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d1c24>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d1c24>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김백일 | 2대 유재흥 | 3대 백선엽 | 4대 유재흥 | 5대 정일권 | |
6대 장도영 | 7대 함병선 | 8대 장창국 | 9대 김형일 | 10대 민기식 | |
11대 박경원 | 12대 김익열 | 13대 문형태 | 14대 이상철 | 15대 김상복 | |
16대 노재현 | 17대 윤태호 | 18대 김종환 | 19대 김종수 | 20대 이범준 | |
21대 유학성 | 22대 최영식 | 23대 장성열 | 24대 김응렬 | 25대 장기오 | |
26대 민경배 | 27대 신말업 | 28대 천용택 | 29대 장성 | 30대 김길부 | |
31대 유재열 | 32대 조영길 | 33대 박노숙 | 34대 황규식 | 35대 김기성 | |
36대 김관진 | 37대 정동한 | 38대 김현석 | 39대 정승조 | 40대 오정석 | |
41대 박선우 | 42대 양종수 | 43대 고현수 | 44대 김운용 | 45대 최영철 | |
46대 김혁수 | 47대 박정환 | 48대 정철재 | 49대 장광선 | 50대 박후성 | |
※ 초대~2대: 소장 · 3대~현재: 중장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colbgcolor=#800000><colcolor=#fff> 김응렬 | |
출생 | 1928년 5월 강원도 고성군 |
사망 | 2024년 3월 3일 (향년 96세) |
직업 | 군인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제24대 2군단장.2. 생애
1928년 5월 강원도 고성군에서 태어나 1944년 중국에 있던 일본군 예비사관학교를 나와 38선 이북에 있던 고향으로 돌아갔다가 1947년 말 월남했다.1948년 하사관교육을 받은 뒤 조선경비대(국군의 전신) 7연대 중사로 입대했고, 6·25 전쟁 중 육군제병학교(1기)를 거쳐 중대장으로 동해안진격작전·백암전투·원산 탈환작전 등에서 전공을 세웠다.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다.
육군 36사단장,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 육군대학 총장, 1982∼1984년 제2군단장, 육군교육사령관을 지낸 뒤 1986년 예편했다. 2군단장 때 북한의 공격로를 차단하기 위해 비무장지대 부근에 쌍용댐을 건설했다.
1983년 중공 여객기 불시착 사건 당시 사태를 원만히 해결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중국은 1953년 휴전 후 한국과 공식 접촉한 적이 없었지만, 비행기 승객 중 미사일 전문가를 구해내려고 적극 협상에 임한 덕분에 양국 간에 외교 전문이 오갔다. 승객은 모두 중국으로 돌아갔고, 납치범들은 한국에서 복역 후 대만으로 추방됐다. 이에 대한 답례로 중국은 사건 다음 해 1984년 공산권 국가 중 처음으로 1986 서울 아시안 게임과 1988 서울 올림픽 참가를 선언했다.
2024년 3월 3일, 향년 96세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