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9894>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군청 인제읍 | |||||||||
면 | 기린면 | 남면 | 북면 | 상남면 | 서화면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미수복지역* | ||||
리 | 이포리 (서화면) | ||||||||||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능이 없다. |
인제군의 면 기린면 麒麟面 | Girin-myeon | |||
<colbgcolor=#00989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강원특별자치도 | ||
기초자치단체 | 인제군 | ||
행정표준코드 | 4331036 | ||
관할 법정리 | 5리 | ||
하위 행정구역 | 15행정리 63반 | ||
면적 | 275.07㎢ | ||
인구 | 5,016명[1] | ||
인구밀도 | 18.24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 |
| 이양수 (재선) | ||
강원특별자치도의원 | 인제군 선거구 | |||
| 엄윤순 (초선) | ||
인제군의원 | 나 선거구 | |||
| 김재규 (초선) | ||
| 이춘만 (4선) | ||
| 조춘식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기린로42번길 9 (현리 402) |
1. 개요
인제군 동부에 위치한 면. 면소재지는 현리이다.2. 역사
고려시대까지 춘주春州() 속현인 기린현(麒麟縣)이었고, 조선초기에 춘천도호부(春川都護府), 춘천유수부(春川留守府, 1888)의 월경지인 기린면이었는데, 1906년 9월 24일에 대한제국 지방구역정리령(칙령 제49호)로 월경지와 땅거스러미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인제군에 편입되었다. 또한 전설의 흑역사 현리 전투가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3. 하위 행정구역
현리* | 방동리 | 북리 | 진동리 | 서리 | |||||||||||||||||||||||||
* : 면사무소 소재지 |
4. 교통
31번 국도를 통해 인제읍과 상남면으로 이어지고, 418번 지방도(조침령)를 통해 양양군 서면과 이어진다. 서울양양고속도로가 지나간다. 인제터미널을 거치지 않고 내촌, 홍천을 거쳐 동서울로 바로 갈 수 있는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원래 인제읍으로 가는 버스는 시외버스였으나, 2014년에 대한교통이 전 노선을 농어촌버스로 전환하면서 농어촌버스가 다니고 있다.육군항공대 현리비행장이 기린면 현리에 위치해 있다.
5. 출신 인물
- 김소진(배우)(현리) - 태어난 곳은 서울이다.
6. 여담
- 전반적으로 인구가 감소세였던 다른 면들에 비하여 의외로 주민등록 인구 5,000명 선을 유지하는 곳 중 하나이다. 인제군 내에서는 인제읍, 원통리에 이은 사실상 제3의 번화가인 것도 있고, 군부대가 많이 주둔해있어 실거주민도 많은 편이며 인제IC의 개통으로 고속도로 접근성이 좋아진 것도 한 몫 한다. 실제로 인제 나들목을 나오면 가장 먼저 맞이하게 되는 번화가가 바로 기린면 현리이다.[3]
- CGV 기린이 있다.
- 일본의 기린맥주와 기린의 한자가 같다.
[1] 2023년 5월 주민등록인구[2] 여자친구가 공연 도중 미끄러진 그 곳이다. 덤으로 한참 윗쪽의 인제읍에는 그 유명한 "은비령"이 있다.[3] 거리상 상남면과 비슷하긴 하지만 상남면은 번화가라 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4] 전 8군단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