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12:40:54

굴곡 노선/버스/제주특별자치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굴곡 노선/버스
1. 개요
1.1. 등재 기준
2. 공항리무진, 급행, 일반간선3. 시내 간선버스(심야버스 포함)4. 지선버스
4.1. 제주시4.2. 서귀포시
5. 순환버스6. 마을버스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운행하는 버스 노선의 굴곡도를 서술한 문서다.

제주도는 순환 노선이 매우 많지만 네이버 지도나 카카오맵에 회차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노선이 경유하는 정류장 중 중간 정류장을 기준[1]으로 중간 회차지를 지정하여 굴곡도를 계산한다.[2]

1.1. 등재 기준

굴곡도 = 기종점간 운행거리 ÷ 기종점간 최단거리
거리기준에 해당하는 '굴곡도'를 계산하여 소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을 때 값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
표시 시내버스 마을버스[3]
등재 허용 1.5 이상 2.0 이상
볼드 처리 2.0 이상 2.5 이상
빨간 글씨+볼드 3.0 이상 3.5 이상
큰 빨간 글씨+볼드 4.0 이상 4.5 이상

2. 공항리무진, 급행, 일반간선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901 1.51 281번과는 달리 시청 출발에 평화로와 공항을 경유해서 굴곡이 많아졌다. 전체적으로 180번대 선형과 비슷하다.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101 1.93 제주에서 남원까지 동쪽으로 조천, 구좌, 성산, 표선, 남원 총 5개의 읍면을 지나간다. 사실상 일주 노선.
181 32.22 잘못 쓴 게 아니다. 시점인 공항과 종점인 제주버스터미널은 거리가 약 3km 남짓이지만, 이 노선은 제주도를 한 바퀴 돌아서 제주에서 서귀포 찍고 다시 제주로 오기 때문에 거리가 거의 100km이다. 그래서 굴곡도가 저렇게 된 것.
182 32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201 2.42 위 101번의 완행 간선버스인데, 완행이여서 그런지 더 돌아가고, 행선지도 많다.
202 2.35 이 버스 역시 급행형 102번의 완행 간선버스인데, 완행이어서 그런지 더 돌아간다.
231 1.57[5] 많이 돌아가나 굴곡도는 별로 없다. 한라산 동쪽으로 돌아가며, 두 노선 모두 신흥, 한남도 같이 경유하면서 많이 돌아간다. 232번은 폭설 때는 애조로로 우회해 운행거리가 1.5km 늘어나서 굴곡도가 더 높아진다.
232 1.65[6]
295 1.52[7] 굴곡도는 이 문서에 낄 것도 안 될 수치지만 노선을 보면 어이가 없을 정도로 돌아간다. 성산발 서귀포행 첫차의 커브가 무려 92회에 달한다. 주요 커브 구간만 (서귀)동문로터리, 하례, 대성, 의귀, 수망, 가시, 표선, 일출랜드, 삼달, 난산, 섭지코지, 고성 구간으로 총 12개다. 그래서 총 소요시간만 2시간 16분(서귀포 방향 첫차)이다.

3. 시내 간선버스(심야버스 포함)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315 1.65 하귀와 외도에서 돌아갔다 나오며, 오도 구간은 삼각형을 반으로 자른 듯한 구간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굉장히 돌아가며, 터미널까지 돌아갔다 나와 굴곡이 굉장히 많다. 다만 형제 노선인 316번은 굴곡도가 낮으며, 굴곡이 315번보다는 적어 불만이 적다. 단점이라면 315번과 316번이 나무위키에서도 한때 별개의 문서로 분리되었을 정도로 아예 다른 노선임에도 20분 통합 배차다. 그래서 315번과 316번이 비슷한 시간대에 오는 경우가 가끔 있는데, 그 시간대에 걸리면 다음 차 배차가 기가 막히는지라 311, 312번과 더불어 불만이 많다.
331 1.82[8] 신시가지에서 서쪽으로 한참 돌아가며, 중간에 동여자중, 대유대림 쪽으로 들어갔다 나오기 때문에 굴곡이 높다. 공항도 들어갔다 나오고 똑같이 통합 배차인지라 315번과 비슷한 상황이다.
332 1.65[9]
346 1.65[10] 교통편이 열악한 영주고등학교 교통 편의를 위한 노선이나, 정작 삼화로 가는 것은 시내에서 많이 돌아가서 이용하기 불편하다. 오히려 제주대 또는 모자원에서 내려 421번을 타는 게 훨씬 나을지도 모른다. 참고로 346번이 운행 시간이 2시간을 넘는, 말 그대로 무려 대한민국 시내버스 중 노선 길이가 6번째로 긴 295번과 운행시간이 비슷한 제주시내 간선버스 중에서 가장 길게 운행하는 노선인 걸 생각하면 굴곡이 답이 없다.
347 1.74 이 노선은 345, 346번과는 다르게 월평 출발인지라 특히 더 굴곡이 부각된다.[11] 게다가 이 노선은 346번과는 다르게 노선이 금천마을을 경유하게 조정되면서, 노선도, 수요도 매우 나쁜 공기수송 노선이 되어 버렸다.
351 3.03[12] 굴곡도가 엄청난데, 제주대에서 봉개까지 차로 10분 내로 갈 수 있지만, 이 버스는 아라, 동문로터리, 삼화를 돌아서 1시간이 지나서야 봉개에 들어온다. 심지어 예전 28번 시절에는 제주대가 아닌 월평 출발이어서 굴곡도가 무려 4.46이었다. 그 정도로 매우 돌아갔고 지금도 구 28번만큼은 아니지만 꽤 돌아간다. 노선을 이용할 때 반드시 노선을 참고하여야 한다.
355 1.50 그렇게 돌아가지는 않지만, 외도 일대를 경유하는 노선들의 주요 루트인 '하귀 - 남주 - 성수 - 하귀휴먼시아 - 연대 - 계명 - 외도부영 - 외도초' 테크를 밟아서 굴곡이 좀 심하다. 또한 구제주 구간도 360번에 뭍혀서 그렇지만 터미널 쪽으로 꽤 돌아간다.
360 1.75 부영아파트에서 제주대까지 수요를 위해 직선으로 가지 않고 엄청 돌아간다. 그러나 의외로 굴곡도는 다른 노선에 비해 조금 낮다고 볼 수 있다.
365 1.98 제주도 시내버스 중 전체 수요 1위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굴곡도가 높다. 제주 시내의 웬만한 곳은 다 돌아다녀서 한라대에서 공항, 관덕정, 시청을 지나 제주대까지 빙 돌아간다.
370 1.60 제주시내의 웬만한 동서 운행 노선들은 애조로의 개통으로 인해 굴곡도가 늘어났는데, 370번도 여기에 포함된다. 다만 구제주에서만 좀 돌아가지, 삼무공원과 외도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그닥 굴곡이 없는 편이다. 다만 제대병원 종점이여서 굴곡도가 좀 늘어나긴 했다.
520 1.50 355번만큼은 아니지만 여기도 간신히 1.5를 넘는다.(정확히는 1.505다.) 510번과는 다르게 중문에서 이미 매우 돌아간다. 그리고 서귀포 구시가지에서도 조금 돌아가며, 효돈에서도 효돈 방향 한정으로 좀 돌아간다. 그런데 510번과 선형이 비슷한 일자 노선인데, 굴곡도가 520번이 0.3 정도 더 높은 이유는 종점이 510번보다는 좀 더 시점에 가까이 있기 때문인 듯.
3001 15.80 애초에 시종점이 모두 제주공항에 있기 때문에 따지고 보면 급행 180번대보다 심한 굴곡도가 나왔다. 실제로 그렇게 많이 돌아가지는 않는다.
3002 1.75[13] 410번대와 (구)28번의 노선과 매우 비슷하다. 347번과도 선형이 비슷하다. 사실상 순환 노선 410번대에서 삼양-시청-월평 구간만 떼온 거다.
3003 2.03[14] 노선 선형은 365번과 매우 흡사하나 대학동을 경유하기 때문에 굴곡도는 365번보다 미세하게 더 높다.
3008 3.51[15] 명목상 회차점이 공항과 명주주택이기 때문에 순환 형태가 가로로 늘려저 있는 3008번의 운행 방식 특성상 굴곡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본선)
5003 1.77 굴곡도는 그다지 높지 않으나 토평으로 가다 중간에 동문로터리에서 중앙R 방향으로 꺾어 동홍5단지까지 갔다가 다시 토평으로 간다.
5004 3.00 남주중고등학교에서 서귀여고까지는 평범하나, 종점으로 바로 가지 않고 서귀포버스터미널, 법환동, 대천을 지나 무려 월평까지 가서야 종점으로 향하는 노선이다.

4. 지선버스

4.1. 제주시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411 1.73[410번대] 순환노선 치고는 굴곡도가 적으나, 국제여객선터미널에서 좀 돌아가는 면이 있다.
412 2.32[410번대]
415 1.96 노선이 너무 돌아가서 구간별 수요가 압도적인 노선. 장거리 수요는 얼마 없다. 노형에서 중앙로까지 가기 위해 이 노선을 타는 사람들이 거의 없다. 그 정도로 돌아간다. 당장 보건소에서 시청까지 5분 내로 주파하는 300번, 311번, 312번 등이 있으나 이 노선은 무려 33분이라는 경악할 만한 시간이 소요된다. 그냥 타지 말자.
421 1.77 순환버스라 이동부터 번거롭다. 광양과 삼화지구에서 굴곡이 굉장히 많다. 게다가 거로/황사평 부근에서 1차로 도로로 진입하여 도로 상태부터가 이미 상당히 안 좋다. 여기서 끝나는 게 아니라, 423, 424번은 터미널 출발이라 선형은 비슷하지만 이동은 그닥 불편하진 않는데, 421, 422번은 제주대에서 중간에 잘린다! 아마 이 노선이 제주버스터미널 시점이였다면 이미 굴곡도가 2는 넘고도 남았을 것이다. 이 때문에 이동 역시 굉장히 불편해서, 굳이 동광양/인화 일대에서 이 버스를 타고 황사평으로 간다면 북쪽으로는 인화-국립제주박물관 구간을 5배로 늘려버리는 동문로터리 경유 구간을 지나고 화북에[18] 오름중까지 전부 경유하고 나서야 황사평에 들어가고, 남쪽으로 간다면 동여자중을 중심으로 뱅뱅 돌아가고, 중간에 제주대에서 잘려서 답이 없다. 그냥 제주도 동부 읍면지역으로 가는 간선버스 또는 440번을 타고 환승해서 이 노선을 타는 것이 시간도 훨씬 절약된다.시간을 돈으로 산다는 말이 진짜구나 물론 제주대에서는 꽤 도움이 되는 노선이다. 제주대 시점이여서 한 번에 삼화까지 직통으로 이어주기 때문.
422 1.86
423 1.74 두 노선 전부 삼화, 영평을 중심으로 상당히 돌아가서 황사평 쪽 주민들에게 도심으로 가기 어렵게 하는 또 다른 주범이다. 물론 이 노선은 터미널 출발에 삼화 서쪽을 경유하고, 영평 경유는 수요와 좁은 도로 폭 때문에 당연한 경유라서 그렇게 불만은 없다. 사실 이 노선 신설 전부터 421, 422번이라는 함정 카드가 있어서 그런지 굴곡 부각은 그닥인 편이다. 사실 영평 쪽 경유 노선들은 돌아가는 노선이 많다 카더라
424 1.78
431 2.54 에초에 순환 노선이라 이런 굴곡도가 나올 수 밖에 없긴 한데, 비슷한 곳을 운행하는 415번과는 차원이 다른 환장할 굴곡을 보여준다. 시작부터 시청에서 터미널까지 5분인 거리를 20~25분까지 늘리는 기적(?)을 보여주고, 신천지아파트에 여상, 탑동광장(라마다), 거기에 심지어 서문시장과 사대부중고, 용화로까지 트리플로 경유해버리는 말도 안 되는 굴곡을 보여준다.
432 3.00[19]
434 3.66 애초에 노선 자체가 오라 쪽 구간을 빙빙 꼬아버려서 운행 방식부터 파악이 어려운 노선이다. 당연히 엄청 돌아가는 데 그 긴 구간을 타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 것이니 차라리 단거리 구간을 타는 승객들 위주로 좌석회전을 많이 해서 승객을 많이 태우려는 노선이라 할 수 있다. 노선 선형을 굳이 설명하자면 시작부터 오라에 들어가서 운행 거리를 늘리고 아라, 시청을 지나 동문시장 쪽에서 매우 돌아가고, 보건소를 지나 거기서 시점인 한라도서관 쪽으로 들어가지 않고 또 오라를 진입해 한라도서관 이남의 남은 잔여 구간을 채우고 난 후 운행을 종료한다. 435번은 그 반대다. 사실 굴곡도에 비하면 전체적으로 선형은 굉장히 깔끔한 편이지만, 오라 구간 하나 때문에 굴곡도가 이렇게 되어 버렸다.
435 3.46
436 4.21 굴곡이 매우 심하다. 오등, 정실 주민들을 위해 한라도서관 남쪽으로 가서 이미 돌아가는데, 거기서 터미널과 으뜸마을까지 매우 돌아가서 이런 굴곡도가 나와버렸다. 사실 옛날에는 한라도서관에서 남쪽으로 향한 후 좀 지나 한라도서관 북측을 지나는 매우 돌아가는 노선이였다. 굴곡도가 다른 노선에 비해 높은 이유는 시종점인 한라도서관이 사실상의 회차점인 도호동과 가깝기 때문이다.
437 3.27
440 2.56 애조로를 통해 한라수목원에서 월평까지 20분대로 갈 수 있으나 정작 이 노선은 탐도, 대림아파트, 도청, 터미널, 용담, 중양로, 관덕정, 시청, 제일중과 봉개를 모두 거치느라 엄청나게 돌아가며 특히 한국병원 - 제주시청사거리 구간은 말이 안 나올 정도. 터미널에서 시청 가는 440번이 온다고 절대 타지 말자. 애초에 배차간격이 좋아 아무리 늦어도 20분 안에는 오는 360번이 있다. 터미널에서 관덕정까지 갈 때는 좋은 노선이나, 애초에 이 노선이 음영 지역을 잇는 성격이여서 전 구간을 타는 것은 좋지 않다. 따라서 구제주는 몰라도 신제주에서 월평 갈 때는 절대 이 노선을 타지 말자.
441 1.64[440번대] 선형은 굉장히 깔끔하나, 별빛누리공원과 여중고, 한라도서관입구, 그리고 사대부고 쪽 순환 구간을 크게 돌아가는지라 굴곡도가 꽤 있다. 그래도 대부분 구간은 일직선이다.
442 1.56[440번대]
444 1.98[22] 순환버스인데 하필 중간에 제주국제공항이 사이에 있어 노선이 상당히 돌아간다. 다만 굴곡도는 노선이 도평 시점이여서 최단거리가 노형-오라-전농로로 이어지므로 노선에 비해 낮다. 노선 설명을 하자면 도평에서 시작부터 회차지 방향과 정확히 반대로 이동하며, 도두동에서 수요를 위해 도리초로 들어가서 또 돌아가고, 한라병원을 지나 444번 한정으로 명주주택까지 경유해서 자연스럽게 노형 구간에서만 굴곡이 3개나 생긴다. 또한 오라-월성-성화로 한 번에 이어진 길로 가지 않고 중여중에 중앙로까지 돌아서 온다. 그 와중에 어영마을 쪽으로 가는데 사대부고를 또 돌아가는 건 덤. 그래서 돌아갈 곳은 죄다 돌아가서 한라병원에서 어영마을까지 노선을 타면 1시간이 사라진다. 게다가 446, 447번과는 다르게 전 차량 고상버스여서 허리가 굉장히 아플 수 있다. 도평과 외도에서는 노형으로 간다면 444번을, 어영으로 간다면 445번을 탈 수 있기 때문에 문제에서 자유롭지만, 노형 일대에서는 어영으로 갈려면 노선의 시작이 도두도 아니고 도평이라 도리초에서 환승하기도 번거롭고, 444번을 타고 쭉 가는 것은 상당히 지겹고 힘들 수 있다. 게다가 444, 445번은 평일, 휴일 가릴 것 없이 외도-중앙로 구간은 항상 차량이 가득 채워지는지라[23] 타는 것부터 힘들 지도 모른다.
445 2.16[24]
446 2.17[25] 446번은 공항 남쪽을, 447번은 444, 445번과 같이 공항 북쪽을 중심으로 상당히 돌아간다. 447번은 n자 모양으로 돌아가 444, 445번과 302번을 합친 선형이며, 446번은 447번과 선형이 비슷하나 노형에서 매우 돌아간다. 굴곡을 보면 446번은 도리와 중앙병원을 돌아가 지나간 후 시점과 매우 가까운 광평을 지난 뒤, 원노형 쪽으로 들어가서 일직선으로 갈 것을 2자 선형으로 엄청나게 돌아간다. 그리고 난 후 월성에서 시청까지 터미널 쪽으로 가지 않고 365번과 비슷한 경로로 또 돌아가며, 월평 경유 시간대에는 월평까지 경유해서 더 돌아간다. 447번도 마찬가지로 굴곡은 심한데, 다만 447번은 446번과는 다르게 어영마을을 경유해서 사대부고를 지나 자연스럽게 서문시장-중앙로-시청 라인에 들어와서 굴곡이 446번에 비해서는 그렇게 많지는 않아 보인다.
447 1.93
451 3.14 일단 순환 노선이라는 점에서 굴곡도가 상당히 높다. 굴곡도 있는데, 제주서중-도청까지 Z자 구간이 있고, 노형 시내 남쪽 끝자락으로 돌아간다. 또한 320번과 같이 광평을 매우 돌아간 후 도평 시점 노선들과 비슷하게 외도를 돌아온 후 종료된다. 사실 굴곡이 엄청나게 많진 않은데, 굴곡도가 이렇게 높은 이유는 광평을 n자로 돌아가는데 그 구간의 가운데에 있는 광평 정류장이 하필 사실상 중간 회차지기 때문. 그리고 돌아가는 과정에서 시종점에 더 가까워져서 굴곡도가 높아진 것이다.
452 3.11
453 1.66 용담2동과 삼무공원에서 조금 돌아가는 것을 제외하면 굴곡이 매우 적다. 굴곡도도 이 정도면 순환버스 치고는 낮은 편. 다만 제주국제공항이 없었다면 굴곡도가 조금 더 높았을 것이다.
455 2.19[26] 정존마을 이동 노선은 365번과 비슷하나, 더 굴곡도가 높은 노선으로 제주도에서 많이 돌아가는 노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오일장 경유날에는 굴곡도가 더 늘어난다. 애월 쪽에서 워낙 많이 돌아가서 굴곡도가 높다.
461 1.85 해안 방향 한정으로 상당히 돌아간다. 제주 방향은 별다른 굴곡 없이 가나, 해안 방향은 반대로 461번은 시민회관-탑동-용담을, 462번은 농협-제주중-사대부고-용문-월성을 거쳐서 간다.
462 1.79
465 1.59 노선 자체가 그렇게 돌아가진 않으나, 국제부두에서 조금 돌아가며, 노형동에서도 부영아파트-대림아파트-롯데마트 제주점-원노형-은남동 구간의 S자 구간에서 상당히 돌아간다. 그래도 이 구간에서는 360번보다는 소요시간이 더 적다.
471 1.50[27] 471번은 오등, 정실, 아라, 신고에서, 472번은 도청, 민오름,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신고, 첨단과기단지에서 돌아간다. 다만 장거리 노선이라 굴곡도는 낮은 편이다.
472 1.62
475 1.66 475번의 굴곡은 거의 없으나, 1, 2회차가 국제대 시/종착이여서 숫자 5자로 상당히 돌아간다.
701-1 1.61 에덴빌리지 구간. 에덴빌리지에서 숫자 '2'자로 돌아가며, 시간도 5분 정도 더 소요된다.
702 2.10[28]
3.23[29]
초록마을 경유 시간대 한정으로 매우 돌아간다. 물론 초록마을 미경유 시간대에는 굴곡률이 낮다.
703 2.49[30]
1.65[31]
문장 하나로 요약하자면 겁나게 돌아간다. 특히 양천상동과 에덴빌리지 구간의 경우는 그냥 막장이다. 1차로 구간이 많은데, 사실 이 노선이 승합차 노선이여서 상관은 딱히 없다.
705 2.08 함덕과 아라동 일원을 직통으로 잇는 역할을 하는 노선이지만, 정작 굴곡도는 2 이상이다. 그 이유는 애조로를 타고 종점 옆을 지나쳐서 첨단과기단지, 제주대, 아라동, 영평(신성여고)을 모두 지나서야 종착하기 때문.
711 2.38[32]
1.84[33]
크고 아름다운 유명한 관광지 덕분에(?) 엄청 돌아간다. 711-1번은 상덕천에 비자림까지 경유하고, 해녀박물관 종점이여서 매우매우 돌아가며, 711-2번은 그나마 낫지만 만장굴의 존재 때문에 일단 만장굴은 경유하며, 세화리에서 엄청 돌아간다.
771-1 2.11 771-2번의 굴곡은 영어교육도시 북쪽을 돌아가는 것을 빼고 거의 없지만, 771-1번은 차귀도포구, 신창, 낙천, 조수, 저지, 청수까지 엄청나게 돌아가 시간이 오래 걸린다.
772 2.26[34]
2.07[35]
순환 노선이지만, 신창, 조수, 저지리를 돌아가는 걸 제외하고는 돌아가는 부분이 적다. 그러나 명목상 회차지의 존재 때문에 굴곡도는 높다.
781 2.29[36]
1.88[37]
기점인 동명리에서 출발하면 옹포, 한림3리, 귀덕, 성로서동 등 지역에서 상당히 돌아간다.
782-2 2.37 종점을 봉성하나로로 계산했을 때 옆의 굴곡도가 나오는데, 직행으로 가지 않고 귀덕으로 돌아가고, 옹포까지 간 것이 그 이유다. 사실 읍면순환 노선인 이유도 있다. 돌아가지 않고 한림에서 봉성하나로로 가려면 그냥 반대 방향인 782-1번을 타면 된다.(...)
783 1.80[38]
2.11[39]
대부분 구간이 직선 구간이지만 한림에서 한 바퀴 순환한 후 동광으로 가기 때문에 굉장히 돌아간다. 그리고 오일장날에는 더 돌아간다. 이 외에도 783-1번이 상명 경유 시간대 때 추가로 돌아간다.
784 1.91[40]
2.24[41]
한림에서 시작부터 동쪽으로 갔다가 금능, 더마파크, 방림원, 생각하는정원, 신화월드에서 돌아간다. 노선이 서쪽으로 크게 돌아가나, 노선 길이든 최단거리든 거리가 멀어서 굴곡도가 그렇게 높진 않다.
785 2.66[42] 일주도로를 타지 않고 조수, 상명 쪽으로 한참 돌아간다. 한림읍내, 한경면내 주민들은 당연히 돌아가지 않는 202번을 탄다.
792 1.79[43]
2.18[44]
선형부터 굉장히 이상한데, 잘 보지 않으면 노선이 어떻게 운행하는지 파악조차 안 된다. 당동을 한 번 회차하고 나서 장전, 소길, 유수암, 장전, 용흥, 신엄을 매우 돌아서 온다. 게다가 유수암 순환 구간은 두 노선 전부 똑같은 경로로 운행해서 더 헷갈릴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이 갈 곳을 반드시 숙지하여 자신이 탈 버스를 헷갈리지 말아야 한다.
793 3.08[45]
1.89[46]
애월에서 하귀까지 쭉 가지 않고 상가 - 소길 - 유수암 - 광령 - 제일빌리지 - 해안 - 사라마을로 엄청나게 돌아간다.
794-1 1.94 794-2번과는 다르게 신엄을 추가로 경유하기 때문에 굴곡도가 높다. 그리고 봉성도 경유하기 때문에 더 돌아간다.

4.2. 서귀포시

서귀포시 지선버스의 경우 서귀포시는 제주시와 다르게 교통이 열악한 곳이 많아 그 곳을 다 경유하느라 굴곡도가 대부분 말도 안 되게 높다. 노선이 순서대로 나열되어있다.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611 2.09[47] 서귀포시 지선 노선치고는 그렇게 굴곡이 심한 편은 아니지만 사실 이 노선도 굴곡이 꽤 심한 편이다. 숫자 '2'자로 크게 돌아가며 특히 서귀포 중앙로터리에서부터 정방동까지의 구간은 말이 안 나올 정도로 노선이 기괴하다.
612 1.79 위 611번보다는 훨씬 덜하지만, 토평공업단지를 경유해 소요시간이 조금 늘어나고 굴곡도가 높아졌다는 것이 함정이다.
615 1.66[48] 천지연폭포 때문에 황우지해안에서 천지동주민센터까지 조금 굴곡이 있다. 그리고 하례 구간은 영천악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뱅뱅 돌아간다.
621 2.54[49] 서귀포시내로 가는 데 공천포 테크(신례 - 공천포 - 효돈)를 밟으면서 감귤박물관 쪽으로 갑자기 올라갔다가 토평을 지나 시내로 가는 지라 굴곡이 상당히 높다. 대체 노선이 많이 있으니 하례에서 시내로 갈 때는 281번이나 615번, 655번을 타는 것이 좋다.
622 3.51 611번의 삼매봉-중앙로터리, 623, 4번과 627번의 동문로터리-모레기도 구간을 퓨전한 노선이다. 무슨 생각으로 만들었는지 감이 안 잡히는 노선. 숫자 '2'자로 크게 돌아가며, 애초에 똑같은 가격인 281번이 삼매봉에서 토평까지 최단거리로 운행하기 때문에 이 노선을 타고 절대 삼매봉에서 토평, 하례로 가지 않기를 권한다.
623 3.55[50] 굴곡도가 굉장히 높다. 휴애리 경유 때는 257m인 신례교 - 만지동 부분 최단거리가 무려 17배나 늘어난 4.3km가 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외에도 622, 627번이 지나가는 하례 - 공천포 - 효돈 테크를 밟으며, 효돈 구간에서는 숫자 '6'자로 하례초 - 하례1리 - 하효북문 - 효돈중 - 쇠소깍 - 효돈초 구간[51]을 운행한다. 참고로 이 구간은 정말 돌아가니까 다른 노선을 타자. 또한 서귀포 시내를 경유하기 위해 중앙로터리에서 엄청 돌아간다.[52] 그리고 위미를 경유할 때 굳이휴애리, 상위미, 위미를 경유해 시간이 좀 늘어난다. 이 시간대를 조심하자.
624 3.29[53]
625 2.17[54] 헬스케어리조트에서 서귀포운수차고지까지 최단거리 경로에서 딱 서귀포 시내만 경유해 엄청나게 돌아간다.
627 2.19 622, 3, 4번의 모레기도 - 하례 - 공천포 - 토평 - 비석거리 테크를 같이 경유하는 노선으로 많이 돌아가는데 그마저도 운행횟수가 일 5회에 불과해 타는 사람도 많이 없다. 참고로 이 노선도 당연히 대체 노선이 있다.
630 3.20[55] 보목포구에서 토평까지 거의 일직선으로 이어주는 마소물로와 토평로50번길이 있으나 630번은 좌측으로 한참 뱅뱅 돌아간다. 삼성여고를 지난 후 연금공단을 경유하고 동문로터리로 내려간다. 이후 중앙로터리, 오일장을 지나가는 C자 선형을 가지고 있다. 2024년 노선 개편 후 굴곡도가 소폭 증가했다.
635 3.62[56] 서귀포 순환 구간이 621번, 625번과 흡사하지만 서쪽으로 돌아가며, 하필 시점이 남주중고, 종점이 토평이라 굴곡이 극대화된다. 게다가 서귀포여중 경유 시간에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문서에 있는 노선도를 보자. 엄청나게 돌아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42 1.87 법환과 서귀신시가지를 경유하느라 굴곡이 많다. 굴곡도는 고근산 정류장을 기준으로 했을 때. 순환 노선인 걸 감안하면 의외로 굴곡도가 낮은 편.
643 6.08[57] 역대급 굴곡을 보여준다. 얼마나 굴곡도가 높나면 서귀포 시티투어버스인 880번보다 굴곡도가 훨씬 높다. 그래서 구간 수요가 이 노선의 모든 수요를 차지한다. 당장 서귀포 신시가지를 한 바퀴 돈 다음 서호북문에서 서호까지 한 번에 안 가고 무려 중앙로터리, 동문로터리, 솜반천을 모두 찍고 그제서야 서호에 진입한다. 또한 서호초교 진입 시간대에는 1차로 길인 서호초교 앞과 LH까지 한참 돌고돌아 나오기 때문에 매우 돌아간다. 심지어 여기서 끝이 아니고 법환에 캔싱턴리조트, 관광미항, 대천, 그리고 서귀포 시가지를 매우 빙글빙글 돈다. 특히 대천과 농업기술원 사이의 거리는 아까 전의 서호북문과 서호 사이의 거리 못지 않게 돌아간다 할 수 있겠다. 게다가 노선이 2024년 8월부로 강창학구장으로 단축되어서 굴곡도는 더욱 늘어났다.
644 5.92[58]
645 1.71[59] 노선 자체가 막장이다. 서귀포버스터미널에서 삼다공원 찍고 유승한내들 쪽으로 돌아가다, 서귀포 제2청사 쪽으로 지나가다 연금공단을 지나고 다시 삼다공원 찍고 LH, 서호로 빠진다. 그래서 한 번 운행할 때마다 고래왓 정류장을 4번이나 경유하는 대참사가 벌어졌다.
690 1.65[60] 중문관광단지에서 레전드 굴곡을 보여준다. 대포포구에서 시작해 풍림빌리지 찍고 다시 컨벤션으로 내려간다. 여기부터 벌써 이상한데, 스위트호텔로 깊숙이 들어간 후 다시 나와 중문환승정류장을 지나 풍림빌리지 북쪽을 지나며 동쪽으로 빠진다. 굴곡이 매우 많은데, 정작 노선이 길어서 이런 굴곡도가 나왔다.
691 2.24[61] 얼핏 보면 641, 642, 643, 644번과 비슷하지만 실상은 880번 아침 운행 노선이다. 굴곡은 641, 642번과 같이 역시 거의 없는 편. 참고로 691번 첫차는 삼매봉에 구 터미널, 천지동, 동문로터리, 송산동, 서귀포항을 경유하기 때문에 굴곡도가 저 정도까지 늘어난다.
692 1.70
721 1.79[62]
2.36[63]
성산 구간은 노선 운행 방식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해괴하게 운행한다. 고성 방향 한정으로 숫자 '8'자 모양으로 돌아간다. 그런데 여기서는 '고성 방향 한정'이라는 서술을 쓰고 있는데, 이유는 반대 방향은 성산 구간을 미경유하기 때문이다. 특히 대천 방향 721-2번은 수산에서 살짝 돌아가는 것을 제외하면 금백조로 경유 210번대와 노선이 아예 똑같을 지경. 사실 옛날에는 721-2번도 성읍 시점이였고, 721-1번이라는 노선도 있었다. 당시 두 노선의 굴곡도는 대천과 성읍을 빙빙 돌아갔던지라 2 이상으로 굉장했다. 그러나 수요 부족으로 인해서 노선이 축소되고 사라지면서 이런 굴곡도가 나오게 된 것이다.
722 2.44[64]
2.32[65]
여기도 위 721번과 상황이 똑같다. 722-1번은 중간에 난산을 경유하는 건 덤. 고성 방향 한정으로 721-2번과 성산 구간이 반대이며, 고성 - 오조리 - 성산항앞 - 성산일출봉 - 고성으로 순환한다. 고성 방향 한정으로 정말 돌아간다. 여기도 '고성 방향 한정'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데, 721번과 똑같이 반대 방향은 성산을 미경유한다.아니 뭔데 애초에 노선이 구 910번을 대체하기 위한 성격이여서 그렇다.
731-2 1.60 731-1번과 차이는 그렇게 크지 않으나, 731-2번은 신풍, 주어등을 경유하기 때문에 굉장히 돌아가는 면이 있다. 그런데 의외로 전구간 주행 소요시간은 731-2번이 731-1번보다 2분 빠르다는 게 함정.
732-1
732-2
1.85[66]
2.42[67]
732-1번은 222번 가시리 경유 시간대와 노선이 완전히 겹친다. 성읍에서 표선까지는 번영로로 일직선 상에 있지만 가시리를 경유하느라 엄청 돌아가게 되었다. 732-2번은 표선생활체육관에서 대진유토피아, 표선면사무소, 표선중학교에 가시리까지 돌아가는터라 굴곡도가 이 정도다. 정말로 돌아가는 노선. 그러나 마찬가지로 많이 돌아가는 732-3번은 등재 기준 미달이다.
742 1.71[68]
1.60[69]
이 노선의 남원 순환 구간의 평균인 이화농장을 기준점으로 잡았을 때. 원래 742-1번도 굴곡도가 1.51에 불과했으나 노선이 공업단지로 연장되며 굴곡도가 조금 늘어났다.
743 3.88 원래는 아주 평범한, 굴곡률이 1.5 도 안 되는 노선으로 굴곡도가 높기는 커녕 지극히 평범한 노선이였으나, 편도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굴곡도가 높아지고 2020년 즈음부터 갑자기 순환 노선에서 왕복 노선, 남원생활체육관 종점으로 바뀌면서 굴곡률이 3을 넘었고, 신례리까지 추가 경유하면서 무려 4.69의 굴곡도를 가지게 되었지만, 노선이 환원되면서 기존의 굴곡도로 돌아갔다.
751 2.94[70]
2.45[71]
대정, 안덕을 ^자로 매우 돌아간다. 영어교육도시를 경유하며, 화순, 신평에서도 많이 돌아간다.
761 1.68[72]
1.80[73]
761-1번과 761-2번은 대정 서부를 중심으로 상당히 돌아간다. 761-1번은 보성을, 761-2번은 일과에서부터 많이 돌아가며, 특히 761-2번은 굉장히 많이 돌아가 지저분한 구간이 많다. 특히 일과에서 무릉까지 10분도 안 걸리는 거리를 761-2번을 타면 20~30분 정도 더 걸린다.

5. 순환버스

관광지 순환노선의 특성상 당연히 굴곡도가 높을 수밖에 없으니 참고용으로만 보자.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810 2.32[74]
1.72[75]
노선 개편 이전의 첫차 굴곡도는 무려 11이나 됐지만 현재는 저 정도까지 줄어들었다. 사실 관광지 순환버스이기 때문에 이럴 수 밖에 없긴 하다.
880 2.6[76] 서귀포 시내를 헤집고 다니는 버스 노선이다보니 천지연 방향 한정으로 굴곡률이 매우 높지만, 반대 방향은 종이 한 장 차이로 등재 기준 미달이다.
1111 2.33 이 버스의 시점과 종점 사이의 정류장이 모두 11정거장 사이이므로 제주시민속오일시장 정류장이 중간 종점이라 봤을 때 나오는 수치가 바로 왼쪽 수치인데, 애초에 시티투어 노선이므로 이런 값이 나올 수 밖에 없다.
1113 3.80 동문로터리 종점 기준 저 수치이다. 기존에도 많이 돌아갔으나 노선 개편 이후 1113번이 이호테우 구간을 흡수하면서 굴곡도가 더 늘어났다.

6. 마을버스

제주도의 마을버스는 900번을 제외하고 모두 한정면허 노선이기 때문에 틀 커짐을 방지하기 위해 제주도에서 임의로 부여한 번호를 쓴다.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921 3.24[77] 921번은 홀수날 하우목동에서 하고수동까지 상당히 돌아가기 때문에 시간도 꽤 걸리고, 굴곡도도 저렇다.


[1] 서울 110번의 사례처럼 말이다.[2] 단, 명확히 회차지가 보이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3] 특성상 골목길 사각지대를 인근 전철역, 교통스팟 등과 연계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일반 시내버스(수도권은 간선버스와 지선버스)보다 좀 더 엄격하게 적용. 시내버스보다 모든 기준이 0.5 높다.[4] 제주도에서는 마을버스가 교통편이 불편한 곳만 이어주기 때문에 육지의 마을버스와는 성격이 많이 다르다. 관광지 순환버스도 마을버스 면허이긴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순환버스에 해당한다.[5] 신흥 경유 시간대.[6] 애조로/신흥 동시 경유 시간대. 신흥 경유 시간대는 1.61, 애조로/신흥 동시 경유 시간대에는 1.54.[7] 295번 성산발 서귀포행 첫차의 굴곡도다. 그런데 이것도 반올림한 수치다.[8] 삼양3동 노선 기준, 삼양종점 노선은 1.61.[9] 삼양3동 노선 기준.[10] 남광초 경유 기준, 탐라중 경유 노선은 1.63.[11] 사실 월평 경유 노선들은 대부분 굴곡도가 높다는 함정이 있다.[12] 봉개 종점 기준. 동회천 종점은 2.53.[13] 영주고 종점 기준. 중앙고 종점은 1.70.[14] 제주대 종착 기준. 국제대 종착은 1.88.[15] 공항 미경유 시간대 굴곡도. 경유 시간대는 2.69.[410번대] 동문로터리 출발 차는 무려 11.33(...)이다. 의미없지 않나..[410번대] [18] 421번 한정.[19] 첫차(제주시청 출발)는 6.37.[440번대] 제주대 시종점 기준.[440번대] [22] 신산마을 경유 시간대 기준. 미경유 시 1.97. 다만 신산마을이 회차점을 지나고 경유하다 보니 별다른 차이는 없다.[23] 자리 착석은 고사하고, 입석도 힘들 수준이다.[24] 신산마을 경유 시간대 기준. 미경유 시 1.79.[25] 제주대 시종착 시간대 기준. 월평 시종착 시간대는 1.93.[26] 오일장 날이 아닐 때는 2.04.[27] 원래는 1.4957이나, 반올림을 하여 등재되었다.[28] 한흘마을입구를 기준점으로 잡았을 때 702-1번 초록마을 경유 시간대 굴곡도.[29] 702-2번 초록마을 경유 시간대 굴곡도. 초록마을 미경유, 문서교 경유할 때 와산삼거리를 기준을 잡는다면 1.57.[30] 703-1번.[31] 703-2번.[32] 711-1번.[33] 711-2번.[34] 772-1번.[35] 772-2번.[36] 781-1번.[37] 781-2번.[38] 783-1번 오일장+상명 경유 시. 상명만 경유 시 1.64.[39] 783-2번 오일장 경유 시. 미경유 시 1.95.[40] 784-1번 더마파크 경유 시간대 기준. 미경유 시 1.85.[41] 784-2번.[42] 복호 경유 기준. 수장 경유 시 2.65.[43] 792-1번.[44] 792-2번.[45] 유수암/해안 경유 793-1번. 장전/해안 경유는 2.97.[46] 793-2번.[47] 상효원 미경유 시 2.06[48] 남주중고 경유 시.[49] 남주중고 미경유 시 2.21.[50] 중앙로터리, 휴애리 경유 시간대.(월라봉 기준.) 중앙로터리 경유, 휴애리 경유 시 3.31.(하례1리 기준.)[51] 쇠소깍 구간은 입구 교차로가 남원 방향만 들어갈 수 있게 되어있어 편도로 운행한다.[52] 일부 시간대 한정.[53] 중앙로터리, 휴애리 경유 시간대.(앞동네 기준) 중앙로터리 미경유, 휴애리 경유 시 2.11.(하례1리 기준)[54] 헬스케어리조트발 토평차고지행(남주중 경유) 굴곡도. 치유의숲 경유 노선은 1.75.[55] 남주중고 경유 시. 미경유 시 2.65.[56] 서귀포여중 경유 노선 굴곡도. 미경유 노선의 굴곡도는 2.92.[57] 서호초교 경유 시간대. 미경유 시간대는 6.04.[58] 서호초교 경유 시간대. 미경유 시간대는 5.03.[59] 연금공단 경유 시 1.65.[60] 대포발 남용통상행 기준. 평안전문요양원 시종점은 1.61.[61] 신시가지발 천지연행 기준. 서귀포중앙도서관 종점 시간대 기준 1.64.[62] 721-2번 고성 방향 시흥 경유. 시흥 미경유 시 1.66.[63] 721-3번 고성 방향.[64] 722-1번 고성 방향. 성읍 방향은 1.90.[65] 722-2번 고성 방향 온평포구 경유. 온평포구 미경유 시 2.11.[66] 732-1번.[67] 732-2번 안좌동 방향, 반대 방향은 2.35[68] 742-1번(향토오일시장). 공업단지 시종점은 1.70.[69] 742-2번.[70] 751-1번.[71] 751-2번 영어국제도시 경유 시간대. 미경유 시간대는 1.98.[72] 761-1번.[73] 761-2번.[74] 810-1번[75] 810-2번[76] 천지연 방향. 그러나 반대 방향은 1.49이다.[77] 홀수일 기준. 짝수일은 2.2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66
, 2.1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