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묘한 이야기(미국 드라마)|
]]
기묘한 이야기
Stranger Things
Stranger Things
- [ 시리즈 ]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width=1000><:> ||<width=33%><:> ||<width=33%><:> ||
<rowcolor=#ffffff> 기묘한 이야기 1
Stranger Things (2016)기묘한 이야기 2
Stranger Things 2 (2017)기묘한 이야기 3
Stranger Things 3 (2019)<rowcolor=#ffffff> 기묘한 이야기 4
Stranger Things 4 (2022)기묘한 이야기 5
Stranger Things 5 (2025~2026)
- [ 등장인물 ]
- ||<tablebgcolor=#000><tablewidth=100%><width=1000> [[일레븐(기묘한 이야기)|]] ||<width=25%> [[윌 바이어스|]] ||<width=25%> [[마이크 윌러|]] ||<width=25%> [[더스틴 핸더슨|]] ||
일레븐 윌 바이어스 마이크 윌러 더스틴 핸더슨 [[루카스 싱클레어| ]][[맥스 하그로브| ]][[조이스 바이어스| ]][[짐 호퍼| ]]루카스 싱클레어 맥스 하그로브 조이스 바이어스 짐 호퍼 [[낸시 윌러| ]][[조나단 바이어스| ]][[스티브 해링턴| ]][[로빈 버클리| ]]낸시 윌러 조나단 바이어스 스티브 해링턴 로빈 버클리 [[에리카 싱클레어| ]][[에디 먼슨| ]][[빌리 하그로브| ]][[머레이 바우먼| ]]에리카 싱클레어 에디 먼슨 빌리 하그로브 머레이 바우먼
1. 개요
미국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기묘한 이야기〉의 세계관 및 설정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2. 지명
2.1. 호킨스
실제 미국에 존재하는 인디애나주 북부에 위치한 마을이다. 전형적인 80년대 미국의 평화롭고 조용한 마을의 모습을 하고 있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친근한 지역사회 분위기를 띤다. 하지만 이러한 평화로워 보이는 외형과는 달리 어느 순간부터 온갖 초자연적 현상과 저주라 불려도 이상하지 않은 비극들이 속출하는 비운의 마을.
2.1.1. 호킨스 국립 연구소
호킨스 외곽에 존재하는 미국 정부 산하의 연구소로, 평화롭기 그지없는 호킨스의 분위기와는 정반대로 굉장히 복잡하고 비밀스러운 행적을 보이는 세력이다. 과거 어린 아이들을 대상으로 초능력 관련 실험을 진행하였고, 뒤집힌 세계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었다.
시즌 1 당시 연구소장은 마틴 브래너 박사였고, 시즌 2부터는 그의 퇴임 이후 새뮤얼 오언스 박사가 뒤를 이어 재임하였다. 시즌 2 이후로는 정부에 의해 폐쇄되었고 모든 연구가 중단되었다.
2.2. 뒤집힌 세계(기묘한 이야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뒤집힌 세계(기묘한 이야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뒤집힌 세계(기묘한 이야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1. 문
현실 세계와 뒤집힌 세계 사이를 잇는 매개체로, 시공간의 균열을 낼 수 있을만큼 강력한 에너지가 필요해 이를 열 수 있는 수단은 그리 많지 않다. 작중 문이 완전히 열린 것은 전부 강력한 초능력에 의해서였다.
소련은 과거 한 번 문이 열렸던 곳에서 자신들의 대형 에너지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을 열려고 시도했다. 문이 아예 안 열리진 않았지만 초능력을 통해 열린 문에 비해 훨씬 불안정했고, 시도할 때마다 막심한 손해를 보았다.
엄밀히 따지면 작중 문이 최초로 열린 것은 1979년, 당시 8세였던 일레븐의 능력에 의해서였다. 하지만 연구소 실내에 작은 틈을 만드는 데 그쳤고, 이마저도 금방 사라져 현실 세계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
1983년 11월 6일, 일레븐은 정신 공간에서 누군가를 찾는 실험을 하다가 괴물과 접촉하고 능력이 폭주하여 연구소 내부에 거대한 문을 만들었고, 이는 "마더게이트"라고 불린다. 이 거대한 문에 의해 현실 세계와 양자 구조가 같은 뒤집힌 세계가 만들어졌다.
이때 생긴 마더게이트는 1984년까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호박이 다 썩어버리는 등 호킨스 전역에 점차 영향을 주기 시작하는데, 일레븐에 의해 닫힌다.
1986년에는 베크나에 의해 문이 열리는데, 베크나와 그의 희생양과의 정신적 접촉에서 나오는 강력한 에너지 때문에 열리는 방식이라 살짝 매커니즘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베크나는 총 4번의 살인을 통해 4개의 문을 만들었고, 이 문을 계속 확장하여 하나로 이어 버린다.
이 문은 단순히 현실 세계와 뒤집힌 세계를 잇는 것을 넘어 도시 전역에 대재앙이나 다름없는 엄청난 물리적 피해를 주었다. 또한 엄청난 크기 때문인지 시즌 4의 마지막 장면에서는 두 세계 간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언제든 뒤집힌 세계의 침공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묘사가 나온다.
3. 초능력
작중 등장하는 모든 초능력의 원천은 원으로, 자연발생한 그의 능력을 기반으로 진행한 MK울트라 프로젝트를 통해 초능력 아이들이 탄생하게 되었다.호킨스 연구소 산하의 초능력 아이들은 원을 제외하고 총 17명으로, 순서에 대해서는 불명이나 나이 순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초능력의 힘은 개개인별로 큰 차이가 있지만 선천적인 초능력이 실험을 통한 초능력보다 압도적으로 강하게 묘사된다. 원을 제외한 초능력 아이들 중 가장 강한 잠재력을 가진 일레븐의 능력도 실험을 통하여 강해지긴 했으나 다른 아이들과는 다르게 테리 아이브스와 MK울트라 프로젝트의 여파로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었던지라 선천적인 초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다른 초능력 아이들 중 가장 강하고 나이가 많게 묘사되는 투 역시 원 앞에서는 아무 것도 못 해보고 사망하였지만 원과 비슷한 선천적 능력을 가진 일레븐은 완벽한 정면 대결이라 부르기는 어려워도 원을 상대로 어떻게든 승리했다는 것에서 그 차이가 두드러진다.[1]
개개인의 초능력의 근원은 대부분 정신적 요소로, 감정을 자극할수록 더욱 강해지고,[2] 반대로 사용자의 감정적/정신적 문제 때문에 봉인될 수도 있다.
3.1. 종류
- 염력
가장 자주 사용되는 능력으로, 단순히 사물을 움직이게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람의 신체 기능을 조종하거나, 잠시 동안 공중에 떠오르거나, 강력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등 이를 기반으로 한 연장선이 많다. 무엇보다
- 텔레파시
- 환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