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1290ff><tablewidth=310> | }}} | ||||
[[틀:제주특별자치도 공항리무진| 공항 ]]ㆍ[[틀:제주특별자치도 급행버스|급행 ]]ㆍ[[틀:제주특별자치도 간선버스|간선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지선버스|지선 ]]ㆍ[[틀:제주특별자치도 마을버스|마을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순환버스|순환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심야버스|심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번대 · 일반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 | 202 | 211 | 212 | 221 | 222 |
231 | 232 | 240 | 251 | 252 | 253 | |
254 | 255 | 260 | 270 | 281 | 282 | |
291 | 292 | 293 | 295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300번대 · 제주시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43 | 300 | 301 | 302 | 311 | 312 |
315 | 316 | 320 | 325 | 331 | 332 | |
335 | 336 | 341 | 342 | 345 | 346 | |
347 | 351 | 355 | 356 | 360 | 365 | |
366 | 367 | 368 | 370 | 38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500번대 · 서귀포시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500 | 510 | 520 | 531 | 532 | 590 |
231번(동진여객 차량) | 232번(삼화여객 차량) |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시 서홍동 서귀포등기소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108.4km(231), 111.8km(232)다. 231번 전체 정류장 목록, 232번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제주특별자치도 일반간선버스 231번 | |||||||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일동(제주버스터미널) |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홍동(서귀포등기소) | ||||
종점행 | 첫차 | 06:00 | 기점행 | 첫차 | 06:20 | ||
막차 | 19:30 | 막차 | 21:30 | ||||
배차간격 | 15~100분(1일 14~16회) | ||||||
운수사명 | 동진여객, 삼화여객 | 인가대수 | 9대[차량] | ||||
노선 | 제주버스터미널 - 동광양 - 6호광장 - 봉개동 - 환경시설관리소 - 남조로검문소 - 교래사거리 - 남조로 사려니숲길 - 수망사거리 - 의귀환승정류장(의귀초등학교) - (산하동/한남리/신흥2리) - 남원읍사무소 - 위미문화의집 - 효돈초등학교 - 비석거리 - 동문로터리 - 서귀포환승정류장(서귀포등기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제주특별자치도 일반간선버스 232번 | |||||||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일동(제주버스터미널) |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홍동(서귀포등기소) | ||||
종점행 | 첫차 | 06:30 | 기점행 | 첫차 | 07:20 | ||
막차 | 20:30 | 막차 | 20:00 | ||||
배차간격 | 1일 9회 | ||||||
운수사명 | 동진여객, 삼화여객 | 인가대수 | 9대[차량] | ||||
노선 | 제주버스터미널 - 제주시청 - 제주대학교병원 - 제주대학교입구 - 비자림로 교래입구 - 교래사거리 - 남조로 사려니숲길 - 수망사거리 - 의귀환승정류장(의귀초등학교) - (산하동/한남리/신흥2리) - 남원읍사무소 - 위미문화의집 - 효돈초등학교 - 비석거리 - 동문로터리 - 서귀포환승정류장(서귀포등기소) |
중간 출발 정류장 | |
서귀포등기소 방향 | 모든 차량 종점부터 운행 |
제주버스터미널 방향 | 남원읍사무소06:35/232 |
중간 종료 정류장 | |
서귀포등기소 방향 | 남원읍사무소21:25/231 |
제주버스터미널 방향 | 모든 차량 시점까지 운행 |
===# 폐선된 노선 #===
제주특별자치도 일반간선버스 232-1번(임시 노선) | |||||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일동(제주버스터미널) |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홍동(서귀포등기소) | ||
종점행 | 첫차 | 17:35 | 기점행 | 첫차 | 06:55 |
막차 | - | 막차 | 19:50 | ||
배차간격 | 1일 1~2회 | ||||
운수사명 | 동진여객 | 인가대수 | 1대 | ||
노선 | 제주버스터미널 - 제주시청 - 제주대학교병원 - 제주대학교입구 - 비자림로 교래입구 - 교래사거리 - 남조로 사려니숲길 - 수망사거리 - 의귀환승정류장(의귀초등학교) - 산하동 - 남원읍사무소 - 위미문화의집 - 효돈초등학교 - 비석거리 - 동문로터리 - 서귀포환승정류장(서귀포등기소) |
- 2024년 8월 12일부터 2024년 9월 30일까지 운행했다.
3. 역사
- 1991년 6월 1일 남조로 노선이 신설됐다. '제주도 북제주군 조천읍 조천리'(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에서 출발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남원리'(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남원리) 도착하는 노선이었다.1991년 5월 30일 기사, 언제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구, 서귀포시외버스터미널'로 연장했는지는 불명.
- 다른 시외버스 노선처럼 구.서귀포시외버스터미널을 종점으로 하였으나, 2013년 3월 1일부터 서귀포 중앙로터리에 있던 구.터미널이 폐쇄되면서 서귀포시외버스터미널로 연장하였다.
- 2013년 8월 18일부터 시외버스 번호 부여 정책에 따라 이 노선은 730번을 부여받았다. 이와 동시에 아침 시간대 제주시 방향 한정으로 경유했던 제주대 1일 2회 경유를 남원(서귀포) 방향도 동일하게 오후 시간대에 1일 2회 신설하였다.
- 2017년 8월 26일부터 대중교통 체계 개편으로 노선이 간선버스 230-1번(봉개동), 2번(제주대학교 입구)으로 분할되었으며, 급행버스인 131, 132번이 별도로 신설되었다. 이와 동시에 대흘1리 경유는 260번 신설로, 신흥리, 태흥리 경유 역시 741번, 742번 운행으로, 위미~효돈~서귀포 구간은 510번 남원생활체육관 노선 연장에 따라 해당 구간 운행이 폐지되었다. 반대로 교래리, 5.16도로 방향은 1일 2회 운행에서 1일 13회 운행으로 늘렸으며, 한남리, 남원2리 구간은 계속 운행하게 되었다. 230번은 개편 전 730번과 정류장이 동일하며, 배차 간격은 20분~50분 간격으로 다닌다.
- 2017년 12월 22일부터 종점이 남원생활체육관에서 위미, 효돈을 거쳐 서귀포 중앙로터리(서귀포등기소)로 환원되며, 동시에 230-1번은 231번으로, 230-2번은 232번으로 번호도 변경되었다. 신흥2리, 대흘1리 경유노선이 다시 부활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4년 8월 1일부터 종점이 서귀포환승정류장(서귀포등기소)에서 금호리조트로 재단축되었으며, 231번 대흘리 경유노선이 폐선되었고, 통합차량 운행대수가 12대 → 6대로 감차하여 운행 횟수가 왕복 66회 → 42회로 감편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4년 8월 12일 후속 개편으로 당시 민원이 심했던 교래리 지역 버스운행을 위하여 계획에 있었던 수요맞춤형 231-1번 노선이 수요맞춤형 232-1번 제주버스터미널 - 남원 - 서귀포등기소 노선으로 대체되어 신설되었다. 제주 방향 2회, 서귀포 방향 1회 운행한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4년 10월 1일부터 종점이 금호리조트 → 서귀포환승정류장(서귀포등기소)로 재환원되었으며, 통합차량 운행대수가 6대 → 9대로 증차. 동진여객 차량 7대[3]와 삼화여객 차량 2대[4]를 공동배차 운행하고, 수요맞춤형 232-1번 노선은 폐지하였다. 운행 횟수가 왕복 42회 → 48회[5]로 증편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 개편 이전 지도 노선도 보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nopad> ||
3.1. 사건 사고
- 2021년 2월 24일 오후 10시 24분 경 서귀포등기소를 출발하여 제주버스터미널로 가던 231번 버스 차량이 의귀리 일대에서 트럭과 크게 부딪쳐 차량 옆면이 크게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1명이 중상을 입었고, 2명이 경상을 입었다. 사고 차량은 수리 후 복귀했다. 기사.
4. 특징
- 231번과 232번은 인가대수는 9대이며 차량은 고정 운행이 아닌 정해진 배차 시간대에 맞춰 운행한다.[6]
- 120~130, 210~230번대 공통으로, 1로 끝나는 것이 봉개동 경유, 2로 끝나는 것이 제주대학교병원 경유 노선이다.
- 남조로 버스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2017년 8월 개편으로 동진여객이 1987년 회사 창립이래 처음으로 남조로 노선을 단독으로 운행 중이다.
- 제주시내에서 번영로[7]~남조로[8]를 경유하여 서귀포시 남원읍까지 운행하며, 주로 남원읍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수요가 대부분이며, 730번 시절에 다녔던 위미, 효돈에서도 수요가 있었다. 하지만 2017년 8월 26일부터는 기존 730번 종점이었던 서귀포 시외버스터미널이 아닌 130번, 230번 모두 남원생활체육관까지만 운행하기 때문에 위미나 하례리, 효돈동 지역에서 제주시내로 가는 노선이 없어졌기 때문에 해당 지역 주민들이 노선 단축에 대한 반발로 민원이 발생하면서 결국 2017년 12월 22일부터 서귀포 시내까지 연장되었다. 하지만 고작 2대만 증차되어서 기존 배차 간격은 더 벌어졌기 때문에 시간표 숙지를 해야한다. 그러나 위 민원들이 무색하게 노선이 또 의미없이 남원으로 단축되고 배차간격이 2배 이상 늘어나면서 남원읍 주민들의 반응은 그야말로 최악인 상황이다.
- 제주버스터미널에서 승차할 경우 4번 승차장에서 탑승하면 된다.
- 폭설로 인한 1131번 지방도 통제 시 232번의 경우 봉개 방면으로 우회하거나 애조로를 경유하여 우회 운행한다. 이 때 우회 구간은 정차하지 않는다.
- 231번, 232번은 의귀~남원 구간이 남조로 경유, 한남리 경유, 신흥리 경유 3가지로 나뉜다. 한남리 경유는 통합 운행횟수가 1~4시간에 한번 꼴[9]로 있으나, 신흥리 경유는 운행횟수가 많지 않다.[10]
- 한남리, 신흥리 경유 시 차량 앞부분에 경유지 표시판을 건다.
한남리 신흥리 동진 삼화 동진 삼화 경유 한
남
리경유 신
흥
리한
남신
흥
- 의귀리 월산동 - 동백방앗간 구간은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4.1. 논란
231번, 232번 노선은 다른 노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노선 개편으로 인한 논란이 더 많았던 노선이다.4.1.1. 2017년 논란
- 2017년 8월 26일,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 전면 개편으로 인하여 730번 노선이 230번으로 개편되면서 기존의 제주 - 남원 - 서귀포 노선에서 남원 - 서귀포 구간이 폐지되어 남원읍 주민들의 불만이 제기되었다.
- 또한 남원 중산간 마을에서 서귀포를 직통으로 이어주는 노선이 사라졌고, 심지어 신흥리, 태흥리 경유 노선도 741번 노선 변경, 742번 노선 개통을 명분으로 폐지되어 해당 지역 주민들의 민원이 폭주했다.
- 다행히 눈치를 챘는지 동년 12월 22일부로 다시 기존 노선으로 환원된다. 다만 노선 연장이 길어진 것에 비하여 인가대수는 2대만 늘어나 배차간격이 벌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배차간격은 25-50분 정도로 맞춰졌다.
4.1.2. 2024년 논란
- 2024년 8월 1일, 2017년의 전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감차 및 버스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행에만 초점이 맞춰진 개편으로 인한 해당 구간 노선 재단축이 단행되어 민원이 폭주했다. 또한 차량이 무려 6대나 감축되면서 배차간격이 2배로 늘어나 위미리, 남원리, 의귀리, 수망리, 교래리 주민들이 불편을 겪었으며, 대흘리 구간은 다시 폐지되면서 제주 - 동회천/대흘 구간은 배차가 1시간에 1대 꼴인 금남여객 260번만 남게 되었다.
- 이로 인해 배차간격이 더 길어져 환승이 불가능해짐으로 인해 더 비싼 돈을 내고 버스를 이용하게 된 것이며[12], 배차간격이 너무 늘어나 승객들이 분산되지 않으면서 만차 상태 운행은 기본이며 아예 승차하지 못하는 승객들도 생겨났다.
- 제주도청에서도 이를 의식하여 신설을 계획 중이던 임시 노선 231-1번을 대체하여 임시 노선 232-1번과 의귀리, 수망리 주민들의 출퇴근을 위한 임시 노선 295-1번[13]을 신설했지만 여전히 감당하기엔 역부족인 상태다.
- 2024년 10월 1일, 결국 232-1번은 폐선되고 231, 232번은 서귀포 구간이 환원되었으나, 삼화여객이 공동배차를 하게 되었고 3대만 증차되어 총 9대로만 운행하게 되었다.
- 해당 조치 이후에도 231번이 3번이나 붙어 운행하는 시간대가 2번이나 있어 232번 탑승객들의 불편이 우려된다. 또한 231번의 들쑥날쑥한 15-140분이라는 배차간격도 여전히 불편을 야기할 것으로 우려된다.
4.2. 시간표
231번, 232번 노선 시간표5. 주요 관광지
국립제주박물관, 사려니숲길, 제주돌문화공원, 에코랜드, 제주센트럴파크, 제동목장, 삼다수홍보관, 붉은오름자연휴양림, 렛츠런팜 제주(KRA 제주목장), 붉은오름, 남원큰엉,[차량] 동진여객 7대, 삼화여객 2대.[차량] [3] 정규 6대, 임시 1대[4] 임시 2대[5] 제주행 25회, 서귀포행 23회[6] 예를 들어 남원방면으로 운행할 때 시간대가 231번이면 231번 경로로 오고, 반대로 제주시 방면으로 올 때 232번 운행 시간대면 232번으로 바꿔서 운행한다.[7] 6호광장~남조로검문소[8] 남조로검문소~남원리[9] 제주행 6회, 서귀포행 8회[10] 각각 양방향 3회씩 운행.[11] 두 번째 영상은 230번대 노선이 직접적으로 나오지는 않지만 노선이 끊어졌다는 말이 영상에 있는 것을 보아 231, 232번 노선이 간접적으로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12] 자세한 내용은 이 곳에 정리되어 있다.[13] 이 노선은 금남여객 대신 서귀포운수가 운행한다.[14] 현재 휴관중. 사실상 폐업 상태.[15] 현재 휴장중.[16] 현재 휴업중. 사실상 폐업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