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길드의 접수원인데\
'''길드{{{-1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000; color:#fff;"''' (2025) ギルド{{{#!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000; color:#fff;"受付嬢ですが、残業{{{#!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000; color:#fff;"嫌なので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3px; border-radius: 50% 50% 50% 50%; border:2px double #e60082; color:#e60082; font-size: 1em"ソロ討伐しようと思います I May Be a Guild Receptionist, But I'll Solo Any Boss to Clock Out on Time | |||
<nopad> | |||
{{{#000000,#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bfaf6,#2f1600><colcolor=#000000,#ffffff> 장르 | 판타지, 코미디, 여주 | |
원작 | 코사카 마토(香坂マト) | ||
원작 일러스트 | 가오우(がおう) | ||
감독 | 나가사와 츠요시(長澤 剛) | ||
시리즈 구성 | 치바 미스즈(千葉美鈴) | ||
캐릭터 디자인 | 나가타 요시히로(長田好弘) 마치다 신이치(町田真一) | ||
총 작화감독 | 마치다 신이치 하마구치 쇼헤이(濱口頌平) | ||
몬스터 디자인 | 유코(ゆーこー) | ||
프롭 디자인 | 레고멘데이션(レコメンデーション) | ||
2D 디자인 | MAMEX | ||
CG 감독 | 토미타 유스케(冨田裕介) | ||
CG 애니메이션 제작 | Boundary | ||
색채 설계 | 사이토 아키코(斉藤明子) | ||
미술 감독 | 카토 야스타다(加藤靖忠) | ||
미술 설정 | |||
테크니컬 디렉터 | 사쿠마 유야 | ||
촬영 감독 | 모토쿠라 유스케(本倉悠介) | ||
편집 | 야나기 케이스케(柳 圭介) | ||
음향 감독 | 코이즈미 키스케 | ||
음악 | 이토 츠바사(伊藤 翼) | ||
음악 제작 | 애니플렉스 | ||
프로듀서 | 나라 슌스케(奈良駿介) 요시오카 유스케(吉岡雄介) 오오와다 토모유키(大和田智之) 소토카와 아키히로(外川明宏) 오바타 케이시로(小幡敬志朗) 이노우에 타카미츠(井上貴允) | ||
제작 프로듀서 | 이토 타이토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타카요시 테츠호(髙吉哲歩) | ||
애니메이션 제작 | CloverWorks | ||
애니메이션 제작협력 | 작악 크리에이트(作楽クリエイト) | ||
제작 | 이푸르 노동조합 | ||
방영 기간 | 2025. 01. 11. ~ 방영 중 | ||
방송국 | 도쿄 MX / (토) 00:00 애니플러스 / (토) 01:30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12화 (예정) |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폭력성) | ||
관련 사이트 | |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라이트 노벨 길드의 접수원인데, 야근이 싫어서 보스를 혼자 토벌하려고 합니다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나가사와 츠요시, 방영 시기는 2025년 1월.[1]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
2.1.1.1. 일본
<rowcolor=#000000,#ffffff> TV 애니화 결정 PV | 티저 PV |
<rowcolor=#000000,#ffffff> PV 제1탄 | PV 제2탄 |
2.1.1.2. 한국
애니플러스 PV |
2.1.2. 캐릭터
<rowcolor=#000000,#ffffff> 아리나 클로버 Ver. | 처형인 Ver. |
<rowcolor=#000000,#ffffff> 제이드 스크레이드 Ver. | 루루리 애쉬포드 Ver. |
<rowcolor=#000000,#ffffff> 로우 로즈블렌더 Ver. | 라이라 Ver. |
===# CM #===
<rowcolor=#000000,#ffffff> 스페셜 CM #01 | 스페셜 CM #02 |
<rowcolor=#000000,#ffffff> Blu-ray & DVD 발매 고지 | 스페셜 CM #04 |
2.2. 키 비주얼
<rowcolor=#000000,#ffffff> 티저 비주얼 | 키 비주얼 |
3. 줄거리
길드의 접수원' 업무는 사무직이라 절대 안전. 공무원이니까 안심 안정. 접수 시간이 끝나면, 느긋하게 사무 작업을 마치고 정시 퇴근. 사랑스러운 내 집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자, 내일도 열심히 일하자. 아리나 클로버는 그런 이상적인 직업을 얻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 실상은 이상과는 거리가 멀었다 일단 던전 공략이 지연되면, 카운터는 대혼잡. 까다로운 요구를 하는 모험가도 하나둘 있고. 얼굴로는 웃지만 마음으로는 울면서 성가신 고객을 응대해도, 다음에는 대량의 서류 작업이 기다리고 있다. 의욕은 남아 있지 않지만, 내일로 넘어가면 더 힘들어진다. 그 덕에 매일매일이 야근 지옥... '아, 이제 더는 못 참아!!' 아리나의 불만이 폭발하면 감추고 있던 또 다른 얼굴이 드러난다. 팀으로 공략에 도전하는 것도 위험한 던전에 혼자 뛰어들어 은빛 워해머로 강한 보스를 때려눕힌다. 소문난 실력 있는 모험가 '처형인' 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 사실은 절대로 숨겨야 한다. 왜냐하면 접수원은 부업이 금지라서, 들키면 바로 해고당하기 때문이다... 아리나의 평온한 생활은 지켜질 수 있을 것인가?! 애니플러스 |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자세한 내용은 길드의 접수원인데\ 문서의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owcolor=#000000,#ffffff> 등장인물 | ||||
<rowcolor=#000000,#ffffff> 아리나 클로버 CV. 타카하시 리에 | 제이드 스크레이드 CV. 쿠마가이 켄타로 | 루루리 애쉬포드 CV. 코가 아오이 | 로우 로즈블렌더 CV. 야스다 리쿠야 | 라이라 CV. 세리자와 유우 |
5. 주제가
5.1. OP
OP / 3화 ED パーフェクトデイ 퍼펙트 데이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bfaf6,#2f1600><colcolor=#000000,#ffffff> 노래 | 310 | ||
작사 | 후지나가 류타로(藤永龍太郎)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bfaf6,#2f1600><colcolor=#000000,#ffffff> 콘티 | 오오노 니치카 | |
연출 | |||
디자인 웍스 | |||
LO 설계 | |||
몬스터 작화감독 | |||
캐릭터 작화감독 | 우에다 쇼타로(上田翔太郎) | ||
원화 | 오오노 니치카 등 |
5.2. ED
자세한 내용은 明日の私に幸あれ 문서 참고하십시오. ED / 3화 OP 明日の私に幸あれ 내일의 나에게 행복이 있으라 | |||
TV ver. | |||
부분 1시간 반복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bfaf6,#2f1600><colcolor=#000000,#ffffff> 노래 | 나나오아카리 | ||
작사 | 타마야2060%(玉屋2060%)[2]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bfaf6,#2f1600><colcolor=#000000,#ffffff> 콘티 | 시노다 토시타카(篠田利隆) | |
연출 |
엔딩 영상에는 아리나,루루리,라이라가 나오는데 이후 담당성우들이 엔딩 영상에 나온 춤을 추는 쇼츠영상이 올라왔다.
6. 회차 목록
신작 시간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6125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colcolor=#fff> 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08:50 | [[베이블레이드 X(만화)/애니메이션/해외 공개/대한민국|{{{#!wiki style="brder: 2px Solid #a2ff1f; brder-radius: 12px; backgrund: black; clor: white" | ||||||||||||||
09: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8pt; font-weight: bold; text-align: left; color: transparent" |
<rowcolor=#000000,#ffffff> 회차 | 제목[3]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ギルドの受付嬢なので、 平穏な生活をしたいと思います 길드의 접수원이라서, 평온한 생활을 하려고 합니다 | 치바 미스즈 (千葉美鈴) | 나가사와 츠요시 (長澤 剛) | 마츠나가 마사히코 (松永眞彦) | 에구치 아카네 (江口 茜) 와타나베 케이코 (渡邉慶子) | 마치다 신이치 (町田真一) 하마구치 쇼헤이 (濱口頌平) | 日/韓: 2025.01.11. 하이라이트 |
제2화 | 処刑人ですが、正体がバレるとクビなので 実力行使しようと思います 처형인인데, 정체를 들키면 해고당하니까 실력 행사를 하려고 합니다 | 미우라 유이 (三浦 唯) | 비젠 카츠히코 (備前克彦) | 모리 아야코 (森 亜弥子) 무라타 노리야스 (村田憲泰) 타카노 유카리 (髙野ゆかり) | 하마구치 쇼헤이 | 日/韓: 2025.01.18. | |
제3화 | 白銀の[ruby(盾役, ruby=タンク)]ですが、ヤバい ダンジョンに挑もうと思います 백은의 탱커인데, 위험한 던전에 도전하려고 합니다[4] | 모리에 미사키 (森江美咲) | 코마이 카즈야 (駒井一也) | 오가와 린타로 (小川凜太郎) | 타카노 유카리 아모 미코토 (天羽美琴) 와타나베 케이코 에구치 아카네 | 日/韓: 2025.01.25. | |
제4화 | [ruby(遺物, ruby=レリック)]とか裏クエストとか 魔神とか業務の邪魔なので、 ブツ飛ばそうと思います 렐릭이나 히든 퀘스트나 마신 같은 건 업무에 방해되니까, 날려버릴 생각입니다 | 치바 미스즈 | 마츠나가 마사히코 | 모리 아야코 타카노 유카리 미야시로 나츠키 (宮代夏樹) 요시모리 나오코 (吉森直子) | 하마구치 쇼헤이 마치다 신이치 | 日/韓: 2025.02.01. | |
제5화 | 白銀の[ruby(回復役, ruby=ヒーラー)]ですが、 私にも癒やしが欲しい と思うのです 백은의 힐러인데, 저에게도 치유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日/韓: 2025. | |||||
제6화 | 日/韓: 2025. | ||||||
제7화 | 日/韓: 2025. | ||||||
제8화 | 日/韓: 2025. | ||||||
제9화 | 日/韓: 2025. | ||||||
제10화 | 日/韓: 2025. | ||||||
제11화 | 日/韓: 2025. | ||||||
제12화 | 日/韓: 2025. |
7.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fbfaf6,#2f1600><colcolor=#000000,#fff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3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4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8. 평가
8.1. 방영 전
나가사와 츠요시(長澤 剛) 감독은 코미디 연출력이 상당하고, 감독의 이전 직장이던 XEBEC의 멤버를 대부분 CloverWorks가 흡수하면서 예전 사단을 불러오기도 용이하다.[5] 다만 과거 연출했던 작품 중 클락워크 플래닛을 망친 사례가 있어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아 PV 등 공개 정보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캐릭터 디자인의 나가타 요시히로(長田好弘)도 잘 알려진 인물은 아니나 실력은 상당하고 이전 작품인 SHINEPOST에서 수준급의 작화 실력을 보여주었으므로 총 작화감독을 한다면 작화도 기대할 수 있다.
스토리는 원작부터가 개연성 부분에서 저평가를 받은 상태이다보니 그다지 기대가 없는 모양새. 그나마 주인공 클로버 역의 성우가 타카하시 리에란 점에서 기대를 하는 애니 팬들도 더러 있다.
8.2. 방영 후
원작에서부터 비판받아 온 주인공 아리나 클로버의 모순적인 캐릭터 설정과 개연성 부분은 여전히 비판받고 있지만, 캐릭터 디자인과 작화 등 기본적인 애니메이션의 만듦새는 꽤나 준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주인공인 아리나 클로버가 매력적이고 귀엽다는 평가가 많다. 주인공 아리나 클로버의 성우인 타카하시 리에의 연기 또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본편에 비해 동글동글한 작화로 그려진 캐릭터들이 중독성 있는 노래에 맞춰서 춤을 추는 엔딩 영상이 귀엽다는 평가가 많다.비판받는 원작을 따라갈 수밖에 없는 스토리와 기본 설정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부분에서 상당히 공을 들였다는 것이 눈에 보이는 작품이기에 왜 이런 작품을 이렇게 열심히 만든지 모르겠다며 과예산 작품이라는 우스갯소리 같은 평가도 종종 들리는 중이다.
9. 기타
- 공식 홈페이지에 출ㆍ퇴근 기믹이 있다. 18시 이후엔 영업종료 문구와 함께 사이트가 어두워지며, 우측 하단 잔업 버튼을 눌러야 밝아진다.
- 특이하게 오프닝이 본편이 아닌 프리퀄을 다루고 있으며, 주인공 아리나 클로버가 처형인의 의상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그려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