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낙인(유희왕)
, 융합(유희왕)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마법 카드.2. 설명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낙인융합,
일어판명칭=<ruby>烙印融合<rp>(</rp><rt>らくいんゆうごう</rt><rp>)</rp></ruby>,
영어판명칭=Branded Fus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융합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패 / 덱 / 필드의 몬스터 2장을 융합 소재로 하고\, "알버스의 낙윤"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 TCG=제한 카드, 마스터듀얼=제한 카드)]
패 / 덱 / 필드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알버스의 낙윤을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를 융합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이다. 약칭은 보통 '낙융'이라고 부른다.
발매 당시에는 소재를 2장만 요구하는 몬스터들만 발매되어 있었음에도 이 카드는 굳이 2장을 지정했지만, 이후 심연룡 알버 레나투스의 존재로 2장이라는 제약에 의미가 생기게 되었다.
덱 융합이 가능한 덕분에 알버스의 낙윤을 소재로 한다면 별다른 밑준비 없이 융합 소환이 가능하다. 다만 융합 소재 지정으로 인한 사정상 철구룡 스프린드(이 턴에 특수 소환된 효과 몬스터)나 빙검룡 미라제이드(융합/싱크로/엑시즈/링크 몬스터)는 알버스의 낙윤을 제외한 다른 융합 소재 몬스터를 필드의 몬스터로 할 필요가 있으나, 융합 소환 대상이 되는 신염룡 루벨리온, 낙인룡 알비온은 묘지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한 융합 소환이 가능하므로 융합 주술봉인 생물 같은 빛 속성이나 어둠 속성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포함한다면 느슨한 제약으로 쉽게 몬스터를 꺼낼 수 있다. 낙인룡 알비온도 소재를 제외하는 것으로 추가 융합 소환이 가능하다.
이런 식으로 낙인룡 알비온과 신염룡 루벨리온을 경유하면 덱 융합만으로는 융합 소환할 수 없는 빙검룡 미라제이드를 포함한 레벨 8 이하의 융합 몬스터의 융합 소환으로 연계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알비온과 루벨리온을 경유해 상당수의 빛 또는 어둠 속성 몬스터를 소재로 하는 몬스터를 빠르게 뽑아낼 수 있다.
퓨전 데스티니의 범용화 때문인지 제약은 제법 많은 편. 맹세 제약이 달려 퓨전 데스티니처럼 전개를 끝낸 후 추가로 사용하는 카드로는 쓸 수 없고 소재를 정확히 2장만 사용해야 하는 데다가 그 중 하나는 알버스의 낙윤이여야 한다. 굳이 저 조건을 맞춰서 용병으로 채용한다고 해도 베르테 아나콘다를 사용했을 때엔 빙검룡 외엔 소환할 의미가 적고, 패에 잡아서 꺼낼 때에도 융합 제약이 맹세로 걸려 사용할 덱은 융합 덱 위주로 제한된다. 용병으로 쓰이는 것 또한 상기한 조건을 전부 받아줄 수 있는 썬더 드래곤, 데스피아, 섀도르처럼 융합과 어둠 제약을 만족하거나 도하스라 비트처럼 엑스트라 덱을 잘 쓰지 않는 덱 정도.
소환 대상 중에는 소재 제약이 비교적 쉬운 케이스가 많으므로 알버스의 낙윤을 채용하고 맹세 효과를 개의치만 않는다면 덱에서 묘지로 카드를 덤핑하는 수단으로도 쓸 수 있다. 용마도의 수호자는 맹세 효과도 겹치니 서치 수단으로 써먹기 쉽다.
카드의 발동을 수반하지 않는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로 카드를 복사하면 발동한 턴에 융합 몬스터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맹세도 씹어버릴 수 있고, 빙검룡의 경우 아나콘다까지 소재로 써버릴 수 있으나, 2022년 4월 금제로 인해 베르테 아나콘다가 금지되어 이 방법은 현재 마스터 듀얼에서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카드로 융합 소환할 경우, 덱에서는 융합 소재 대체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재정이기에 카드명이 알버스의 낙윤인 몬스터가 소재로 필요하다. 따라서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알버스의 낙윤으로 취급해서 대신 융합 소환하는 건 불가능.[1] 흑의룡 알비온도 패 / 덱에서는 알버스의 낙윤으로 취급되지 않으므로 덱에서 융합 소환하려면 반드시 다른 소재에 알버스의 낙윤이 포함되어야 한다.
전반적인 평가는 어떻게든 디메리트를 달아놨음에도 덱 융합 특유의 강함이 건재해 융합 관련 덱들에서 낙인 엔진을 범용화시킨 일등공신 카드. "이 턴에 융합 소환밖에 할 수 없다"라는 맹세 효과 디메리트는 그저 범용성이 높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넣은 수준에 불과하며 이 카드로 나오는 융합 몬스터 빙검룡 미라제이드의 매우 강력한 파워 때문에 사실 큰 문제조차 되지 않는다. 다른 덱 융합이 그랬듯이 한쪽 소재가 알버스의 낙윤이기만 하면 신염룡 루벨리온 / 낙인룡 알비온의 다른 쪽 소재가 각각 어둠 속성 / 빛 속성 몬스터이기 때문에 이들을 능동적으로 덤핑하는 성능도 낼 수 있다.[2] 이런 카드가 소재로도 써먹는 서치용 몬스터까지 달고 있다!
이 카드 덕분에 22년 1~4월 분기에서 데스피아는 명실상부 1티어로 자리매김했다. 단 이 카드 하나에 극단적으로 의존하는, 다른 운영 덱에서 보기 힘든 기형적인 구조를 하고 있다.[3]
그 밖에도 낙인 엔진을 넣은 덱은 자체 기믹을 패 트랩 탱커로 희생시켜 낙인융합을 통과시키고 빙검룡으로 게임을 끝내는[4] 주객전도형 플레잉이 유행했다. 엑스트라 덱 스페이스를 잡아먹을 수밖에 없는 견제 효과로 퓨전 데스티니와 같은 베르테 아나콘다를 통한 마구잡이 범용화를 방지하려 했으나, 낙인 트라이브리게이드 등 이 카드를 어떻게든 써먹는 테마도 나와 버렸고, 결국 베르테 아나콘다가 금지되었다.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발매 후 데스피아의 쉐어는 크게 감소했지만, 티아라멘츠 역시 낙인 엔진을 채용하게 되면서 7월 금제에서 제재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졌고 준제한이 되었다. 다만 이 제재도 사실상 한발 늦은 제재인데, 이시즈 티아라멘츠 구축이 생겨나면서 낙인 파츠가 자연스럽게 도태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황은 달라졌는데, 스프라이트에서 떡 깨구리가 빠진 것이 예상 외로 큰 타격이 되어 스프라이트가 셰어에서 다수 빠졌고, 이에 스프라이트에 눌려 있던 후완다리즈가 디멘션 어트랙터, 차원의 틈 등을 잔뜩 채용하여 티아라멘츠를 저격하는 식으로 티어에 재등장하려 했다. 그러자 티아라는 이를 케어하기 위해 방향을 선회하여 잔디깎기를 버리고, 알베르-낙인 엔진을 다시 채용하며 40장 구축 및 이시즈 파츠로 4축을 돌리는 식으로 선회했으나, 엑스트라 덱을 무지막지하게 잡아먹는 파츠 특성상 최적화되며 다시 빠졌다. 현재는 낙인 스토리의 파워 카드들로 구성된 낙인 덱이 주로 사용한다.
23년 1월 금제에서 제한으로 올라갔다. 낙인기믹 자체가 크게 활약하진 않았으나, 특유의 범용성으로 인해 낙인 엔진을 넣던 아키타입들이 계속 생겨나기에 뒷북이지만 금제를 때린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데스피아의 도화 알베르로 서치할 수도 있으니...[5]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2022년 9월 9일 업데이트로 등장했다. 해당 카드의 등장 이후 낙인 데스피아가 곧바로 1티어에 안착했었다. OCG와는 다르게 비스테드가 출시된 시점까지도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았으나, 2023년 7월 금제에서 준제한 카드가 되었으며 출시 1주기를 바라보기 직전인 2023년 9월 금제에서 제한 카드로 지정되었다.[6]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아카보시 오자가 유사 쇼마와의 2차전 듀얼 중 사용. 덱의 알버스의 낙윤과 헌원의 상검사를 소재로 하여 낙인룡 알비온을 융합 소환했다. 작중에서도 구경꾼 한 명이 '발동 턴에 융합 몬스터밖에 못 꺼낸다는 걸 고려해도 강하다'라며 평가하기도 했다.
일러스트는 빙검룡 미라제이드와 신염룡 루벨리온이 싸우는 모습. 그 결과 두 드래곤이 융합하여 심연룡 알버 레나투스가 된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
2021-12-04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SD43-JP021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ALBA STRIKE- |
2022-03-16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SD43-KR021 | 알버스트라이크 |
2022-04-15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SDAZ-EN021 | STRUCTURE DECK: ALBAZ STRIKE |
2023-07-19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OP22-EN002 | OTS TOURNAMENT PACK 22 |
4. 관련 카드
4.1. 알버스의 낙윤
4.2. 신염룡 루벨리온
4.3. 빙검룡 미라제이드
[1] 상기한 대로 원래 조건을 채운 상태의 융합 소재로 사용하는 건 가능하다.[2] 데스피아면 비극의 데스피아안을 덤핑하여 데스피아 몹 서치, 비스테드면 더 비스테드 루벨리온을 덤핑한 후 낙인룡 알비온을 먹고 비스테드 루벨리온을 소환하여 낙인의 야수를 세트, 티아라멘츠면 하급 몬스터를 덤핑하여 추가 융합.[3] 혁의 낙인 등의 서브플랜은 최소 요구치가 2핸드 이상에 리턴 또한 시원치 않기 때문에 데스피아는 '일단 낙인융합을 발동하고 게임 운영을 생각한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낙인융합의 통과를 1순위로 한다.[4] 대표적인 유형이 낙인 축 드래곤메이드, 낙인 축 스프리건즈가 있다.[5] 물론 패에 낙융이 있으면 낙인등의 다른 서포트 카드를 갖고 올 수 있음을 생각하면 활약에 비해 큰 금제인 것은 사실이다.[6] 게다가 동시기에 상성이 나쁜 퓨어리가 풀파워에 가깝게 출시되는 이중 악재를 겪었다