도적인 전력과 최근 가동된 강력한 병기인 가디안으로 디아디라 코앞까지 프리셀로나를 압박했다. 하지만 능구렁이 같은 쟈크 드 모레이의 말빨에 영입된 엘류어드 본 하인베르그 휘하의 기사단의 활약과 대 가디안 병기인 MAR 국산화로 인해 상황은 반전된다. 앙스베르스가 먼저 함락되고 이후 엘류어드에 의해 공화국 교통의 최요충지인 이 함락되어 자연스럽게 돔 서쪽의 지역들을 프리셀로나에게 빼앗기게 된다. 최후에는 그리트교의 도움으로 난공불락이라고 여겨젔던 정부군의 임시 수도인 엘하이브 요새의 결계가 뚫리면서 수상인 레이그란츠 본 하인베르그가 사망. 더불어 뒤를 봐주던 6인위원회도 같이 요단강 익스프레스. 결국 정부군은 완전히 붕괴되고 공화국은 프리셀로나의 손에 들어간다.

강력한 병기라는 가디안이 겨우 파괴신까지 때려잡는4명에게 4대 모두 박살났으며, 엘하이브 요새에 주둔해 있던 정부군들도 그 4명에게 어이 없이 털려버렸다. 그리고 병사들마저 모두 와해된 모양인지 수상인 레이그란츠 본 하인베르그가 그 4명을 상대하는데 호위병도 없이 싸웠다.

메르헴 주민 중 한 명이 프리셀로나나 정부군이나 다를게 없다고 말한 것으로 보아, 프리셀로나 역시 정부군과 마찬가지로 평판이 나쁜 모양이다.

3.2. The Henry Stickmin Collecti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부군(헨리 스틱민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부군(헨리 스틱민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부군(헨리 스틱민 시리즈)#|]][[정부군(헨리 스틱민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