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4:06:55

김가령/여담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ff0080><tablebgcolor=#ff0080> 김가령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0080,#2d2f34><colcolor=#fff> 방송 2021년 · 2022년 · 2023~2024년 ·
하위문서 출연작 · 여담
}}}}}}}}}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김가령
한국 성우의 여담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00"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극회 성우
KBS 성우극회 강수진, 남도형
MBC 성우극회 김영선, 류승곤, 정재헌
EBS 성우극회 엄상현
CJ E&M 성우극회 김가령, 김현지, 신용우, 이호산
대원방송 성우극회 김혜성, 서유리, 심규혁
}}}}}}}}}}}} ||

1. 개요2. 개인사 관련3. 녹음 관련4. 게임 및 유튜브 관련

1. 개요

성우 김가령의 여담을 정리한 문서.

2. 개인사 관련

3. 녹음 관련

4. 게임 및 유튜브 관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1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나루토 녹음 날에 물어볼 게 있어서 성우실에 전화를 걸었다고 밝혔다.[2] 원신을 갓 시작했을 땐 「허니캐럿그릴」이었다고 하며, 이후부터 페이몬집사를 밀고 잇다. 초기 닉네임의 경우 몬드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요리 레시피에서 따온 듯한데, 지금 돌이켜 보면 유치한 작명 같아서 조금 창피했었다고. 참고로 가끔 게스트나 시청자들의 아이디어를 받아 닉네임을 바꾸기도 하는데 2024년 말엔 페이(몬)커를 쓴 적이 있다.[3] 담당 성우들이 웹 라디오 등을 매주 진행하며 공식 홍보에 열을 올리는 일본과 달리 한국은 그런 홍보가 원신이 한국 서비스를 개시하기 전에는 생소한 개념이라 없었고 김가령 성우가 사실상 최초다. 때문에 많은 한국인 여행자들 중엔 김가령 성우의 원신 방송을 반공식 홍보 방송으로 여긴다.[4] 인터넷 방송 중 UID가 자주 노출되는 편.[5] 필드에서 놀 땐 거의 대부분 아를레키노를 쓴다.[6] 참고로 미육성 혹은 좀 덜 키운 캐릭터 중에 클로린드, 나비아, 마비카(전무 보유), 시틀라리, 토마(풀돌), 피슬(풀돌) 등 쓸만한 애들이 더러 있어 나중에 주력급으로 채용할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7] 대표적인 예로 4.7패치 전반부에 클로린드 & 세토스 뽑기를 진행했을 때 170뽑 만에 세토스 명함을 겨우 달성하고 그 도중에 타이나리 픽뚫을 2번이나 당했다(...) 그리고 5.1 패치 전반부 실로닌 & 전무 뽑기 때도 모나와 천공의 날개 픽뚫을 당했다.[8] 물론 농담이다. 문제(?)는 저 급여도 삭감되거나 숙소를 잃는 경우가…[9] "으이! 여행자는 왜 쌍둥이냐고~!!"[10] 올로룬의 목소리를 담당한 서정익 성우는 나히다 담당인 박시윤 성우의 남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