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20:11:35

김준일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준일(언론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동명이인:
김준일(언론인)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d4498>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2024-25 시즌 선수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ddd
<colbgcolor=#3d4498><colcolor=#fff> 감독 강혁
코치
수석코치
김상영 ·
코치 겸 D리그 코치
이찬영
스태프
국제 팀장 겸 통역
변영재 ·
수석 트레이너
최은호 ·
트레이너
이승엽 · 김하용 ·
전력분석
공두현 ·
매니저
임준수
가드 0 안세영 · 3 정성우 · 4 김낙현 [[부주장|
VC
]] · 5 우동현 · 7 조상열 · 17 권순우 · 23 김태호 · 27 벨란겔 · 77 이도헌
포워드 1 신주영 · 2 신승민 · 6 차바위 [[주장|
C
]] · 8 박지훈 · 9 전현우 · 11 양재혁 · 24 손준 · 25 김진모 · 37 곽정훈 · 44 니콜슨
센터 13 김동량 · 31 김준일 · 33 김철욱 · 35 은도예
군 입대
2024년 입대
최주영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 양준우 · 염유성
타 한국프로농구 구단 명단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선수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김준일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서울 삼성 썬더스 등번호 31번
허효진
(2011~2012)
<colbgcolor=#ffcc33><colcolor=#074ca1> 김준일
(2014~2021)
김승원
(2023~2024)
창원 LG 세이커스 등번호 15번
주지훈
(2019~2021)
김준일
(2021~2022)
결번
창원 LG 세이커스 등번호 31번
박정현
(2021~2022)
김준일
(2022~2023)
박정현
(2023~)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등번호 1번
김영현
(2018~2023)
김준일
(2023~2025)
결번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등번호 31번
힉스
(2023)
김준일
(2025~)
현역
}}}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No.31
DAEGU KOGAS PEGASUS
파일:김준일 2024-25(한국가스공사).png
김준일
金俊逸 | Kim Jun Yl
<colbgcolor=#3d4498> 출생 1992년 5월 7일 ([age(1992-05-07)]세)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200.9cm|체중 96kg
포지션 센터, 파워 포워드
학력 번동초등학교 (졸업)
휘문중학교 (졸업)
휘문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학사)
프로입단 2014년 드래프트 (1라운드 2순위, 서울 삼성)
병역 신협 상무 (2017~2019.01)
소속 서울 삼성 썬더스 (2014~2021)
창원 LG 세이커스 (2021~2023)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023~2025)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2025~)
가족 부모님, 아내 문은비(1992년생, 2024년 5월 25일 ~ 현재)
응원가 NewJeans - 〈Cookie〉[1]
{{{-2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기타
4.1. 이승현과의 관계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소속 대한민국의 농구선수.

2. 선수 경력

김준일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김준일/선수 경력
파일:한국프로농구 심볼.svg
2014-15 시즌 2015-16 시즌 2016-17 시즌 상무 농구단
2018-19 시즌 2019-20 시즌 2020-21 시즌 2021-22 시즌
2022-23 시즌 2023-24 시즌
2024-25 시즌
모비스 가스공사

3. 플레이 스타일

긴 슛거리+좋은 스텝과 골밑 무브+운동능력+투지+힘을 모두 갖춘 굉장히 득점력이 좋은 인사이더로, 잘생긴 외모와는 다르게 상당히 투지있게 하는 스타일이며 외국인 선수들을 상대로도 전혀 주눅들지 않고 파고들어 득점하는 스타일이다. 곧잘 비교되는 고려대 출신 빅맨 이승현과 달리 철저하게 인사이드에서 주로 플레이 하는 선수. 다만 상대 빅맨과의 매치에서 파울이 많은 단점이 부각되는 편으로 디펜스는 좀 더 배워야 하고 3개가 조금 넘는 평균 리바운드는 좀 더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과거 삼성에서 12~3점을 꾸준하게 득점이 가능한 유일한 국내선수일 정도로 팀에서 맡고 있는 역할은 상당하다. 그렇기 때문에 루키 시절에 드러난 수비와 리바운드의 약점을 해결한다면 국가대표팀에도 발탁될 가능성이 높다.

현역 국내 빅맨 중 공격 능력은 상위권에 속한다는 평이다. 골밑 공격 스킬도 뛰어나고 꽤나 정교한 미들슛도 보유하고 있다. 대학 신입생 시절에는 점프슛이나 자유투 능력이 형편없었고, 심한 경우에는 자유투 성공률이 50%이하를 기록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꾸준한 노력 끝에 슈팅능력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16-17 시즌에 들어서부터는 종종 3점슛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후에 3점슛을 무기로 삼을 수도 있을 것 같은 모양. 성공률 자체는 30%대로 평범하나, 더블 포스트 체제에서 센터가 밖에서 3점을 꽂을 수 있다는 것은 어마어마하게 큰 장점이다. 운동능력도 괜찮아 종종 인게임 덩크를 성공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공격 컨디션의 기복이 좀 있는 편이며 BQ가 낮기 때문에 턴오버가 꽤 많고, 특히 트레블링도 매 경기마다 한 번 이상씩은 기록하는 듯 하다.[2]

2년차부터 꾸준하게 거론되는 단점이 있는데, 승부처나 큰 경기에서 약한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낮은 BQ로 인해 접전 상황에서 트레블링을 저지르거나, 큰 경기에서 니갱망을 시전[3]하는 장면이 많이 보이고 있다는 이유인데, 이 점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차세대 빅맨 경쟁에서 밀려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는 본인이 꼭 극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수비 이해도가 많이 떨어지는 장면이 보이는데, 도움수비 타이밍이나 상대의 페이크 모션에 속거나 클러치 상황에서 바닥을 긁는 BQ로 인해 쓸데없는 파울이 많아져 20분 내외의 출장시간을 가져감에도 불구하고 파울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위에 상술했다시피 힘이 좋지만 그에 걸맞지 않게 잔부상이 잦은 유리몸이다. 데뷔 때부터 이상민 감독이 출전 시간을 25분 내외로 끊어줬을 정도다. 특히 군제대 이후에는 부상을 당하지 않았던 시즌이 아예 없다. LG로 이적한 2021-2022시즌에도 개막전부터 부상을 당하며 시즌을 통째로 거르고 말았다.

4. 기타

4.1. 이승현과의 관계

선수간 맞대결 차원을 넘어서 이 두 명의 관계는 떼려야 뗄 수 없을 정도로 절친한 관계이다. 대학시절부터 시즌이 끝나면 항상 둘이서 같이 여행을 간다고 했으며, 2016-17 시즌이 끝난 이 시점에서도 둘이 동반 입대하고 같이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도 출전함에 따라 영혼의 콤비가 되었다.

반면 농구선수로서의 두 사람을 묘사를 하자면 라이벌 또는 인간상성으로 묘사되는 측면이 강하며, 대학시절부터도 대학 최고의 빅맨이 누구냐, 신인 시절에는 신인왕이 누구냐, 그 이후에도 KBL 최고 빅맨이 누구냐를 두고 항상 갑론을박이 벌어질 정도로 상호 대등한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고교시절부터 내내 이승현에게 밀리면서 콩라인을 면치 못했다. 특히 대학시절에는 이종현, 이승현의 더블포스트를 말그대로 혼자 막아야 했으니 대학 최고의 트윈타워이자 통곡의 벽을 혼자 감당하긴 어려워서[7] 연고전 4전 전패라는 굴욕을 찍기도 했다.

5. 관련 문서



[1] 현대모비스 시절 응원가를 그대로 사용한다. 여담으로 맞트레이드 상대 이대헌도 한국가스공사 시절 응원가를 그대로 사용한다.[2] 다만 트레블링은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면적 FIBA 룰 도입에 따라서 4라운드부터 콜을 엄격하게 불기 때문에 모든 선수들의 적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만.....김준일은 그걸 감안해도 너무 많이 걸린다.[3] 두경민이 공격에서 삽질을 하는 면이 많이 보인다면, 김준일은 수비에서 낮은 BQ로 고생을 하고 있다.[4] 이종현이 데뷔한 2016-17 시즌에도 김준일의 활약으로 모비스를 이기자 "이종현의 고대가 아닌 이승현의 고대에게 진 것"이라고 하면서 본인도 인간상성임을 스스로 인정하는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5] 석주일이 휘문고 코치일때, 당시 리바운드를 잡을 수 있는 선수가 김준일 밖에 없을 정도로 약체여서 공격 스킬이 안 좋을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석주일의 도움으로 공격 스킬이 많이 늘어났다고 한다.[6] 14-15시즌 짧은 치마, 15-16시즌 심쿵해, 16-17시즌 Good Luck[7] 물론 박인태가 있긴 했지만 고교시절 이종현에게 42리바를 털린 탓에 트라우마가 생겨 이종현의 고대만 만나면 삽질을 일삼았던지라..... 프로 입단 후 서로의 번호를 맞바꾼 동기 주지훈은 대학 시절 부상에 워낙 오래 시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